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을 갈아 거울을 만든다

중국 당대에 마조 도일(馬祖道一 : 709-788)스님은 남악(南岳)에 육조혜능스님의 법을 이은 회양(懷讓)스님이 전법원(傳法院)에 계신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에 찾아가 머물면서 열심히 좌선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좌선에만 열중한 나머지 누구를 맞이하는 법이 없었는데, 회양이 왔을 때도 좌선에만 매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를 본 회양스님은 그가 법기(法器)임을 아시고, 하루는 벽돌을 가져와 마조의 암자 앞에서 벽돌을 갈기 시작했습니다. 마조는 그러고 있는 회양의 태도가 하도 이상해서 물었습니다.

“무엇을 하십니까?”

“벽돌을 갈아 거울을 만들려고 한다네.”

“벽돌을 간다고 거울이 되겠습니까?”

마조는 코웃음을 치며 비웃었습니다.

“그러는 넌 좌선하여 어떻게 부처가 된단 말이냐?”

한 방을 얻어맞은 마조는 갑자기 서늘해짐을 느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사람이 수레를 몰고 가는데, 수레가 가지 않으면 바퀴를 때려야 하겠는가, 소를 때려야 하겠는가?”

마조는 대답이 없었습니다. 회양스님은 이어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좌선하고 있느냐? 아니면 앉아있는 부처의 흉내를 내고 있느냐? 만일 좌선을 배운다면 선(禪)은 행주좌와(行住坐臥)에 구애되지 않으며, 앉아있는 부처를 배운다면 부처는 일정한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무주법(無住法)에 대하여 취사(取捨)를 하지 말라. 그대가 만약 좌불(坐佛)이 되고자 한다면, 너는 앉아있는 불타를 배워서 오히려 부처를 죽이는(殺佛) 죄를 범하고 있다. 좌상(坐相)에 집착해서는 그 진리에 도달할 수 없느니라.”

“벽돌을 갈아 거울을 만든다.” 즉 ‘남악마전(南嶽磨塼)’의 공안은 좌선의 근본 정신을 밝힌 것으로 좌선(坐禪)할 때에는 한 물건에도 구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에 좌선(坐禪)할 때에 부처가 되려고 하는 마음이 있다면, 마치 벽돌을 갈아서 거울을 만들려는 것과 똑같이 한낱 쓸데없는 일입니다. 다시 말해 수행의 근본이 부처를 찾고, 마음을 찾는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그 자체가 분별이고 집착이 되어서 차별상에 떨어지고 맙니다. 우리가 선정을 통해 진리를 발견해가는 것은 그러한 차별, 분별, 집착을 넘어서는 단계입니다.

인해스님 (동화사 강사) 글. 월간반야 2005년 4월 제53호

범종도 잠이 든 삼경

적막종범야삼경 寂寞鐘梵夜三更 범종도 잠이 든 삼경의 깊은 밤에

낙엽수풍작우성 落葉隨風作雨聲 낙엽은 바람 따라 빗소리를 내는구나.

경기척창청불매 驚起拓窓淸不寐 놀라 일어나 창을 여니 잠은 달아나고

만공추월정분명 滿空秋月正分明 하늘 가득 가을 달이 눈 시리도록 밝다.

선심(禪心)에 잠겨 가을밤의 풍경을 그려 놓았다. 산당정야(山堂靜夜)의 깊은 밤에 바람에 날리는 낙엽 소리가 비오는 소리처럼 들린다. 그 소리 들으니 정신이 더욱 맑아져 금새 잠이 달아나 버린다. 창문을 밀치고 밖을 내다보았더니 온 산을 비추고 있는 하늘의 달이 눈이 시리도록 밝다. 가을밤의 이 전경이 내 마음속에 들어 있을 때 달과 산과 내가 하나가 아니겠는가? 천지만물이 같은 뿌리라 했다. 그렇다면 천(天)․ 지(地)․ 인(人) 삼재(三才)가 또 다른 나를 구성하는 삼요소가 될 것이다. 하늘과 땅이 내 몸이고 나는 법성이 되어 시공 위에 앉아 있는 철없는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이 시는 취미수초(翠微守初·1590~1668) 스님의 시이다. 조선조 중기의 스님으로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이었던 성삼문의 후손으로 출가한 후 부휴선수의 추천으로 벽암각성의 문하에 들어가 법을 잇고 폈다. 당시의 여러 고승들을 참방하고 유학자들과 폭 넓은 교류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문에 능하여 문집 <취미당집>과 함께 <취미대사시집>이 전해진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12월 제97호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잠자지

飢來喫食困來眠(기래끽식곤래면)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잠자지

一種平懷萬境閑(일종평회만경한) 마음 한 번 쉬어지니 모든 일에 한가롭네.

莫把是非來辨我(막파시비래변아) 시비를 들이대며 내게 따지지 말게나.

浮生人事不相干(부생인사불상간) 뜬세상의 사람 일을 간섭하지 않노라.

백운경한(白雲景閑, 1298~1374)은 고려 말의 대표적인 선승(禪僧)으로 이름난 스님이다. 7살의 어린 나이에 출가한 그는 54세 되던 1351년에 원(元)나라에 들어가 석옥청공(石屋淸珙)을 만나 가르침을 받고 그의 법을 이어 고려에 돌아와서 선풍을 크게 일으킨 사람이다.

그의 선법(禪法)은 무심선(無心禪)이라고 말할 정도로 무심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가 편찬한『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로 된 것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서적으로 꼽힌다. 문집 『백운화상어록』남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