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파불교 ‘의근’ 개념과 대승유식 심식설의 체계화

6식(識) 즉,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은 6근(根) 즉, ‘안, 이, 비, 설, 신, 의근’을 의지하여 6경(境), 이른바 ‘색, 성, 향, 미, 촉, 법경’을 반연한다. 예를 들어 사과라고 인식하는 안식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안근인 눈을 의지하여 사과라는 대상 즉 색경을 반연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6식 중 ‘의식’은 무엇을 의지하여 법경을 반연하는 것인가? 즉 의근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눈, 코, 귀, 혀, 몸의 5근은 감각기관으로서 이해가 되지만 도저히 ‘의근’이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물론 뇌를 의근이라고 판단해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뇌는 우리 몸의 일부일 뿐 그것을 정신적인 작용을 하는 의근과 필요충분조건이라 설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부파불교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이러한 의근에 대하여 “6식이 현행을 마치고 과거로 사라져 갈 때에, 사라지면서 다음 순간의 식이 발생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의근이다.” 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그 비유로써 아버지로부터 태어난 아들이 자라서 다시 아버지가 되는 경우와 여기서 열매인 것이 저기서는 종자로 작용하는 경우를 들고 있다. 즉 여기서의 결과가 다시 원인으로서 작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행으로서 작용하고 사라지는 현재의 6식이 다음 순간 식의 발생조건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의근’이라고 본다.

그리하여 “무간멸(無間滅)의 의(意)로서 의식이 생기기 전의 이미 사라진 제6식의 총체가 곧 의식” 이라고 표현하면서 염념멸(念念滅: 생각의 찰나찰나 사라져 감) 하며 사라져간 전념(前念: 현재찰나 바로 이전의 생각)을 의근으로 하여 의식이 발생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것은 마치 6개의 창문(안이비설신의 6근)이 있는 어떤 방에 원숭이(의식) 한 마리가 앉아서 매우 빠른 속도로 창문들 사이를 왔다 갔다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면 각 창문마다 원숭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한 마리(의식)만이 작용하는 것과 같다. 즉 안식이나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이 각각 다른 존재들이 아니라 의식의 총체이며, 이것이 찰나찰나 생겨나고 사라지는 과정에서 앞서 사라져버린 의식이 바로 의근으로 작용하여 다음 찰나의 의식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부파불교의 아비달마이론에서는 마음의 체성(體性)은 하나이며 마음心이 곧 의(意)이며 의는 또한 식(識)으로서 이들은 이름만 다를 뿐 그 본질은 같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일체경식(一切境識)으로서 유위무위의 일체제법을 의식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에 당시에서는 ‘의식’ 하나만 가지고도 모든 인식활동을 설명할 수 있었다. 하지만, 5위무심의 상태, 즉 의식이 끊어져 더이상 의근에 의지할 수 없는 상태에 대한 의문이 등장하면서 의식만 가지고 모든 인식활동을 설명하려던 부파불교의 이론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왜냐하면 의식이 모든 인식활동을 관장한다면 의식이 끊어진 상태에서는 모든 인식활동은 불가능한 것이며 한 존재의 의식적 연속성은 단절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위무심(五位無心)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1. 극수면 – 아주 깊은 잠

2. 민 절 – 기절상태

3. 무상천 – 어떠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는 세계

4. 무상정 – 심리작용 멸절상태

5. 멸진정 – 모든 것이 끊어진 선정상태

따라서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비록 제6의식이 료별(了別)함을 자성으로 삼고 있지만, 근본번뇌인 아치, 아견, 아만 및 아애 등과 같은 번뇌들과 함께하며 항상 무엇인가를 살펴서 분별하는 ‘항심사량성’을 지닐 수 있는 어떤 심식과 함께 위에서 설명한 다섯가지 의식의 단절상태인 ‘오위무심의 상태에서도 끊어지지 않고 ‘의근’으로서 작용할 견고한 심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하여 먼저 제8아뢰아식의 성질을 가진 심식이 설정되어 마음을 영원히 유지시켜주면서 업력까지도 보존하게 하였으나 무엇인가를 살피는 이른바 심세성(審細性)이 없으므로 항심사량성(恒心思量性)을 지닌 제7말나식이 제6식과 제8아뢰아식 사이에 설정하였다.

결국 대승의 사상(유식)에서는 구사론과 같은 아비달마의 이론에서 발견될 수 있는 맹점과 오류를 제7말나식을 ‘의근’으로 설정함으로서 해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필요에 의한 심식개념의 상정이 단지 인위적 장치라는 점에서 인간의 분별이 낳은 하나의 이론에 불과하지 않는가 하는 반박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 유식의 논사들이 인간의 심식을 고도의 선정경지에서 파악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이것은 인간의 마음을 궁구하여 얻은 하나의 수행적 결과물이라고 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신경스님, 월간반야 2010년 9월 제118호

부자로 살자

한 장 남은 달력을 바라다 보며 나는 지나온 한 해를 돌아다 본다. 매년 그래왔던 것처럼 크게 변한 것도 없는데 새삼스럽게 돌이켜 보며 내년에는 더 나아질까를 고민도 해본다.

우리 서민 입장에서야 큰 관심 사항중의 하나가 경제 문제이다. 부자가 되면 경제적인 면에서만큼은 해방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 뉴스에 관심을 가지고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까를 이런 저런 생각들로 머리를 굴리곤 한다.

