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촉 차가운 등불에

일수한등독불경 一穗寒燈讀佛經 한 촉 차가운 등불에 불경을 읽다가

부지야설만공정 不知夜雪滿空庭 밤눈이 빈 뜰에 가득 내린 줄도 몰랐네

심산중목도무뢰 深山衆木都無籟 깊은 산 나무들은 아무런 기척 없고

시유첨빙타석상 時有檐氷墮石牀 처마 끝 고드름만 섬돌에 떨어지네

시를 쓰는 사람들은 누구보다도 계절의 서정을 깊이 느낀다. 물론 감상이 남달리 풍부한 탓도 있겠지만 내면 관조를 통한 사물의 관찰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깊은 밤 절간 방에서 불경을 읽고 있던 어떤 스님이 있었다. 간경삼매에 빠져 밤이 깊은 줄도 몰랐다. 밤중이 훨씬 넘은 시간이 되었는데 밖의 기척이 여느 때와 사뭇 다른 것 같다. 골짜기를 타고 내려오던 바람소리도 들리지 않고 가끔 처마 밑에서 울던 풍경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왜 이리 조용할까? 잠시 밖에 귀를 기울였더니 섬돌 위에 무엇이 떨어지는 소리가 나 살며시 문을 열어보았다. 처마 밑에 달려 있던 고드름이 제 무게를 이기지 못해 떨어져 부셔지는 소리였다. 산중의 한겨울 눈 오는 밤의 풍경이 정적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는 시이다.

이 시의 작자 혜즙(惠楫1791~1858)은 이조 말엽의 스님으로 교학에도 밝았고 선지도 출중했다. 호를 철선(鐵船)이라 했으며, 14살에 대흥사에 출가하여 제방을 다니면서 경전을 수학하고 20년을 강의를 하며 수많은 학인들을 가르치다가 다시 20년 동안 좌선을 익혔다. 학식이 뛰어났고 글씨도 잘 써 다방면의 재능이 있었다. 그러면서도 조용한 생애를 살아 이름을 내는 것을 싫어하였다. 철종 9년에 입적하였는데 문집 1권이 남아 전한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2월 제61호

[불교용어사전]삼귀의(三歸依)

삼귀의는 삼보(三寶)인 불(彿), 법(法), 승(僧)에 귀의하는 것을 말합니다. 귀의(歸依)라는 말은 믿음을 받들고 구원을 청하는 의미도 되고, 마음의 깨달음으로 생사를 초탈 함을 얻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것에 의지함으로써 일체 괴로움으로부터 해탈하여 마음속에 무한 한 안위를 받는 것일 수 있습니다. 불보(佛寶) 는 스스로 여실한 진리를 깨닫고 이에 의해 다른 이 를 가르쳐 인도하는 분으로 부처님을 말하는 것이고, 법보(法寶) 는 부처님이 스스로 깨달은 것을 남을 위해서 설법한 교법을 말하는 것이며, 승보(僧寶) 는 그 교법을 배우고 닦아서 행하는 부처님 의 제자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삼귀의는 부처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목숨을 다 바쳐 귀의하는 마음 을 굳건히 하고 부처님께서 설하신 진실한 가르침을 존중하며, 그 법을 실천하고 널리 포교하는 사 람들인 부처님의 제자에게 귀의한다는 맹세의 표시입니다.

한 해에 옷 두 번 기워입고

일년의중보 一年衣重補 한 해에 옷 두 번 기워 입고

일일발양세 一日鉢兩洗 하루에 바리 두 번을 씻고 사네.

불효산중취 不曉山中趣 산에 사는 흥취를 모른다면

산중역진세 山中亦塵世 산중도 속세와 다를 바 없네.

산중에 사는 검소하고 단순한 생활의 흥취를 읊은 소박한 시이다. 입산수도의 일생은 아무래도 속진의 생활과는 다르다. 물자가 궁색해도 오히려 그것이 안빈낙도의 자기 분수를 충족시켜 주는 만족이 된다. 하루에 두 끼 공양 챙기고 일 년에 두어 번 옷이 떨어졌을 때 바느질 해 꿰매면 된다. 산에 사는 흥취는 산에 사는 사람만이 알뿐이지 도시의 숨 가쁜 생활과는 아마 세월 그 자체가 다를지 모른다. 언젠가 이런 말을 농담처럼 한 적이 있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리 열심히 산을 오르내려도 산을 알려면 산속에서 잠을 자다가 한 밤중에 일어나 산의 숨소리를 들어보아야 산을 알게 된다”는 말을 했더니 몇 사람이 수긍이 된다는 뜻으로 고개를 끄덕이는 것을 보았다. 산에 있어도 마음이 산심에 젖지 않으면 속세와 마찬가지라는 마지막 구절에는 어떤 경책의 침이 숨어 있는 말이다.

연담유일(蓮潭有一, 1720~1799)의 시문집에 수록된 ‘산거(山居)’라는 시이다. 평생을 학문과 수행에만 정진한 학승으로 소박한 일생을 살아 후대의 귀감이 된 스님이다. 특히 스님의 업적은 쇠미해진 이조 말엽의 불교 교학을 크게 일으킨 점이다. 많은 경전을 연구, 사기(私記) 등을 저술하였고 또 후학을 제접하는 많은 강의를 하여 교맥을 계승하게 했다. 스님의 언행에 관한 기록을 모아서 편찬한 『연담대사임하록(蓮潭大師林下錄)』이라는 문집이 전해지는데 그의 문인 영월계신(靈月誡身)에 의해 편찬되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월 제5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