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고도의 문화가 발달된 현대사회에서 그때그때 우리에게 전개되는 어떤 상황이 몹시도 우리들의 신경을 자극하는 사례가 많다. 정보사회에 있어서 날마다 듣는 뉴스 하나가 사람의 기분을 바꾸는 경우도 매우 흔하다. 예를 들면 매일 매일 변동하는 주가지수라든지 환율변동이 사람 마음에 희비를 달리 느끼게 한다. 듣고 보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소식도 있고 모처럼 반갑게 들리는 의외의 소식도 있다. 매스컴이 발달하고서부터 우리에게 전달되는 각종 보도의 내용에 따라 때로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사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어떤 면에서 보면 시청각의 대상이 증폭되고 있는 문화현상 때문에 사람이 말초적 자극을 더 많이 받고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보고 듣는데서 오는 결과적 반응이 신경과민이 되거나 어떤 선입견이 만들어져 그릇된 판단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고 마는 경우도 있고 또 보고 들은 것 때문에 자신의 생각이 복잡해지며 때로는 불안이 가중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리하여 의식이 혼란해지면서 감정의 질서를 잃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진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을 번뇌에 시달리는 존재로 설명하는데 이 번뇌라는 것이 객관경계에 무심하지 못하고 경계의 지배를 받아 마음에 좋고 싫은 감정의 흔들림이 일어난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이는 모두 보고 듣는 객관 경계를 판단하는 데서 생긴다는 것이 불교의 정설이다.
사람의 마음은 지적인 작용과 정적인 작용에 의한 인식이 일어나면서 언제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내려야 하는 업무를 가지고 있다. 우선 내 뜻에 맞고 안 맞고의 판단에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을 만들고 이것이 응고되어 괴로움과 즐거움을 만든다. 그래서 객관경계에 의해 내가 괴로워지면 이는 역경계(逆境界)가 되고 뜻에 맞아 즐거워지는 것은 순경계(順境界)가 된다. 이 역순의 경계 때문에 삶에는 끝없는 애환이 따르는 것이다.
상황판단을 잘 하고 산다는 것은 생활의 지혜라 할 수 있지만 판단은 언제나 옳고 그름을 따지는 시비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 심적 부담을 안고 있어야 한다. 또한 사람은 사사로운 개인의 입장을 앞세워 이기적 에고이즘에 입각한 판단으로 진리에 부합하는 양심적 판단을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곧 어떻게 하면 자신에게 유리할까 하는 입장변명을 위해 우선 말의 합리성부터 찾으려 한다. 또 턱없이 남의 일에 일방적인 편견을 가지고 비평을 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자기 논리를 과시하려는 경향도 있다. 때로는 누구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하여 일부러 고의적으로 반론을 전개하여 자기주장이 타당한 냥 한다. 그리하여 인간사회에는 항상 논설시비가 있다.
그러나 이 논설시비는 인간적 순수의 모습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순수는 논리적 시비를 떠나 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나 어떤 이즘이 사회적 개혁의 도구가 될 수는 있어도 삶 자체의 순수는 아니다. 텅 빈 허공이 개조될 수 없는 것처럼 삶 그 자체의 순수는 어떤 인위적 조작으로 고쳐질 수 없다. 자기의 삶을 조용히 음미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내면을 향한 조용한 응시만 있을 뿐이다. 세상을 평하는 세평의 언론이 아무리 범람해도 말없는 침묵 속에 조용히 보고 있는 숨어 있는 응시자들이 있다. 결코 방관자이거나 은둔자라고 할 수 없는, 말하자면 무심의 눈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은 어디까지나 판단을 중지하고 산다. 남의 일을 함부로 쉽게 평하지 않는다. 이들이 오히려 인간의 순수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무심(無心)으로써 유심(有心)을 대하고 무정(無情)으로써 유정(有情)을 대한다. 때문에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업의 양이 많아져 가는 문명사회는 행업(行業)의 포화현상이 일어나면서 부딪히는 소리가 많다. 동적인 모션이 팽창하고 발설되는 언어의 양이 증가하며 머리 속의 생각도 이 생각 저 생각이 항상 포화상태가 된 가운데 내 생각과 남의 생각이 상충하고 있다. 침묵의 여백이 줄어들고 생각의 쉼이 없어진다. 심신의 노고가 풀어지지 않고 조화롭지 못한 상태에서 불만과 허탈감이 증폭이 된다. 이리하여 사람의 정신환경이 불우해져 버린다. 여기서 배워야 할 것이 무심공부다. 강물처럼 흘러가는 우리의 의식을 멈추게 해보는 일이 무심공부다. 판단을 중지하고 가만히 두고두고 생각해 보면서 어떤 관념에도 묶이지 않고 일어나는 생각들을 여과해 보는 일이다. 원증(怨憎)의 감정에서 벗어나 평등한 본성으로 돌아오는 일, 이것이 바로 진리의길 에 나아가는 일이다.
떨어진 꽃잎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라 가지만 洛花有意隨流水
흐르는 물은 무심히 꽃잎을 떠 보내네. 流水無心送洛花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3월 제6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