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스님, 호랑이띠는 정말 무서운가 보죠?”

어느 날, 자리에 앉자마자 택시 기사를 뜬금 없이 이렇게 말을 꺼냈다.

“아니, 왜요? 호랑이띠라고 무섭겠습니까?”

“아닙니다. 정말이지 호랑이띠는 무섭습니다. 바로 제 마누라가 그렇지 뭡니까?”

백미러를 통해 바라보니 쉰이 훨씬 넘어 보이는 나이 지긋한 기사분이었다. 모처럼 속인이 아닌 가사를 걸친 나를 보니 속내를 얘기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나 또한 무료하지 않게 차 안에서 잠시 동안 기사분의 말 상대나 해줄 요량으로 웃으면서 가만히 앉아 얘기가 계속되기를 기다렸다.

무엇이 그리도 즐거운지 여전히 벙글벙글 웃으면서 그 기사는 자신의 얘기를 들려 주었다.

결혼한지 30년이 넘도록 그들 부부는 원수처럼 서로 보기만 하면 다투고 미워하고 심지어는 마주치기가 무서울 정도로 사이가 나빴다. 시장에서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고 부부는 오백생의 인연으로 만난다는데, 무슨 전생의 악연이 지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들 부부는 서로 마주보기만 하면 트집 잡고 원수처럼 으르렁대기 일쑤였다.

신혼 초부터 시작된 다툼은 한 달, 두 달이 지나 한 해, 두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져 서로에 대한 미움과 원망이 더해만 갔다. 결국 싸우다 못해 아예 남남으로 사는 것이 더 낫겠다 싶어 이혼을 결심하고 도장을 찍으려고 하기를 수십 번, 그러나 자식 때문에 망설이고 또 싸우고 하는 일이 반복되다보니 집이란 아예 생각하기도 싫은 지옥처럼 여겨졌다는 것이다.

한번은 택시 일을 그만두고 궁여지책으로 자그마한 식당을 열게 되었다. 그런데 이제는 더더욱 진퇴양난. 아침 저녁으로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나다보니 아내와 그는 사사건건 부딪히기 일쑤였다.

일을 하자면 자연 말을 해야 하고 서로 일을 도와야 하는데, 다툼의 도가 지나치다보니 만나기만 하면 서로 못 볼 것을 본 것처럼 으르렁대고 식당안이 그야말로 전쟁터였다. 식당이 잘 운영될 리 없었다. 결국 그는 다시 핸들을 잡게 됐다고 한다. 아내와 함께 있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면 낫지 않겠는가, 남들 보기가 창피하다.하는 생각에서 였다.

그러던 어느 날, 나이가 지긋하고 점잖게 생긴 중년의 어느 여자 손님을 태우게 됐는데 근처에 있는 절로 가자고 했다. 이 기사는 무심히, “손님. 절에는 무엇하러 가십니까?” 하고 물었다. 그랬더니 이 여자 손님은 “마음을 바꾸러 가지요.” 하더란다.

“그래, 절에 가면 마음이 바뀝니까?”

“그럼요, 외로운 마음도, 괴로움 마음도 겨울눈 녹듯이 사라지고 편안해 진답니다.”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진 이 기사는 무턱대고 그 손님을 따라 법당 안으로 들어갔다. 절법도 염송도 모르지만, 자꾸 절을 하다보니 이상하게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부처님, 제발 이 생지옥 같은 내 마누라 마음 좀 바꿔 주십시오!

난생 처음 진지한 마음으로 부처님을 부르며 간절한 마음이 되어 절을 하고 또 하고… 그러자 이상하게도 자신보다는 아내에 대한 연민이 솟구치는 것이었다.

그날 저녁 집에 돌아오자, 아내는 평소처럼 사소한 일로 화를 내기 시작했다.

예전 같았으면 그도 불같이 버럭 화를 냈어야 마땅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아내가 측은하게 생각됐기에 꾹 참고서, “여보 내가 잘못했소! 당신이 틀린 게 아니라 다 내가 잘못한 탓이오.”라고 말하면서 무조건 빌었다.

그러자 영문 모르는 아내는 그러는 남편의 행동을 보더니, “내가 살다가 별일을 다 보겠군. 당신이 나한테 이처럼 싹싹 빌기를 하다니! 당신, 낮에 쥐약이라도 먹었수?” 라고 빈정대면서 그의 진심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남편은 무슨 일로 싸움을 하든지 이제부터는 아내에게 먼저 져주기로 결심을 했다. 그가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 달 간을 그렇게 하자 아내도 차츰 누그러지면서 그의 진심을 깨달았는지, “그래요, 나도 생각해 보니 잘못한 게 많수. 우리가 살면 얼마나 산다고, 이제 그만 싸웁시다.” 라며 남편의 손을 잡았다.

그 뒤부터는 남들이 모두 부러워할 만큼 사이좋은 부부가 되었다고 한다. 닫혔던 마음의 문을 열자 서로를 연민의 마음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서로를 이해하게 되면서 새로운 제2의 결혼 생활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스님! 마음 한 번 바꾸니 이처럼 세상이 편한 것을 제가 왜 진작 몰랐었는지요?” 그 기사는 내게 빙긋이 웃으며 이렇게 말을 끝냈다.

