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

어느 날 한 사람의 수행승이 조주(趙州) 스님(778-897)에게 물었습니다. “개에게도 불성(佛性) 있습니까?” 조주(趙州) 스님이 대답했습니다. “무(無)!”

이것이 소위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의 화두입니다. 구자(狗子)의 ‘자(子)’는 의자(椅子), 탁자(卓子)의 예처럼 어조사로 뜻은 없습니다. 수행승의 질문을 받은 조주 선사는 중국 산동성 태생으로 성은 학씨(郝氏)로 이름은 종심입니다. 조주(趙州)의 관음원(觀音院)에서 살았으므로 세상 사람들은 그를 조주 선사라고 불렀습니다. 남전선사의 법을 이어서 한평생 선(禪)을 하면서 살아간 고승으로 당대 선계(禪界)의 거물이었습니다. 120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열반경』에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 悉有佛性)’이라 하여 모든 중생들은 다 불성이 있다고 합니다. 불성(佛性)은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종자(種子)를 뜻하는 것으로, 불성이 있다는 말은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나면서부터 부처가 될 수 있는 성품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즉 만유에 부처님의 생명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 정도의 도리는 알고도 남을 조주스님이신데 왜 “무”라고 답했을까요? 이것이 바로 ‘화두’입니다. 조주는 다른 수행승에게서 똑같은 질문을 받고, 이번에는 “있어”하고 대답을 했습니다.

조주와 같은 고승의 입으로 아무렇게나 대답했다고는 생각되지 않을 것인데,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 대답을 한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이처럼 중요한 대답이 각각 다른 것은 한 입으로 두 말을 한 것이 아닙니다. 없다(無) 혹은 있다(有)는 개념에 집착하지 말고 상대적인 인식을 초월하라는 가르침으로 조주가 말한 유무(有無)는 유(有)란 무엇이며, 무(無)란 무엇인가 하고 따지지 말고, 있다ㆍ없다를 초월한 무(無)라는 것입니다.

조주스님이 “무(無)”라고 대답한 것은 불성이 있다 없다 하는 분별의 차원을 넘어선 경지에서의 무(無)라는 것입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조주스님의 답변은 깨달음을 직시(直示)하라는 것으로 물음에 대하여 어떤 사량계교(思量計較)도 용납하지 않음을 일깨워 주신 것입니다. 오직 흔들림 없는 간화(看話)로만이 깨달음에 이룰 수 있음을 밝히신 것입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8월 제45호

인해스님은 동화사 강원의 강사이다.

소시민이 본 대선후보

해방이 되고 대한민국이 건국되면서 군주 제도에서 벗어나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지는 대통령제를 도입한지 50년여 역사에 제16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치루어졌다. 역대의 대통령들은 하나같이 굴러온 권력을 놓지 않을려다 그 훌륭한 명성에 먹칠을 하였고 틈새로 부당하게 권좌에 오른 대통령은 권세와 가문의 영광은 잠시, 역사의 지탄을 받는 전직이 되고 말았다. 한번 권력에 맛들인 집단은 세습을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았고 국민을 위한 정책에 의한 평가가 아닌 네가티브 전략으로 맞대응 하다보니 정치권은 지탄의 대상이요 비난을 면치 못하는 집단이 될 수밖에 없었다.

지난 97년 대통령 선거에서 건국 이후 야당이 집권하는 수평적 정권교체의 신기원을 남기자 상당수의 국민은 이번 선거에서 또다시 정책 대결과 통치결과 평가에 의한 국민의 선택으로 정권교체가 가능할것인지도 관심사 중의 하나 였을 것이다. 자연히 국민의 관심은 필사적으로 재집권을 노리는 여당 후보와 현정권을 기피한 국민의 선택으로 거대 야당이 된 이회창 후보와의 승부였다. 어떤 이는 자기가 지지하는 후보자를 위해 사지를 떨며 흥분을 하였으며 어떤 이는 스포츠를 관람하는 것 같았다. 아예 딴전을 피우고 관심조차 보여주지 않는 이도 있었지만….

격전의 대통령 선거가 여당인 새 천년 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승리로 대미를 내리므로서 야당은 탈환에 실패하였으며 여당은 수성에 성공하였다. 선거가 끝난 뒤 당선자를 지지한 측은 환호성을 울리며 거리를 누볐으나 낙선한 측의 지지자들은 어깨가 축 늘어져 만사가 귀찮다.

모름지기 경합하는 곳엔 승자와 패자가 생긴다. 패자의 마음이야 오죽하겠냐 만은 승자를 축하해 주고 승자는 패자를 진심으로 위로해 주는 것이 당연한 귀결사이다. 지난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득표수에서는 이기고 선거방식에 의해 패한 참담함에도 부시 당선자를 축하하고 승복하는 자세는 참으로 말은 쉽게 해도 행동하기는 어렵다.

지난 선거에 이어 거의 손에 다 들어온 정권을 놓쳤으니 안타까움이나 회한이 어떻겠냐 만은 승자에게 축하를 보내면서 진심으로 국민을 위하는 대통령이 되어달라는 당부와 함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치은퇴를 선언하며 물러나는 패자를 보는 많은 이들이 같이 눈시울을 적시고 말았다.

정계에 들어온지 6년여만에 재도전에 또 실패하자 국민 여러분께서 내린 선택을 겸허하게 받아 드린다. 면서 깨끗이 물러 나버린 그의 용기를 보는 국민들은 자신만의 안주를 위해 끝까지 변신에 변신을 꾀하거나 ‘국민의 눈물을 훔쳤다’는 이와는 구별해 줄 수 있어야겠다. 공직생활에서의 대쪽이란 그의 별명은 대통령 후보가 되고 난 뒤에는 모두에게 철저히 다르게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쓸쓸히 떠나는 그의 뒤를 보면서 위로가 되는 말이 있다면 다 해주고 싶다. 또 이회창, 그를 오랫동안 잊지 않을 사람이 많이 있다는 것도…..

조용갑 蓮坡 글 / 월간반야 2003년 1월 (제2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