약초캐다가 갑자기 길을 잃었네

채약홀미로 採藥忽迷路 약초 캐다 갑자기 길을 잃었네.

천봉추엽리 千峰秋葉裏 온 산이 단풍잎이 물든 속에서

산승급수귀 山僧汲水歸 산에 사는 스님은 물을 길어 가더니

임말다연귀 林末茶烟起 차를 달이는지 숲 끝 저쪽에 연기가 난다.

가을이 되어 온 산이 단풍이 물들더니 어느새 낙엽이 진다. 약초를 캐러온 사람 하나 망태를 둘러메고 낙엽을 헤치며 약초를 캔다. 그러다가 이젠 돌아가자 하고 산을 내려오려 하는데 그만 낙엽이 쌓여 길을 잃었다. 잠시 서성이며 어디로 가야할까 방향을 찾는데 저만치 물 길어 돌아가는 스님이 지나간다. 절로 따라갈까 하다가 저물기 전에 산을 내려가야겠다고 두리번거리며 길을 찾는데 숲 끝의 저쪽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가을 산에 감추어진 사연 하나가 너무나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 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가 지은 산중이라는 제목의 시이다. 조선조를 대표하는 대학자였던 그도 한때 금강산에 들어가 승려가 된 적이 있었다. 19살 때 들어가 불과 1년을 있다가 20살 때 환속했지만 그때의 승명이 의암(義庵)이라고 전해진다. 그는 학문을 좋아하여 여라 차례 과거에 응시, 번번이 장원급제를 하여 아홉 번을 급제하였다. 퇴계(退溪)와 쌍벽을 이룬 대학자이면서 우국충정이 남달리 뛰어났었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이순신을 지지하면서 문인으로써 전쟁 승리의 숨은 공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가 나라의 장래를 걱정해 10만양병설을 주장하였지만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아 결국 왜구의 침입을 받아 치욕스런 국난을 당하고 만 비운의 역사가 만들어져 버렸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11월 제84호

약사경(藥師經) _ 중생 질병 고쳐주는 부처님이 ‘약사여래’

불교의 부처님은 곧잘 병을 치료해 주는 의사에 비유된다. 부처님을 법왕法王이라 부르는 것처럼 때로는 의왕醫王이라 부르기도 한다. <약사경(藥師經)>의 약사라는 말도 중생들의 질병을 고쳐 주는 부처님의 명호이다.

이 경의 본래 이름은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인데 줄여서 <약사경>이라 한다. 이 경에 의해서 약사신앙이 생겨났다. 관음신앙이나 지장신앙과 마찬가지로 약사신앙도 온갖 재난과 병고를 이겨내고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욕구를 가지고 약사여래를 섬기는 신앙이 민간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사찰에 약사전이라는 법당이 있는데 이 법당에는 약사삼존불을 모시고, 약사삼존불은 약사여래와 좌우에 일광보살과 원광보살을 모신다.

이 경의 한역본이 5역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 3본이 있다. 수나라 때 달마급다(達磨多)가 번역한 <불설약사본원경> 1권과 당나라 때 현장(玄裝)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1권과 또 뒤에 당의 의정(義淨)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칠불공덕경> 두 권이다. 부처님이 광엄성의 악음수 밑에서 문수보살을 상대로 설해준 경으로, 약사유리광여래가 보살도를 닦을 때 세운 열 두 가지의 대원을 설하고 있다. 다만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에는 12대원이 아닌 8대원이 설해져 있다.

동쪽으로 무수한 불국토를 지나가면 약사유리광여래가 교주로 있는 동방만월세계가 있다. 이 세계에 있는 약사여래가 보살로 있을 때 중생들을 질병과 재난의 고통에서 구제하고 누구나 부처가 되도록 하겠다는 열 두 12가지 대원을 세워 불도를 닦아 부처가 되었다 하였다.

이는 마치 법장비구가 48대원을 세워 극락세계를 장엄한 이야기와 유사한 이야기이다.

약사여래의 세계는 극락세계와 비슷하게 묘사되고 있다. 땅에는 유리보석이 깔려 있고 궁전과 누각들은 모두 보배로 꾸며져 있다. 이러한 부처님의 세계에 누구든지 태어나기를 발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약사여래를 믿는 믿음의 공덕에 대하여도 설해 놓았다.

특히 약사유리광여래의 명호를 외면서 염불할 것을 권하고 사람이 악업을 지어 지옥의 고통을 받는 원인은 약사여래의 명호를 듣지 못한 탓이라고 설명한 대목도 있다. 때문에 살아서 온갖 화를 모면하고 죽어서 부처님 세계에 가려면 누구든지 약사여래를 염불하라 하였다.

또 약사여래의 불상을 모셔 놓고 이 경을 읽으면 어떤 소원이든지 다 이루어져 장수를 누릴 수도 있고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원하는 아들, 딸을 낳을 수도 있다 하였다. 이러한 중생들의 현실이익을 설해 놓기도 하였지만 <약사경>의 중요한 사상은 보살도 실천을 통한 정토구현이다. 유리광(琉璃光)이라는 명호 속에 들어 있는 말처럼 유리가 투명하여 속이 보이는 것처럼 마음의 본체를 밝혀 만덕을 갖춘 부처님의 덕을 성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을 보배유리에 비유하여 말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 경은 약사여래의 본원에 의하여 성불할 수 있다는 정토사상의 기본인 타력신앙과 밀교적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다. 12대원 가운데 상호구족원과 광명변조원이 들어 있는데 이는 자신이 성불했을 때 그 나라에 태어나는 중생들이 자기와 같은 상호를 갖추게 되고 몸이 유리처럼 투명하고 일월처럼 장엄되어 중생의 어두운 세계를 모두 밝혀 준다는 것이다.

지안스님, 월간반야 2010년 10월 제119호

아이는 잠자리를 잡고 놀고 노인은 울타리를 고친다.

兒捕蜻蜓翁捕籬(아포청정옹포리) 아이는 잠자리를 잡고 놀고 노인은 울타리를 고친다.

小溪春水浴鸕鶿(소계춘수욕로자) 작은 시내 봄물에 고기를 잡아먹는 가마우지

靑山斷處歸程遠(청산단처귀정원) 청산이 끊어진 곳에 가야할 길은 먼데

橫擔烏藤一箇枝(횡담오등일개지) 어깨에 지팡이 하나 걸치고 가는 사람아!

옛날 시골 풍경이 물씬 하는 시이다. 이제는 동화 속의 그림 같은 이야기 이지만 반세기 전만 해도 우리나라 시골은 이와 같은 풍경이었다. 손자는 마당가에 잠자리를 잡고 노는데 할아버지는 찢어진 울타리를 고친다. 집 밖의 작은 시내에는 가마우지가 물속의 고기를 잡아먹는데 저 멀리 산 밑에 어깨에 지팡이를 걸치고 길을 가는 사람이 보인다. 그림으로 말하면 한 폭의 동양화다.

이 시는 매월당 김시습이 지은 시이다. 유랑생활을 하다 어느 마을을 지나면서 지은 시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