그렇다. 이 기사분의 말처럼 세상사가 다 마음 먹기에 달렸다. 슬픈 일도, 아무리 괴로운 일도 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법이라고 한다.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어느 짚신 장사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옛예날 어느 동네에 짚신 장사를 하는 큰 아들과 우산 장사를 하는 작은 아들을 둔 노모가 있었다.

이 노모는 날이 맑으면 우산이 팔리지 않는다고 작은아들을 걱정하고, 비가 오면 짚신이 팔리지 않는다고 큰아들을 걱정하여 일 년 내내 걱정이 떠날 날이 없었다.

하루는 스님 한 분이 탁발을 왔다가 근심스런 표정으로 시름에 잠겨 있는 이 노모를 보고, “무슨 근심이 있으신 모양인데 왜 그러십니까?”하고 물었다.

그러자 노모는 깊은 한숨을 내쉬며, “스님, 나는 불행한 사람입니다. 두 아들 때문에 한시도 근심이 떠날 날이 없어 마음이 늘 괴로우니 이를 어찌하면 됩니까?”하며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 잠시 이야기를 듣고 난 스님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마음을 바궈보세요. 비가 오는 날은 우산이 잘 팔리니 즐겁고, 날이 좋으면 짚신이 잘 팔리니 기쁘구나 하는 마음을 가지면 일 년 내내 즐거울 것입니다.”

그러자 노모는 그때부터 즐거운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삶이란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세상에서 가장 강한 것도 마음이요, 가장 약한 것도 마음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마음이란 것은 사람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불가에서는 수행자들이 수행을 할 때 이 마음 공부를 중요시했다. 모든 깨달음이란 이러한 마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에 관한 재미난 일화 한 가지가 있다.

하루는 어느 노 스님이 제자와 산행길에 올랐다. 그런데 제자가 힘이 들었던지 자꾸만 스님 뒤로 처지는 것이었다. 노스님도 별 어려움 없이 산길을 오르는데, 젊은 제자가 오히려 가쁜 숨을 몰아쉬며 힘겨워하는 모습이라니… 이를 보다 못한 스님은 제자를 달래기도 하고 나무라기도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스님, 이제 더 이상은 못 가겠습니다… 조금 쉬었다가 가시지요!”

산중의 어느 마을에 당도하자 제자는 아예 그 자리에 주저앉아 일어날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마침 그때, 아리따운 산골 처녀 하나가 물동이에 물을 가득 이고서 저쪽에서 오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제자도 목이 마르던 참이었다. 처녀가 다가오자 스님은 물 한 그릇을 청했다. 그러자 처녀는 다소곳이 물항아리를 내려 놓은 다음 물을 뜨려고 엎드렸다. 바로 그때 갑자기 스님은 처녀에게 달려들어 기습적으로 입을 맞추었다.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아악!”

노스님의 난데없는 입맞춤에 놀란 처녀의 비명소리에 놀란 것은 오히려 제자 쪽이었다. 물항아리는 이미 산산조각이 나 있었다. 여기저기서 마을 사람들이 몰려나와 이 광경을 보더니 사태를 눈치챘다.

“저놈들 잡아라!”

마을 사람들은 큰소리로 외치며 두 사람을 뒤쫓아오기 시작했다. 여기서 만약 잡힌다면 두 사람 다 끝장날 판이었다.

스님과 제자는 산 속으로 줄행랑을 치기 시작했다. 어디서 그런 초인적인 힘이 났는지 스님과 제자는 재빠르게 가파른 산비탈을 뛰어 넘었다. 얼마나 달렸을가, 마침내 사람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자 스님은 숨을 몰아쉬며 제자에게 넌지시 물었다.

“이봐라, 힘들지 않니?”

“힘들다니요?”

스승의 물음에 제자는 무엇이 힘드냐는 듯이 태연스런 표정을 짓고 있었다. 그때 스님이 한바탕 웃음을 터뜨렸다.

“그것봐라, 이놈아! 내 너에게 마음 먹기에 따라서 라고 말하지 않았더냐? 네놈 꼴이 얼마나 우스웠는지 아느냐? 아까는 힘들다고 엄살을 떨더니, 도망칠 땐 네 스승을 앞질러 달리지 않았더냐? 이제보니 네 놈이 스승 팽개치고 달아날 놈이로구나, 허허허!”

“…!”

잠시 멍청히 서 있던 제자는 곧 깨닫고 나서 스승을 향해 큰절을 올렸다. 노스님은 제자에게 마음 공부를 가르칠 요량으로 처녀의 입술을 잠깐 실례했던 것이다.

모든 일의 근본은 마음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라는 법구경의 말씀이 있다. 모든 선과 악의 주인도 다 마음이라고 했다. 선한 일도 악한 행위도 마음에 의해 지어지는 결과인 것이다. 세상을 보는 이의 마음이 편하면 아무리 힘들고 고된 인생이라 해도 괴롭게 여겨지지 않는 법이다.

지금 내 마음은 어떠한가, 과연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하루하루가 좋은 날이 되도록 참된 마음을 지니도록 하자.

우리 모두 지혜로운 마음의 눈을 뜨자,

三中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