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唯識)의 심(心)과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의 정신(精神) – 두 개념의 분석적 비교를 중심으로

Freud로부터 시작하여 Jung을 거쳐 발전해 나가는 정신분석학 내지 분석심리학의 여러 이론들은 마음을 중시하여 일체 현상계를 설명해나가는 불교유식사상과 많은 비교연구를 통해 발전해왔고, 지금은 생물학적, 의학적, 사회과학적인 많은 이론들과 상호 연결되어 계속해서 연구 ․ 발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오늘날 불교적 심리치료라는 면에서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마음(心)과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의 정신(精神)의 개념에 대한 비교는 모든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우선적으로 고찰되어야할 내용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지에서는 유식사상에서의 심리분석이라 할 수 있는 팔식설(八識說)을 서구 분석심리학에서 주장하는 정신의 개념 및 분류와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심리치료 및 대극합일(對極合一)의 분석심리학적 목표와 해탈(解脫)이라는 불교적 목표와의 차이점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유식의 마음(心)과 분석심리학의 정신(精神)

-. 제6의식과 의식

유식에서의 의식(意識)은 전5식과 결합하여 대상을 총괄적으로 판단, 분별하는 심적인 작용을 가리키며 감각기관과의 관계여부에 따라 오구의식(五具意識)과 독두(獨頭)의식으로 대별하고, 다시 하위개념으로 더욱 세분화되어 설명된다. 하지만 분석심리학에서의 의식은 자아(自我)에 의해서 지각되고 있는 정신적인 내용물(內容物)을 가리키고, 이에 지각되지 않는 것은 무의식(無意識)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적 내용을 합리적 판단작용인 사고와 감정, 비합리적 판단작용인 감각과 직관에 따른 내용물로 나누고, 또다시 각각을 주체와 객체에 따라 내향성(內向性)과 외향성(外向性)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것은 서구의 이원론적 학문태도가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유식론에서는 의식을 그 성질에 따라 세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분석심리학에서는 그 성질에 관계없이 자아에 의해 지각되고 있는 정신적 내용물을 통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의식은 자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분석심리학적 자아가 의식의 내용을 이루는 동시에 의식이 의식일 수 있는 조건이 되고, 유식론의 자아는 의식의 소의근(所衣根)으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식론의 제6의식과 분석심리학의 의식은 심적작용과 정신적 내용물이라는 약간의 개념적 차이를 가지지만, 각각 자아라는 관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 제7말나식과 자아

Freud의 정신분석학을 확장, 발전시킨 Jung의 분석심리학이론에서는 의식의 주체로서 자아(ego)가 외적인격인 ‘persona’와 무의식적 측면인 ‘shadow’의 모습을 동시에 가졌으며, 그것은 의식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작용을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아관념은 의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에 전 인격의 중심이라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고 하였다. 따라서 분석심리학의 착각된 자아관념은 유식론에서의 아집작용(我執作用)에 의한 편계소집성(偏計所執性)으로서의 가아(假我)의 개념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념상의 모습은 집착된 관념이란 측면에서 비슷할지도 모르나, 작용적인 측면에서 분석심리학적 자아가 네 가지 정신적작용을 직접 일으키면서 의식이라는 내용물을 이루는 것과 달리, 유식론의 말나식에 의한 자아는 대상세계를 대립적으로 분할해내면서 가립된 자아관념을 일으키고 있지만, 직접 정신적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제6의식에 의해서 표면적 정신활동을 일으킨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본다.

-. 第8아뢰야식과 무의식

분석심리학의 이론에서 무의식이 의식을 제외한 모든 정신적인 부분을 포괄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범주상의 특징으로 인해 유식론의 아뢰야식(阿賴耶識)과 많은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Freud는 반사회적이고 비도덕적인 id의 내용들이 초자아(superego)의 작용으로 억압되어 무의식의 영역으로 쫓겨났다가 인간의 행위를 지속적으로 제약한다고 하였다. 또한 Jung은 Freud의 무의식관에서 좀 더 확대 발전되어 개인이 겪은 체험내용 가운데 잊어버린 것, 억압된 것, 의식에 도달하기 미약한 지각의 내용들이 개인적 무의식을 형성하며, 개인의 특성이 아닌 인류일반의 잠재된 요소를 집단적 무의식이라 보았다.

이것은 제8아뢰야식이 가지는 보존주체로서의 능장(能藏)과 보존처로서의 소장(所藏)의 기능과 거의 유사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인간의식과 판단에 영향을 주어 행위를 제약한다는 측면에서는 ‘종자생현행(種子生現行)’이라는 아뢰아식의 특성과 닿아있다. 다만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의 이론에서 본다면 반사회적이고 비도덕적인 내용들의 함장을 얘기한 Freud의 이론보다 확대된 Jung의 이론에 더욱 가깝다고 하겠다. 또한 유식에서 개체의 아뢰아식 종자가 삼세에 걸친 양중인과(兩重因果)로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분석심리학에서의 무의식은 집단무의식으로서 선험적의식(先驗的意識)을 상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삼세에 걸친 인과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아뢰아식보다 그 범주가 좁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아뢰야식(阿賴耶識)의 견분(見分)을 제7말라식이 실재적 주체로 착각하는 것처럼 자아가 무의식적으로 투사된 심리적 상을 실재하는 사물로 착각하여 집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아뢰아식은 분석심리학의 무의식이 갖는 보상기능이 결여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대극합일(對極合一)과 해탈(解脫)

