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에로의 회귀

출퇴근길의 가로수나 연구실에서 내려다본 교정의 나무들이 생기를 발하는 계절이다. 최근 두세 달 동안 칩거 아닌 칩거를 하고 꼭 6년만에 연구실로 돌아왔다. 뭔가 신변정리가 깔끔하게 되지 않아 아침 9시에 출근하여 오후 5시까지 우두커니 앉아 있는 시간이 대부분이었다. 좋게 표현하면 무념무상의 경지로 가는 수행자처럼 보이기도 하고, 아니면 멍청하게 시간만 허비하는 바보스런 모습의 연속이었다. 전임지의 사무실에서 옮겨온 짐들은 그대로 묶여진 채 여기저기 쌓여 있고, 6년 전에 쓰던 집기나 책들도 어지러이 널려 있는 그대로다. 지금까지 아침저녁으로 보던 신문도 없고, 그 흔한 TV도 없다. 컴퓨터를 켜보니 6년이나 지난 고물이라 그런지 인터넷도 안 된다. 현실과 문명을 철저하게 등지고 조용히 내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괜찮겠다 싶어 20일 정도를 그렇게 보냈다. 오히려 편안함을 느꼈다.

주말에는 홀가분한 마음으로 텃밭으로 향한다. 지난 겨울동안 완전히 잊고 지냈던 곳이다. 잡초들이 말라 누렇게 된 풀밭(?)에는 지난 가을에 따지 않고 버려두었던 박이 썩어가고, 고추를 따고 그대로 둔 말라버린 고추나무, 뿌리만 남겨두고 말라 부러진 채로 뿌리를 덮고 있는 도라지 줄기, 줄기 끝 부분에 달린 들깨만 낫으로 베고 남은 들깨의 그루터기, 노인네가 가난했던 옛날의 향수를 맛보기 위해 그대로 두자고 해서 없애버리지 못했던 돼지감자의 마른 줄기들, 여느 잡초밭과 다름없이 말라버린 땅두릅밭, 언뜻 보기에는 약해 보이지만 비록 잎과 줄기는 말라도 혹한의 추위와 강풍에도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제 모습을 지키고 있는 말라버린 고사리 잎새들, 제때에 가지치기를 해주지 않아서 흉하게 키만 자란 비라칸사스 울타리의 빨간 열매들, 마치 오랫동안 비워두었던 집에 돌아온 기분이 든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엄두가 나질 않는다. 온통 말라버린 풀밭이라 불을 질러버리면 좋으련만. 겨울 가뭄으로 건조할 대로 건조해진 대지에 불기운이 가면 감당할 수도 없을 테고. 하는 수 없이 손과 낫으로 말라버린 고추와 들깨, 돼지감자와 고사리, 그리고 잡초의 덤불을 걷어내고 그루터기를 뽑아내니 비로소 이곳이 텃밭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늦가을에 이웃에서 몇 포기 얻어다 심은 양파 모종이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기에 퇴비를 뿌리고 북을 돋아 주고, 고추와 들깨를 심었던 곳에는 콩을 심기 위해 퇴비를 하고 이랑을 지어 쪼아두었다. 벌써 꽃이 만개한 매화와 꽃을 피울 준비가 한창인 앵두나무의 보기 싫은 가지를 쳐주고, 비라칸사스 가시에 찔리고 할퀴면서 울타리의 가지치기를 해놓으니 이발을 한 사람처럼 주위가 훤해졌다. 애기사과와 단풍나무는 겨울이 되어도 마른 잎을 그대로 달고 있으니 좀은 추해 보인다. 봄이 오기 전에 떨어져서 거름이 되어주는 것이 순리일텐데. 흙을 밟고 대지를 호흡하고 땀을 흘리는 것이 이처럼 편안할 수 있을까.

