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을 중지해 보자

오늘날 고도의 문화가 발달된 현대사회에서 그때그때 우리에게 전개되는 어떤 상황이 몹시도 우리들의 신경을 자극하는 사례가 많다. 정보사회에 있어서 날마다 듣는 뉴스 하나가 사람의 기분을 바꾸는 경우도 매우 흔하다. 예를 들면 매일 매일 변동하는 주가지수라든지 환율변동이 사람 마음에 희비를 달리 느끼게 한다. 듣고 보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소식도 있고 모처럼 반갑게 들리는 의외의 소식도 있다. 매스컴이 발달하고서부터 우리에게 전달되는 각종 보도의 내용에 따라 때로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사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어떤 면에서 보면 시청각의 대상이 증폭되고 있는 문화현상 때문에 사람이 말초적 자극을 더 많이 받고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보고 듣는데서 오는 결과적 반응이 신경과민이 되거나 어떤 선입견이 만들어져 그릇된 판단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고 마는 경우도 있고 또 보고 들은 것 때문에 자신의 생각이 복잡해지며 때로는 불안이 가중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리하여 의식이 혼란해지면서 감정의 질서를 잃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진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을 번뇌에 시달리는 존재로 설명하는데 이 번뇌라는 것이 객관경계에 무심하지 못하고 경계의 지배를 받아 마음에 좋고 싫은 감정의 흔들림이 일어난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이는 모두 보고 듣는 객관 경계를 판단하는 데서 생긴다는 것이 불교의 정설이다.

사람의 마음은 지적인 작용과 정적인 작용에 의한 인식이 일어나면서 언제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내려야 하는 업무를 가지고 있다. 우선 내 뜻에 맞고 안 맞고의 판단에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을 만들고 이것이 응고되어 괴로움과 즐거움을 만든다. 그래서 객관경계에 의해 내가 괴로워지면 이는 역경계(逆境界)가 되고 뜻에 맞아 즐거워지는 것은 순경계(順境界)가 된다. 이 역순의 경계 때문에 삶에는 끝없는 애환이 따르는 것이다.

상황판단을 잘 하고 산다는 것은 생활의 지혜라 할 수 있지만 판단은 언제나 옳고 그름을 따지는 시비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 심적 부담을 안고 있어야 한다. 또한 사람은 사사로운 개인의 입장을 앞세워 이기적 에고이즘에 입각한 판단으로 진리에 부합하는 양심적 판단을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곧 어떻게 하면 자신에게 유리할까 하는 입장변명을 위해 우선 말의 합리성부터 찾으려 한다. 또 턱없이 남의 일에 일방적인 편견을 가지고 비평을 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자기 논리를 과시하려는 경향도 있다. 때로는 누구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하여 일부러 고의적으로 반론을 전개하여 자기주장이 타당한 냥 한다. 그리하여 인간사회에는 항상 논설시비가 있다.

그러나 이 논설시비는 인간적 순수의 모습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순수는 논리적 시비를 떠나 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나 어떤 이즘이 사회적 개혁의 도구가 될 수는 있어도 삶 자체의 순수는 아니다. 텅 빈 허공이 개조될 수 없는 것처럼 삶 그 자체의 순수는 어떤 인위적 조작으로 고쳐질 수 없다. 자기의 삶을 조용히 음미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내면을 향한 조용한 응시만 있을 뿐이다. 세상을 평하는 세평의 언론이 아무리 범람해도 말없는 침묵 속에 조용히 보고 있는 숨어 있는 응시자들이 있다. 결코 방관자이거나 은둔자라고 할 수 없는, 말하자면 무심의 눈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은 어디까지나 판단을 중지하고 산다. 남의 일을 함부로 쉽게 평하지 않는다. 이들이 오히려 인간의 순수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무심(無心)으로써 유심(有心)을 대하고 무정(無情)으로써 유정(有情)을 대한다. 때문에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업의 양이 많아져 가는 문명사회는 행업(行業)의 포화현상이 일어나면서 부딪히는 소리가 많다. 동적인 모션이 팽창하고 발설되는 언어의 양이 증가하며 머리 속의 생각도 이 생각 저 생각이 항상 포화상태가 된 가운데 내 생각과 남의 생각이 상충하고 있다. 침묵의 여백이 줄어들고 생각의 쉼이 없어진다. 심신의 노고가 풀어지지 않고 조화롭지 못한 상태에서 불만과 허탈감이 증폭이 된다. 이리하여 사람의 정신환경이 불우해져 버린다. 여기서 배워야 할 것이 무심공부다. 강물처럼 흘러가는 우리의 의식을 멈추게 해보는 일이 무심공부다. 판단을 중지하고 가만히 두고두고 생각해 보면서 어떤 관념에도 묶이지 않고 일어나는 생각들을 여과해 보는 일이다. 원증(怨憎)의 감정에서 벗어나 평등한 본성으로 돌아오는 일, 이것이 바로 진리의길 에 나아가는 일이다.