누구나가 다 같이 느끼는 사항이지만 세상은 참으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 빠른 변화를 가져 온 한가지는 인터넷이라는 도구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듯하다.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이 시스템은 원래 미국의 국방 프로젝트 중 하나로 출발하여 개발된 것이다. 시스템으로 내부 망을 만들어 좀 더 효과적으로 업무를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민간에게 개방되면서 오늘날 같이 급속도로 발전되었다. 요사이 젊은이라면 인터넷 없이 살아갈 수 있을까? 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이다. 이런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부자로 살아갈 수 있을까? 본인이 인터넷 이야기를 꺼낸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이다. 하나는 정보화를 이야기 하고자 함이고 다른 하나는 네트워킹(net working)을 이야기 하고자 함이다. 그러면 정보화와 부자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정보에는 참 정보와 거짓 정보가 있다. 참 정보는 우리를 유익하게 할 것이고 거짓정보는 우리에게 불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부자가 되려면 먼저 고급 정보를 선점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금의 사회는 정보가 곧 돈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회의원이나 고위직 공무원, 나아가서 기업에서 핵심 부서에서 일하는 자 이 모든 이들이 고급 정보를 선점할 수 있는 위치에 있기에 서로 혈안이 되어 그 자리에 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면 1997년 우리나라는 IMF로 경제적 위기를 맞이한 적이 있다. 이때 우리 개인들은 어떻게 대처를 하였는가? 대처한 결과를 보면 정보의 부재로 부자가 가난한 사람으로 전락 했는가 하면 가난하던 사람이 부자로 변신한 사실을 주변에서 많이 보았을 것이다.

이제 다른 하나인 네트워킹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자. 네트라는 말이 무엇인가?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그물망 아닌가? 결론적으로 네트워킹이란 그물망 같이 연결된 속에서 일을 하라는 것이다. 왜 일까? 내가 필요로 하는 정보 및 도움을 쉽게 얻기 위해서다. 업무만이 아닌 사람 사이에도 네트웍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인맥관리인 것이다.

좋은 인적 네트웍이란 내가 필요로 하는 좋은 정보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좋고 특히 고급 정보를 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좋을 것이다. 한번 생각해 보자 현 위치에서의 나는 어떤 고급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적 네트웍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다른 한편으로 우리 절에 나오시는 모든 불자님들 우리 절 안에서 얼마나 끈끈한 네트웍을 유지하고 계시는지요? 먼저 발심하시어 우리 절에서 네트웍을 먼저 세워 보심은 어떠하실런지요? 그 출발은 서로 먼저 인사하고 한번씩 전화하여 안부를 물어주는 것은 아닐까요? 우리 반야암 불자님들 모두 부디 고급 정보를 많이 선점하여 내년부터는 부자로 살아가시기를 발원해봅니다.

부모님의 크신 마음

나의 고향은 비교적 가난한 곳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가정형편도 안되고 머리도 안되는 나를 대구로 유학을 보냈다. 대구중학을 다녔는데 공부가 하기 싫었다. 1학년 8반, 석차는 68/68, 꼴찌를 했다. 부끄러운 성적표를 가지고 고향에 가는 어린 마음에도 그 성적을 내밀 자신이 없었다. 당신이 교육을 받지 못한 한을 자식을 통해 풀고자 했는데, 꼴찌라니…

끼니를 제대로 잇지 못하는 소작농을 하면서도 아들을 중학교에 보낼 생각을 한 아버지를 떠올리면 그냥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성적표를 1/68로 고쳐 아버지께 보여드렸다. 아버지는 보통학교도 다니지 않았으므로 내가 1등으로 고친 성적표를 알아차리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대구로 유학한 아들이 집으로 왔으니 친지들이 몰려와 “찬석이는 공부를 잘 했더냐”고 물었다. 아버지는, “앞으로 봐야제… 이번에는 어쩌다 1등을 했는가 배…” 했다. “명순(아버지)이는 자식 하나는 잘 뒀어. 1등을 했으면 책거리를 해야제” 했다.

당시 우리집은 동네에서 가장 가난한 살림이었다. 이튿날 강에서 멱을 감고 돌아오니, 아버지는 한 마리뿐인 돼지를 잡아 동네 사람들을 모아 놓고 잔치를 하고 있었다. 그 돼지는 우리집 재산목록 1호였다.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진 것이다.

“아부지…” 하고 불렀지만 다음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달려 나갔다. 그 뒤로 나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겁이 난 나는 강으로 가 죽어버리고 싶은 마음에 물속에서 숨을 안 쉬고 버티기도 했고, 주먹으로 내 머리를 내리치기도 했다. 충격적인 그 사건 이후 나는 달라졌다. 항상 그 일이 머리에 맴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17년 후 나는 대학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나의 아들이 중학교에 입학했을 때, 그러니까 내 나이 45세가 되던 어느 날, 부모님 앞에 33년 전의 일을 사과하기 위해 “어무이.., 저 중학교 1학년 때 1등은요…” 하고 말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옆에서 담배를 피우시던 아버지께서 “알고 있었다. 그만 해라. 민우(손자)가 듣는다.” 고 하셨다.

자식의 위조한 성적을 알고도, 재산목록 1호인 돼지를 잡아 잔치를 하신 부모님 마음을, 박사이고 교수이고 대학 총장인 나는, 아직도 감히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