지난 겨울의 추위에 얼어 죽었는지 산미나리는 자취를 감추었고, 풀섶에서 쑥과 냉이가 모습을 드러낸다. 길거리나 장터에서 보이는 대로 구해다 심는 야생화밭에는 할미꽃이 제일 먼저 올라왔다. 노인네는 아직 채 올라오지도 않은 머위를 뿌리채로 캐신다. 작년에는 나무두릅의 첫순을 누구에게 도둑질 당했다고 서운해 하셨는데 올해는 주인에게 돌아올지 모르겠다. 차나무는 심어놓고는 잎을 따주지 않으니까 별로 쓸모는 없는데 오래되어 씨가 떨어져 싹을 틔어 어린 묘목들이 제법 많이 나 있다. 내일 아침 밥상에 오를 쑥국과 냉이 나물, 아니면 냉이된장국을 생각하면서 이마의 땀을 훔친다.

웰빙(Well-being)바람이 불기 시작한 지도 제법 시간이 흘렀건만 이 바람은 일시적 유행이 아닌가 보다. 이 바람의 참뜻은 반문명적ㆍ반도시적ㆍ반인공적이어서, 친자연적ㆍ복고적ㆍ시골적인 것 같다. 어쩌면 원시에로의 회귀가 참 웰빙(?)이 아닐까.

김형춘 香岩 글. 월간반야 2006년 4월 제66호

우측통행 (右側通行)

‘군자(君子)는 대로행(大路行)이라.’ 우리네 옛 어른들은 군자는 큰길로 다녀야지 좁은 골목길이나 후미진 뒷길로는 다니질 않는다고 했다.

영국 사람들은 인도(人道)와 차도(車道)가 구분되어 있지 않은 – ‘보ㆍ차 비분리도로(步車非分離道路)’ – 에서는 ‘우측’통행을 한다. 이유인즉 자칭 ‘신사(gentleman)’ 라 하여 여성과 동행할 때엔 여성을 자신의 오른쪽에 서게 하므로 다니는 차나 마차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우측통행을 한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미국 사람들은 ’보ㆍ차비분리도로‘에서 ’좌측‘통행을 한다. 그들은 서부 개척 시대 언제 어느 곳에서 적의 공격이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허리춤에 찬 권총을 재빨리 뽑아 대응사격을 하려면 길의 왼쪽을 걸어야 오른손으로 총을 쉽게 뽑을 수 있다는 논리다.

그런데 왜 우리는 ‘군자대로행’을 주장했을까. 나름대로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다면 도로 중앙에 인도를 닦고 다녀야 옳았을 것이다. 모르긴 해도 우리네 선비들은 행동거지가 당당하고 떳떳하여 부끄럼이 없으며, 도포자락을 휘날리고 여덟 팔자(八字) 걸음을 걷기 위해선 대로가 제격이었으리라. ‘대로행(大路行)’을 하기 위해선 차도 한가운데 인도(人道)- 보행자 도로-를 만들어 ‘중도통행(中道通行)’을 했으면 좌측통행이니 우측통행이니 하는 시비가 없지 않았을까.

우리나라의 통행방법의 역사는 1백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5년 12월 대한제국의 경무청령으로 ‘보행자와 차마(車馬)의 우측통행원칙’이 규정된 이래, 1921년 조선총독부령으로 ‘사람과 차량을 좌측통행’으로 변경하였고, 1946년 미군정청법으로 ‘차량만 우측통행’으로 변경하고 보행자의 통행은 그대로 좌측통행으로 하였으며, 1961년 도로교통법으로 ‘보ㆍ차비분리도로’에서 보행자는 좌측통행으로 명시하여 이 원칙이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고, 1994년 경찰청 권고사항으로 ‘횡단보도에서 우측통행’이 시행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통행문화가 다시 사회적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일제의 좌측통행 잔재 청산과 교통안전 도모’라고 하지만 현실적 보행환경과 보행실태를 보면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닌 것 같다. 학교에서는 복도 통행 때 좌측통행을 교육하고, 공항이나 지하철 게이트 회전문 등 각종 시설물은 대부분 우측보행에 편리하게 설치하며, 법령은 보ㆍ차비분리도로에서 좌측으로 통행하게 하고, 횡단보도에서는 우측통행을 유도하고 있다.

