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심즉불(卽心卽佛)

당나라 때 마조스님의 문하에는 약 130여명의 제자가 나왔는데, 그 중 ꡐ대매법상(大梅法常, 752~839)ꡑ 이라는 스님이 계셨습니다. 그는 일찍이 온갖 경전에 통달하였지만 마음을 깨치지는 못하였다는 사실을 깨닫고 스승을 찾아다녔습니다. 여기저기 수소문 끝에 마조스님을 만나게 되어 항상 의문을 품고 있었던 것을 물었습니다.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마조스님은 ꡒ네 마음이 곧 부처다. 즉심즉불(卽心卽佛)ꡓ이라고 대답했습니다. “부처를 묻는 네 마음이 곧 부처”라는 것입니다. 이 대답에 법상스님은 그동안의 의문이 다 풀리고 크게 깨닫습니다.

선가(禪家)에서는 “장부는 스스로 하늘을 찌르는 기운이 있거니, 여래(부처)가 가는 길을 가지 않는다(丈夫自有沖天氣 不向如來行處行)”는 말이 있습니다. 불교공부의 구경목표는 해탈입니다. 해탈은 그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대자유자재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부처니 조사니 하는 것은 모두 중생의 병을 낫게 하는 약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병이 다 나으면 약이 필요 없듯이 참다운 해탈을 이루고 나면 부처도 조사도 필요 없다는 말입니다.

또 『화엄경』에서는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셋에는 차별이 없다 (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고 하여 우리 모두가 부처가 될 수 있는 선근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마음을 깨치기 전에는 중생이라고 말하지만, 깨치고 나면 모두가 부처님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므로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10월 제47호

○인해스님은 팔공산 동화사 강원의 강사이다.

주머니속의 섬

하동포구 모퉁이를 돌아 19번 국도,

섬진강 모래톱에 서면

나는 문득 바다가 된다

주머니 속에 들어있는 섬 하나 꺼내놓으면

바라만 보아도 가슴 아려 눈물 나는 윤슬,

함께 어울려 반짝이는

가리비 조가비 매생이들이 너나들이 하며

물보라꽃 높이높이 피워 올린다

이윽고 마흔아홉의 아버지

향기로운 윤슬 밟으며 나타나신다

사랑에도

발효의 시간과 기다림의 시간이 필요하고,

잊는 것에도 오랜 기다림이 필요하다시던

아버지,

환하게 웃으며 등 내미신다

가까이 다가오는 수평선 자락 들어 올리면

작은 섬들이 파도소리를 내며 줄줄이 올라오고

누군가를 위해

따뜻한 등 내어주고 싶은 낮은 산들도

졸망졸망 뒤따라온다

文殊華 하영 시인 글. 월간 반야 2010년 5월 114호

존재하는 만물은 오고 또 와도 다 오지를 못하니

유물래래부진래 有物來來不盡來 존재하는 만물은 오고 또 와도 다 오지를 못하니

래재진처우종래 來纔盡處又從來 다 왔는가 싶으면 또 다시 오네.

래래본자래무시 來來本自來無時 오고 또 오는 것은 시작이 없는 데서 오는 것

위문군초하소래 爲問君初何所來 그대에게 묻노니 그대는 어디서 왔는가?

이 시는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1489~1546)의 시이다. 매우 철학적인 내용이 들어있는 시이다. 만물이 생성되어 현상을 이루는 이치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 화엄학에서는 법계무진연기라 한다. 와도 옴이 없고 가도 감이 없다는 것은 법성의 당체에서는 일체 내왕이 끊어졌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연 따라 왔으되 온 곳이 없다는 것. 이것을 깨닫게 하기 위하여 그대는 어디서 왔느냐고 묻는다.

서경덕은 조선 초기 성종, 명종 때의 학자로 타고난 총명이 있어 학문적 자질이 출중하였으나 벼슬길에 들어가는 것을 마다하고 송도 화담에서 서재를 만들어 학문에만 몰두한 인물이었다. 송도삼절(松都三絶)의 한 주인공으로 박연폭포와 기생 황진이(黃眞伊)와 함께 많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다.

황진이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를 남겨 인품의 고매함이 알려졌으며, 학문에 있어서는 중국 송대의 주돈이(周敦頤), 소강절(邵康節), 장재(張載)의 철학사상을 조화시켜 독자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의 학설을 제창하였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