떨어진 꽃잎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라 가지만 洛花有意隨流水

흐르는 물은 무심히 꽃잎을 떠 보내네. 流水無心送洛花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3월 제64호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올해도 어김없이 봄은 오는 둥 마는 둥하더니 가버리고 여름이 왔다. 누가 5월을 ‘계절의 여왕’이라 했던가. 정말 정신없이 바쁘게 만들었던 ‘가정의 달’ 덕분에 여왕의 모습도 보지 못하고 가버렸다. 1일은 근로자의 날, 5일은 어린이날, 8일은 어버이날, 11일은 입양의 날, 15일은 스승의 날, 17일은 성년의 날, 21일은 부부의 날, 25일은 실종 아동의 날이었다. 여기다 올해는 억조창생의 참스승이신 ‘부처님 오신 날’이 21일이었으니 그야말로 바쁜 달이었다. 그밖에도 다른 기념일까지 곁들여 있는 데다 6월 2일 전국 동시 지방선거로 인한 선거열풍이 겹치니 중생의 삶은 가히 요지경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떠나질 않는 게 있다. 그건 ‘어린이날’을 아직도 ‘공휴일’로 정해놓고 쉬게 하는 것과,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정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어린이날이 만들어진 것은 1923년의 일이다. 소파 방정환 선생을 중심으로 어린이의 고유문화와 예술활동을 진작시키며 어린이의 인권의식을 기릴 목적으로 1922년 3월 일본 동경에서 ‘색동회’를 조직한 것이 모태가 되어 이듬해 1923년 5월 5일 ‘어린이날 선언문’을 발표하게 된 것이었다. 어린이가 종래의 윤리적 압박으로부터 해방되어 완전한 인격적 대우를 받고, 경제적 압박으로부터 해방되어 연소노동을 금지하며, 어린이가 마음껏 배우고 즐겁게 놀 수 있는 가정과 사회시설을 보장할 것 등 ‘아동존중사상’을 강조한 것이었다.

