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운유수시생애 浮雲流水是生涯 구름처럼 떠돌며 물처럼 흘러가는 이 내 생애여
헐박수연괘석지 歇泊隨緣掛錫枝 인연 따라 쉬고 머물며 지팡이 걸어 두네
납자유래무정적 衲子由來無定跡 납자는 원래 정한 곳이 없으니
종교거주부심기 從敎去住負心期 가고 머무는 것 마음에 내맡겼네
사람마다 모두 자기가 사는 주소를 가지고 있다. 이는 사는 장소 곧 생활의 근거지가 정해져 있다는 말이지만 사실 인생에는 정처가 없다. 비록 어디 어느 곳에 산다는 내 주소가 있을지라도 그것 역시 임시로 머무는 한시적인 것 밖에 되지 않는다. 더구나 생사를 유전(流轉)하는 윤회의 경계에서 보면 누구나 떠돌이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수도에 생애를 건 납자의 신분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구름처럼 떠돌며 물처럼 흘러가는 방랑자일 뿐이다. 아무도 내 사는 곳이 어디냐고 묻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머무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초기 불교 교단에서는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한 곳에 3일 이상을 머물지 말라고 가르친 적도 있다. 현실의 어디에도 집착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 시는 일본의 선승 일사문수(一絲文守 1608~1646)의 작품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선문에 몸을 담아 수행정진 끝에 견처(見處)를 얻고 우당동식(愚堂東寔)의 법을 이었다. 그러나 39세라는 젊은 나이로 입적하여 쓸쓸히 생애를 마쳤다고 한다. 운수행각(雲水行脚)하는 납자의 생애가 담담하게 묘사되고, 가고 오는 것에 구애되지 않는 초연한 심정을 읊었다고 할 수 있는 이 시는 기실 생사거래의 자유를 노래한 시다. 올 때는 오고 갈 때는 가는 것, 머무르고 싶으면 머물고 떠나고 싶으면 떠나는 것이다. 다만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이것이 영원한 화두로 남을 뿐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9월 제4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