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론 -달라이라마- 삶의 목표는 행복에 있다. 종교를 믿든 안 믿든 우리 모두는 삶에서 더 나은 것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나는 삶의 모든 행위가 행복을 향하고 있다고 믿는다. 불행한 사람들이 훨씬 자기 중심적이고 외톨이가 되며, 비판적이고 적대적인 성격을 갖기 쉽다. 행복한 사람들은 친해지기 쉽고 마음이 넓으며 창조적이고 일상에서 좌절을 더 쉽게 극복한다. 어떤 순간에 행복이나 불행을… 달라이라마─행복론 계속 읽기
[카테고리:] 달라이라마법문
달라이라마─자비는 집착도 동정도 아닙니다_
자비는 집착도 동정도 아닙니다.
-달라이라마-
인간이 본질적으로 자비로우며, 자비심은 필수 불가결한 것인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설명하려는 것이 제 의도입니다.
자비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학파나 종파들마다 사랑과 자비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했습니다.
어떤 기독교도 친구는 신의 은총이 없이는 사랑을 발전시킬 수가 없다고 믿습니다.
즉, 사랑과 자비를 기르기 위해서는 신앙이 필요하다고 믿습니다.
불교도들의…
해석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이 나와 마찬가지로 행복하기를 원하고 고통을 피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명백히 인정하는 데서 진정한 자비가 온다고 합니다.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해서, 내 자신의 이익에 개의치 않고, 남들의 행복을 가져오는 일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그것이 자비입니다.
우리 자신의 친구들에게 베푸는 자비와 사랑은 사실은 집착입니다.
그런 감정은 모든 중생들이 행복해지고 고통을 피할 권리를 똑같이 갖고 있다는 인식에 의거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 인식이 없이, 무엇인가 ‘나의 것’이고, ‘나의 친구’이고, ‘나’를 위해 좋은 것이라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것은 집착입니다.
내 친구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나를 대하는 태도가 바뀌면, 그에 대한 친밀감이 즉시 사라집니다.
그것과는 다르게, 남들이 우리를 어떻게 대하든 상관없이 우리는 남들을 염려하는 마음을 길러야 합니다.
그들이 우리와 같은 동료인간들이고 고통을 피할 권리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이 우리에게 무관심하든, 적이든 간에, 우리는 여전히 그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들은 행복하고 고통을 피할 권리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집착과 자비의 주요 차이입니다.
진정한 자비가 훨씬 건강하고, 편견이 없고, 합리적입니다.
반대로, 집착은 좁은 소견과 편견입니다.
사실상, 진정한 자비와 집착은 모순됩니다.
불교 수행에 의하면, 진정한 자비를 기르려면, 우선 우리에게 아주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평등심과 평정심에 대해 명상을 해야 합니다.
모든 중생들을 동등하게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런 후에야 서서히 모든 중생들을 향해 진정한 자비를 기를 수 있습니다.
진정한 자비는 동정심을 갖거나 남들을 나보다 열등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진정한 자비심이 일어나면 남들을 우리 자신보다 소중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달라이 라마의 아름답게 사는 지혜 中 에서-
달라이라마─인욕은 오직 적에게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인욕은 오직 적에게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달라이라마-
인욕은 가장 중요한 수행 중의 하나입니다.
인욕은 오직 적에게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스승에게서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당신에게 해를 끼치는 적을 만난 그 순간 인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샹티데바는 이에 관해 좋은 설명을 했습니다.
” 적은 실질적으로 훌륭한 정신적 지도자이다.
적을 통해 인욕을 수행하고 인욕에 의지하여 가장 커다란 공덕의 힘을 쌓을 수 있다.” 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적이 화를 내는 것은 당신이 공덕을 쌓는 수행을 돕기 위해 화를 내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샹티데바는 자기 자신의 내적인 번뇌를
밖으로 드러내어 자신의 논쟁 상대로 삼고 논증을 계속합니다.
그 반대자는 “그것은 그렇지 않다.
적들은 나를 도우려는 의도가 없다.
그래서 적들에게는 내가 잘되기를
바랄 이유가 없다.” 고 말합니다.
그러나 샹티데바는 “돕기 위해서는 도우려는 의도를
반드시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우리는 신심을 갖고, 멸제와 멸제를 실현하는 방편인
도제를 간절하게 바란다.
그러나 그들은 도우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그들은 우리를 돕기 때문에 그들을 존경해야 한다.” 고
대답합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스스로의 번뇌를 드러내다가 이것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이다가는
또다시 다른 반대를 합니다.
“적들은 멸제와 도제와 달리 해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멸제와 도제에는 남을 도우려는
의도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을 해치려는 의도 또한 없다.
나는 적들을 존경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샹티데바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그들이 해치려는 의도를 지녔기 때문에 그들을 가해자 또는 적이라고 부른다.
만일 그들이 해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가해자나 적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들이 당신의 병을 고쳐 주는
의사와 같은 사람이라면 당신은 마음을 상하지 않고 인욕을
수행할 기회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적들은 인욕 수행에 반드시 있어야 하고 해치려는 의도가 필요한 사람에게 적이 되는
적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적에게 분노하는 것은 좋
은 일이 아니다.
화를 내기보다는 존경하라.” 또한 누군가 우리를 때리려고 할 때 우리는 즉시 그 사람에게 화를 냅니다.
그러나 샹티데바는 다른 견해를 제시합니다.
“당신에게 실제로 고통을 주는 것을 따져 본다면, 실제로 고통을 주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무기, 지팡이, 그 사람의 주먹 등이다.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주요 원인은
사람이 아니라 그 사람의 정신에 있는 번뇌이다.
그러므로 화를 내려면 그 무기 또는 해를 입히는 동기에 대해
화를 내야 하고 그 사람 자체에 대해 화를 내서는 안된다.” 이것은 진실입니다.
무기가
실질적인 고통을 줍니다.
그러나 때때로 고통을 주는 대상에 부딪쳤을 때 어리석게도 무기에 화를 내지 않습니다.
우리는 사람에게 화를 냅니다.
화를 내지 않고서는 그 사람은
당신을 때리지 않습니다.
사람은 분노 때문에 업을 짓습니다.
문제의 근원은 분노입니다.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그 사람이 아니라 그 사람 안에 있는 번뇌입니다.
또한 샹티데바는 누군가 화를 내고 있을 때 화를 내는 것이 그 사람의 본성인가 아니면 우발적으로 나타난 일시적인 어떤 것인가를 생각해 보라고 합니다.
그것이 그 사람의 본성이라면 불이 우리의 손을 태우더라도 불에
화를 내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태우는 것이 불의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사람에게 화를 내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우발적으로 화를 냈거나 또는 화를 내는 것이 본성이 아니라면, 구름이 태양을 가릴 때 태양에 화를 내지 않고 구름이 문제라는 것을 아는 것처럼 그 사람에게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번뇌에 화를 내는 것입니다.
또한 자기 몸의 본질이 고통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무기의 본질이 고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몸과 무기가 서로 부딪칠 때
고통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잘못의 절반은 스스로에게 있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화를 낸다는 것은 스스로에게 화를 내는 것입니다.
샹티데바의 책을 읽어본다면 가치와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책들은 자아 수행과 자아 인식에
대단히 유용합니다.
저는 샹티데바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합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