분석심리학 이론의 목표는 인간심성의 분석과 그 치료에 있다. 그 방법으로는 적극적명상법을 통해 깨어있는 상태에서 무의식의 내용인 환상상(幻想像)을 관조하고 직면하여 초월기능을 일으켜 대극합일(對極合一)에 이르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착각된 자아성을 버리고 분석심리학적 정신의 본질인 자기로 돌아감으로서 실현되는 것으로 자기화는 분석심리학적 목표이다. 이에 반해 제법(諸法)을 5위100법으로 분석한 불교유식의 목표는 유루(有漏)의 세계인 현상계를 분석하여 그 실상(實相)을 간파하여 무루(無漏)의 세계로 이끎에 있다. 결국 심리분석이라는 측면에서는 공통적인 취지를 가지고 있지만, 궁극적인 목표에 있어서는 오히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식의 목표가 조화와 전체성이라면, 해탈은 자기실현이라는 일차적 목표를 넘어 현상적 측면으로부터의 완전한 초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불교유식에서의 마음(心)과 분석심리학에서의 정신의 개념을 구성요소별로 대응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두 사상의 목표로서의 대극합일적 자기화와 해탈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각각의 의식요소의 고찰에 있어서는 Jung의 생각과 마찬가지로 불교의 유식사상은 서구의 분석심리학과 많은 부분에 있어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물론 그 분석방법이나 태도에 있어서는 상이점을 보이고 있고, 그 목표에 있어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은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하지만 그 궁극적 지향점에 대한 논의가 아닌 인간심리의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두 사상이 가지는 연결성은 앞으로 불교가 서구의 분석심리학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의 두 사상의 정신분석적 개념에 대한 논의는 미래 심리치료학 발전의 초석으로서 계속적으로 연구 보완되어야할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늘날 티벳의 명상수행이 서구의 뇌신경생리학과 만나 이미 그 효용성이 증명되고 있는 사실에서, 불교의 심층심리학인 유식이 서구의 분석심리학과의 소통과 발전적 모색을 통해 실천적 측면에서 불교심리치료와 같은 현실적 적용과 응용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신경스님, 반야사, 월간반야 2010년 6월 제115호

우주를 소요하는 것 누가 나를 당할 것인가

宇宙逍遙孰我當(우주소요숙아당) 우주를 소요하는 것 누가 나를 당할 것인가?

尋常隨意任彷徉(심상수의임반양) 늘 기분대로 자유롭게 배회하노라

石床坐臥衣裳冷(석상좌와의상냉) 돌 침상에 앉고 누우니 옷이 차갑고

花塢歸來杖屨香(화오귀래장구향) 꽃 핀 언덕에서 돌아오니 지팡이와

신발이 향기롭구나.

산에 사는 사람이 도락을 즐기면서 자신의 흥을 읊어 놓은 시이다. 우주를 소요한다는 말이 무슨 말일까? 세상의 모든 것에 구애되지 않고 마음의 자유를 흠뻑 누린다는 말인 것 같지만 이것 가지고는 설명이 부족하다. 이른바 근심 걱정, 사랑과 미움, 돈과 명예 따위에 자유로워졌다는 것도 대단하기는 하지만 중요한 것은 내 마음이 우주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그대로 나는 우주아가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외칠 수가 있는 것이다.

허응당 보우(虛應普雨: ?~1565) 스님의 시이다. 조선조 명종의 모후 문정왕후가 섭정할 때 왕후에 신임을 받아 불교중흥에 힘써다가 문조정왕후가 죽자 유생들의 모함을 받아 제주도에 유배되어 있다 제주목사 변협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일종의 순교였다. 승과(僧科)제도를 회복 서산 스님을 발굴한 일 등이 모두 보우스님의 업적으로 평가 받는다.

온갖 물건 대하여도

단자무심어만물 但自無心於萬物 온갖 물건 대하여도 무심해지면

하방만물상위요 何妨萬物常圍遶 나를 방해할 게 무어 있으랴

목우불파사자후 木牛不怕獅子吼 나무 소가 사자 울음 겁내지 않듯

흡사목인견화조 恰似木人見花鳥 허수아비 꽃 본 것과 다를 바 없네.

중국 선종사에서 거사로써 크게 선풍(禪風)을 드날린 사람이 있었다. 인도의 유마거사에 비유되는 방온(龐蘊․?~808)거사이다. 성만 따서 방거사로 불리어졌는데 처음 석두희천(石頭希遷)선사를 참방해 선지를 터득하고, 다시 마조도일(馬祖道一) 선사를 뵙고 크게 깨쳤다고 알려졌다. 대대로 유학을 숭상하던 명문가문의 부호였으나 불교에 귀의하고는 빈궁한 사람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산속에 들어가 초막을 짓고 살면서 가족 모두다 생사를 자유자재하는 도인으로 살았다는 전설적인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는 주옥같은 많은 선시(禪詩)를 남겼다. 그의 딸 영조(靈照)가 선기(禪機)가 민첩해 아버지가 앉던 좌복에 앉아 먼저 좌탈(坐脫)을 하였다는 일화도 있다. 당시의 많은 선사들과 교유하면서 선지를 폈으며, 특히 불상을 태워 소불공안(燒佛公案)을 남긴 단하천연(丹霞天然)선사와는 평생의 벗이 되어 지냈다. 마지막 임종시에 친한 친구였던 절도사 우적의 무릎을 베고 입적하면서 “모든 것이 공하기를 바랄지언정 결코 없는 것을 진실로 존재하는 것인 것처럼 생각하지 마시오. 세상을 잘 사시오 모두가 메아리와 같았소이다”라는 임종게를 남겼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2월 제8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