시민들의 보행실태는 선호 방향 없이 자유롭게 다니다가 지하철 환승 통로 등에선 좌측통행을 한다고 한다. 현 정부에서는 교통안전 측면이나 인체심리, 보행편의 문제 등을 들어 ‘우측통행’이 바람직하다 하여 통행방법을 바꾸려고 시행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는 ‘도로교통법’엔 ‘보행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에서는 도로의 좌측 또는 길 가장자리 구역으로 통행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유일하였고, 나머지 도로에서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어 있으니 특별히 규제할 이유가 없었다. 다만 통행의 편의와 효율성을 높이고 보행습관을 유도하기 위해 일부 공공시설의 보행통로에 화살표와 같은 유도표지를 설치하여 좌측통행을 유도해 왔다.

그러나 실제 보행의 경우 통행목적과 보행환경이 워낙 다양해서 획일적인 보행원칙을 강제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고, 오랜 세월 익숙해진 통행방법이 규정을 바꾼다고 쉬 지켜질지도 의문이다. 문제는 어느 날 갑자기 도로교통법을 바꾸고 권유하는 것보다 법제화는 최소화하고 사회전체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보행문화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통행시설을 개선하고 교통안내 표지를 단순ㆍ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각종 시설물의 이용방법도 일원화하는가 하면, 무엇보다 중요한 보행습관을 바꾸기 위한 홍보와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쪽으로 다니느냐가 문제가 아니고 무엇을 하기 위하여 어디로 가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09년 11월 108호

우리말과 글에 대한 사랑

조선조의 대표적인 이야기꾼이요 정치가였던 서포 김만중은 ‘사람의 마음이 입으로 나오면 말이 되고, 말에 가락이 붙으면 가시문부(歌詩文賦)가 된다’고 하여 생각과 말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오늘날의 여러 서양의 언어학자와 철학자들도 한결같이 ‘언어는 인간정신을 그대로 본떠 놓은 것’ , 또는 ‘말이 없으면 이성도 없고 따라서 세계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말과 사람의 마음과는 같은 것의 안팎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말과 생각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면 우리의 겨레말과 겨레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입니다. 겨레란 피와 문화를 함께하는 모임이며, 피는 겨레가 함께 탄 것이고 문화는 겨레가 함께 애지은(창조한)것인데 겨레의 말은 곧 그 겨레가 함께 애지은 문화의 한가지로 모든 문화의 바탕인 것입니다. 이 말로써 애지은 문화에는 겨레의 얼이 그대로 깃들어 있음은 물론입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 세대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는 이시대 우리들 모두가 공감하는 가치관이 없다는 점이라 하겠습니다. 우리 역사가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우리는 고유의 전통적인 가치관의 갈등과 파괴의 모습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전통적인 가치관은 붕괴되고 새로운 가치관은 채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 의식의 오염과 붕괴는 이 시기만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어쩌면 이땅에 한자가 들어오면서부터 시작되었고, 뒤이어 영어·일본어·러시아어 등에서 시작하여 일제 침략기를 거치고 동족상잔의 6·25를 맞아 우리 한반도는 세계언어의 전시장이 되다시피 하였습니다.

말하자면 우리 겨레얼의 오염의 역사는 우리말글 오염의 역사라고 보아도 좋겠습니다. 우리말이 오염되면서부터 우리얼이 오염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말과 생각이 깊은 관계가 있다면 겨레말과 겨레얼이 깊은 관계가 있음은 물론이요, 나아가 국어와 국민정신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우리 겨레의 가장 큰 현실적 고민이 가치관의 부재라는 이른바 국민의식의 오염이라면 우리의 지상과제는 국민정신의 순화라고 하겠습니다. 이 국민정신의 순화는 여러가지 해결 방법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국어를 순화하는 것입니다.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 바로 우리얼을 가꾸고 지키는 지름길이 되는 것입니다. 단순히 내나라 말글이기 때문에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국민정신을 순화시키기 위하여 우리말글에 대한 애착을 갖자는 것입니다.

최근에 특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버공간의 언어는 이러한 측면에서 더욱 걱정스럽습니다. 상대방이 앞에 있을 때의 말하고 듣는 것과 상대방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함부로 한다는 것도 문제지만,

표준어도 정서법도 무시한 언어행위는 반드시 고쳐야 합니다.

이러한 말글의 이면에 우리의 정신세계가 도사리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1년 4월 (제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