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생명

올해 봄의 우리나라 가뭄은 기상관측 이후 가히 최악의 사태에 이르렀지만 장마라고 하는 계절적 기상현상이 그래도 생명체들의 씨를 말리는 것만은 면하게 하였다. 그러나 곧바로 밀어닥친 집중호우와 태풍까지 곁들여 이젠 물난리를 겪게 되었다.

비가 와도 걱정 안 와도 걱정, 가뭄이 들어도 걱정 장마가 져도 걱정. 옛 이야기에 나오는 나막신 장수와 우산 장수를 하는 두 아들을 둔 어머니의 심정과 다를 바 아니다. 최근 지구환경 문제의 핵심과제인 온난화 현상이나 사막화 현상은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지구 오존층의 파괴가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양의 동서나 남ㆍ북반구나 문명국가와 미개국가를 가릴 것 없이 때로는 홍수가 때로는 가뭄의 재앙이 시도 때도 없이 찾아와 인간의 삶의 터전을 강타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이룩해 놓은 알량한 과학 지식으로는 속수무책이다. 다급해지면 속죄하는 심경으로 하늘만 쳐다볼 뿐. 오늘 아침 모 일간지에 ‘토지’의 작가 박경리 선생의 인터뷰 기사가 실렸는데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이지만 문학 뿐 아니라 이데올로기는 물론이고, 예술이나 종교가 생존을 앞선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하면서, 최근의 날씨와 관련지어 자연과 생명이 당하는 고통이 안쓰럽다고 하였다. 다시금 생명과 환경과 문화의 관계를 생각하게 해 주었다.

몇 년 전 류시화 시인이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연설문을 번역하여 엮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하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한마디로 문명 비판적인, 반문명적인 메시지와 함께 그들의 정신세계를 잘 드러낸 글이라고 생각했다. 제도적인 교육이라곤 받아본 적이 없는 그들이었지만 자연주의자로서, 대지를 사랑하고 대지 위의 모든 것을 사랑하였다. 아이들에게도 늘 자연에 가까이 가도록 해서 부드러운 심장을 갖도록 했다. 따뜻한 대지, 부드러운 공기, 재잘거리는 시냇물, 햇살 속에 반짝이는 소나무들, 모래밭, 검은 숲에 걸려 있는 안개, 벌 한 마리까지도 신성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들 인디언은 대지의 일부이며, 대지는 그들의 일부분이다. 들꽃은 그들의 누이이고, 순록과 말과 독수리는 그들의 형제다. 강의 물결과 초원의 꽃의 수액과 조랑말의 땀과 인간의 땀은 모두가 하나이기에 그들 모두는 같은 부족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의 조용한 외침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임을 증명하기에 족했다. 그들은 그들의 위대한 정령이 만들어 놓은 대로 세상의 만물에 만족하고 손대지 않는다. 그러나 문명인들은 그렇지 않다. 강이나 산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마구 헐고 바꿔버린다. 문명인들은 그것을 창조라고 하고 건설이라고 하지만 인디언들의 눈에는 철없는 파괴로 보일 뿐이다.

이따금 시골에 가면 경지정리니, 직강공사니, 하천정비라는 이름으로 마을 앞의 개천 공사를 잘못하여 큰 물 피해를 입었다고 하는 촌로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무엇이 인간을 위하는 일이며, 자연과 생명을 위하는 일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 지구 위의 유일한 생산자는 식물이요, 동물은 완벽한 소비자이며, 최대의 소비자는 인간이라고 한 어느 환경론자의 주장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아니 소비자라는 말 대신에 파괴자라고 하면 무리일까.

최근에 또 불사 문제로 안팎이 뒤숭숭하다. 생각해 볼 일이다.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1년 7월 (제8호)

서로 서로 만날때 향기를 얻고

물물봉시각득향 物物逢時各得香 서로서로 만날 때 향기를 얻고

화풍도처진춘양 和風到處盡春陽 온화한 바람 속에 봄볕도 따사롭네

인생고락종심기 人生苦樂從心起 인생의 괴로움과 즐거움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활안조래만사강 活眼照來萬事康 활달한 눈으로 세상을 보면 만사가 모 두 편안하리라.

우리가 사는 세상은 마음의 느낌에 따라서 아름답고 좋게 보이기도 하고 나쁘고 추하게 보이기도 하는 법이다. 때문에 좋은 느낌을 가지고 세상을 살면 인생은 아름답고 즐거운 것이다. 인연 따라 이루어지는 너와 나의 만남에 있어서 꽃의 향기처럼 서로서로 마음의 향기를 풍기자. 온화한 봄바람이 양지의 언덕을 스치듯 기분 좋게 세상을 살아갈 때 원망하고 증오할 일이 어디 있겠는가? 다만 마음의 눈이 열려 지혜로운 처신을 할 수 있는 역량이 내게 갖추어졌느냐가 문제다. 인생은 생각에서 망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생각에 끼어 드는 감정이 잘못될 때 절망과 비탄에 빠져 스스로 포기하게 되며 따라서 자신의 인생이 실패로 끝난다는 뜻이다. 도심(道心)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인생실패는 없다. 세속적 가치를 초월하여 삶의 본질을 탐구하여 자기 정체를 찾고자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세상의 경계에 부딪쳐 자신을 괴로워하지 않는다. 마음을 고쳐먹으면 지금 빠져 있는 감정에서 쉬이 벗어날 수도 있다. 비탄이나 고통에 짓눌리는 일도 마음을 바꾸면 아무렇지도 않게 편안해 질 수 있다. 모든 분별은 스스로의 마음을 분별하는 것이다. 똑같은 상황을 A는 부정적으로 보고 B는 긍정적으로 보는 수가 얼마든지 있다.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마음 대로지만 그 마음이 어떤 마음인가 역시 마음이 문제일 뿐이다.

이 시는 근세의 대선사였던 경봉(鏡峰)스님의 시다. 스님의 법명은 정석(靖錫), 속성은 김씨였다. 1892년에 밀양에서 출생하여 어려서 유학을 마치고 15세에 모친상을 당하고 이듬해 16세에 출가, 양산 통도사에서 성해스님을 의지해 스님이 되었다. 두루 경전을 섭렵하고 참선수행으로 정진하다가 36세에 한밤중 촛불이 흔들리는 것을 보고 도를 깨달았다. 그후 제방의 수좌를 제접하면서 여러 선원의 조실로 추대되었다. 1982년 법랍 76 세수 91세로 입적하였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3년 4월 (제1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