사실 겉으로는 ‘어린이들에 대한 인격적 대우’나 ‘노동금지’, 사회 복지시설‘ 등을 강조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일본 제국주의에 강제 합병된 이래 ‘3.1운동’ 등을 겪은 우리 민족 선각자들의 의식의 전환으로 보여진다. 구한말 개화에 뒤지고 미쳐 힘을 기르지 못했던 우리 민족이 나라를 빼앗기는 쓰라린 아픔을 겪고, 독립을 되찾으려는 거족적 노력을 기울여보았건만 큰 소득 없이 끝나자 기성세대의 힘의 한계를 절감한 선각자ㆍ선지자들은 자라나는 세대, 즉 어린이들을 잘 길러서 이들이 힘을 길러 나라와 민족 자존을 되찾아 줄 것을 기대하면서 어린이 운동을 시작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참되거라! 착하여라! 아름다워라! 너희들은 대한의 새싹들이다.’ 라고 외치면서 꿈과 희망을 불어 넣어주고 격려하여 준 것이다. 그 후 일본 정부에 의해 우리 선각자들의 어린이 운동은 상당히 변질되었다가 1945년 광복 이후 다시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정했고, 1961년에 제정된 ‘아동복지법’에 어린이날을 5월 5일로 명시하였으며, 1970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으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은 어떤가. 아직도 이상과 어린이 보호법의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린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려운 시기에 우리가 자주 사용하였던 ‘헐벗고 굶주린’ 따위의 단어도 사라진지 오래고 오히려 어른들이 어린이의 눈치를 보는 세상이 아닌가. 우스갯말로 한 아이가 고함을 지르면 그 아이의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 최소한 6명이 달려온다고 한다. 한 부모에 둘도 아닌 한 명의 자녀를 둔 가정이 많아지니 이런 소동이 날 법도 하지 않은가. 이런 상황에서 굳이 어린이날이 필요한가. 1년 365일이 모두 어린이날 아닌가. 이렇게 애지중지하면서 보호막 속에 사는 어린이를 더 이상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가. 거기다가 또 어린이날이라고 공휴일을 만들어 놓으니 되려 부모들에겐 고통의 날이 될 수밖에. 온 나라가 북새통이고 도로가 온통 주차장이 되지 않았는가.

그런데 어버이날은 어떤가. 전통적인 효 사상을 굳이 요구하지 않더라도, 노후에 편안히 잘 봉양하지 않더라도, 이날 하루라도 좀 뜻 있게 보낼 수 없을까. 부모가 살아 계신다면 당연히 찾아뵙고, 돌아가신 후라면 산소에 가서 술 한잔이라도 올리면 어떨까. 얼마 전 TV에 출연한 모 인사가 지금 오륙십대를 가리켜 ‘말초(末初)세대’라고 명명하는 걸 들으며 씁쓰레한 웃음을 지었다. 뜻인즉 ‘효도하는 마지막[末]세대’요, ‘효도를 못 받는 첫[初]세대’라고 하였다.

이제는 주 5일제 근무가 정착되어가고, 공휴일이 다른 나라에 비해 많다는 지적도 있는데 또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해달라면 가뜩이나 일손이 부족한 기업이나 생산현장에서는 무슨 소리냐고 펄쩍 뛸 테니까 새로 공휴일을 추가하기보다는 기존의 ‘어린이날’을 5월 첫째 토요일이나 일요일로 바꾸고,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면 어떨까.

‘효(孝)’는 ‘백 가지 행실의 근본[百行之本]’임에 틀림없다. 분명히 부모에게 효도하는 자식은 형제간에 우애 있게 마련이고, 일가친척들과 화목하게 지낼 것이며, 나아가 직장과 사회에서 동료 선후배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가질 것임이 자명하지 않은가.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6월 115호

분반좌(分半座) 그늘 아래

기축년 윤오월,

황포돛배 타고 낙화암 간다

마음 급한 코스모스 앞세우고

틈새마다 끼어 있을 부여융의 허리끈 찾으러 간다

고란수 한 잔 청해, 달게 마시고

말없는 백마강, 말없이 내려다본다

의자왕도 태자 융도 일만여 명의 백성과 소정방도

아득한 저쪽 세월로 봉인된 시간 속에

말없이 묻히고

흔적 또한 찾을 길 없다

황포돛배에 몸 싣고 구드래 나루터로 돌아오는 길

온갖 설움들 모여

향기롭게 꽃을 띄운 강물 위에

햇빛이 마른자리를 내어준다

그 옛날 그분이 다자탑전(多子塔前)에서

흔쾌히 자리를 내어주시듯

그리움의 발자국 수없이 난 길을 걸어

궁남지 연밭길 에돌아 나오니

하얀 꽃잎마다 인욕선인이 가부좌 틀고 앉아 계신다

그분이 내어주신 분반좌(分半座) 그늘 아래

안타까운 마음길만 내려놓은

기축년 윤오월.

文殊華 하영 시인 글. 월간 반야 2009년 11월 10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