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의 계절 가을이다. 산과들 우리 주변 모든 곳에 곡식이랑 과일이 결실을 맺고 있다. 들녘은 황금 빛깔의 곡식으로 나무에는 갖가지 색상의 과일들이 전시회라도 하는 듯하다. 농부들은 가장 바쁜 일손을 필요로 하지만 그 속에서도 마음만큼은 함박웃음을 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부의 풍성한 마음을 뒤로 하고 나무 가지에 달린 사과, 배, 감, 대추, 밤 여러 종류의 과일을 바라보면서 “과일은 왜 맛이 있을까?” 이러한 생각을 해 보신적은 없으신지? 달콤함 또는 향긋함으로 과일은 왜 나름대로의 특유한 맛을 가지고 있을까? 무심코 그냥 생각 없이 맛있네 하면서 먹어 오던 과일인데, 어디에서 그 해답을 찾을까 한번 고민해 본다.
학자들의 말을 인용하면 그 답은 종족 번식의 본능에서 출발 한다고 한다. 동물이든 식물이든 모든 종류의 종들은 자손을 번창 시켜야만 할 본능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래서 이동이 가능한 동물들은 어디에서나 짝짓기가 가능하며 먼 거리에서도 종족의 번식이 가능한 것이다. 기후에 따라 여건만 맞으면 언제든지 종족 번식이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식물들은 이동이 제한적이다. 마음대로 움직일 수도 없으며 부자연스런 조건 하에서 번식을 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래서 식물들은 세월이 지나면서 어떻게 하면 종족 번식을 원활히 할까를 고민해 왔을 것이다.
각종 식물들의 특성을 보면 좀 더 명확히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예를 들어 민들레를 보면 꽃이 지고 씨앗이 달리게 되면 씨앗이 솜털처럼 가벼워 아주 미약한 바람에도 그 바람을 타고 낙하산처럼 생긴 씨앗은 멀리로 날아가 발아를 하게 된다. 도깨비 풀을 보자 씨앗이 옷이나 동물의 털에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다가 멀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듯 어떤 종은 아주 가벼워 이동을 하게 되고 어떤 종은 움직이는 다른 종을 이용하여 이동을 하여 번식이 가능하다. 이제는 과일을 한번 살펴보자 나무에 과일이 달리면 어떻게 이를 이동 시킬까? 그 답은 역으로 과일이 맛이 없다고 가정하면 씨앗은 그저 나무 아래에만 떨어져 그 주변에만 서서히 퍼져 나갈 것이다. 하지만 과일이 맛있다면 사람뿐 아니라 동물들은 그 과일을 먹을 것이고 그래서 배설물과 함께 씨앗이 뿌려져 배설물이 거름이 되어 더 번식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여기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할 부분이 있다. 대부분의 과일 나무의 열매를 보면 몇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과일 껍질 부분이 맛이 있으면 대부분 내부에 있는 씨앗은 독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씨앗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래야 동물들이 먹은 씨앗을 소화 시키지 않고 배설물과 함께 내 놓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면 사과, 배, 감, 수박, 참외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또는 씨앗이 맛있는 경우는 그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이 아주 딱딱한 물질들로 둘러 쌓여져 있다. 예를 들면 호도, 은행, 잣, 밤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씨앗을 함부로 먹지 못하게 보호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에게도 그 특유의 종족 번식을 위한 비밀이 그 열매나 씨앗에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풍성한 가을 “과일이 왜 맛있을까?”를 한번 생각 해 봄직도 좋을 듯하다.
종산 황태준 글. 월간 반야 2009년 12월 1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