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김밥장수

요즈음은 서울 가는 일이 잦다. 주마다 수요일이 되면 올라간다. 목요일마다 불교TV 무상사에서 법문이 있고 금요일 저녁에는 패엽회 강의가 있어 수요일 가서 토요일 내려오는 것이 주마다 되풀이 된다. 스님들끼리 농담을 할 때 서울 사는 스님들을 ‘首都僧(수도승)’이라 하는데 수행정진 잘하는 도를 닦는 스님인 ‘修道僧(수도승)’이라는 말과 한글 발음이 똑같아 서울 살면 저절로 도를 잘 닦는 수도승이 된다는 우스갯말을 하는 수가 있다. 나도 이제 일주일에 반 이상을 서울에 사는 수도승이 된 셈이다.

토요일 내려올 때는 언제나 7시 KTX를 탄다. 보통 역에 6시 40분쯤 도착하는데 이때 택시에서 내려 역 청사 안으로 들어갈 때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열심히 김밥을 사라고 외쳐대는 한 아가씨를 본다.

나이가 서른이 넘었는지 몰라도 내가 보기에는 아직 20대로 보이는 젊은 이 김밥장수 아가씨를 볼 때마다 나는 무언가 감동 같은 것을 받는다. 이른 아침부터 김밥을 가지고 나와 하나라도 더 많이 팔아보려고 외쳐대는 목소리를 들으며 우선 이 아가씨의 생활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낀다. 용모도 꽤 예뻐 보이고 세련된 몸짓으로 자연스럽게 지나가는 손님들을 향해서 음악소리처럼 자기 목소리를 힘들이지 않고 발성하고 있는 폼이 보통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집에서 갓 만들어온 따끈따끈한 김밥 사세요. 맛있습니다.”

열심히 외쳐대는 이 목소리에 나는 하나 사주지 않는 것이 미안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내가 볼 때는 김밥을 사는 사람은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런데도 장사가 되는지 역에 올 때마다 아가씨는 같은 자리에서 열심히 자기 김밥을 선전하고 있었다.

장사를 하건 무엇을 하건 사람이 특별나게 하는 행위에는 어떤 동기나 사정이 있을 것이다. 새벽에 김밥을 만들어 역으로 달려와 팔려는 사람은 부자가 아닌 가난한 사람에 속할 것이다. 이 아가씨로 말하면 결코 부잣집 딸은 아닐 것이고 어쩌면 가정환경이 불우한 사람일 수도 있을 것이다. 가정을 하건대 부모 중에 누가 병석에 있거나 혹은 없어 처녀가장이 되어 있는 사람일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의 신상 사정이 어떻든 간에 내 눈에 비친 이 아가씨의 모습은 열심히, 건강하게 살고 있다는 것이었다.

신체의 건강과 마찬가지로 사람 누구에게나 생활의 건강, 삶의 건강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건강한 생활을 해야 한다. 힘든 일이라도 떳떳하게 정성을 들여 열심히 하는 것이 건강한 생활이다. 환경이 불우해도 어떤 열등감이나 자존심 상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밝은 마음으로 불만 없이 자기 일에 최선을 다하는 태도야말로 개인의 생활이 건강한 것이요, 이런 사람이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싶다.

사람 사는 생활에는 꼼수라는 게 원래 없다.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남을 속이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개인의 이익을 남몰래 취하려고 하는 것이 바로 꼼수다. 사회적 도덕을 무시하고 윤리를 어기면서 살아봐야 나쁜 업을 지어 좋지 않는 과보가 올 때를 미리 만들어 놓는 것일 뿐이다. 삶에는 꼼수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 이것도 분명히 하나의 진리로 간주할 수 있는 말이다.

보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는 불우한 장애인으로 일생을 살면서도 인간 승리의 한 모델로 추앙 받는 미국의 헬렌 켈러 여사는 맹인을 위한 점자를 발명한 후 어느 신문기자와 인터뷰를 하다가 이런 질문을 받았다.

“당신이 만약 이 세상을 바로 볼 수가 있다면 무엇을 제일 먼저 보고 싶은가요?”

이때 헬렌 켈러는 우선적으로 세 가지가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다.

“첫째 내게 은혜를 베풀어 주었던 고마운 사람의 얼굴이 보고 싶고, 둘째 해가 떠서 질 때까지의 이 세상의 아름다운 모습이 보고 싶고, 셋째 가장 열심히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는 모습이 보고 싶다.”

눈 먼 사람이 그렇게도 보고 싶어 했던 이 세 가지를 눈 뜬 사람들은 눈이 뜨였기 때문에 오히려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집에서 갓 만들어온 따끈따끈한 김밥 사세요. 맛있습니다.”

가끔 내 귓가에서 서울역 김밥장수 아가씨의 목소리가 메아리 칠 때가 있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1년 12월 133호

2016년 01월 22일 불교뉴스

BBS뉴스

  1. 부산불교실업인회, 신년하례 봉행 (오후 7시 이후)
  2. [저녁날씨]전국에 구름..주말 한파 절정
  3. 당도·향 좋은 경주 ‘신라봉’ 본격 출하
  4. 군위군, 군수 직접 민원상담 ‘직소민원사무실’ 운영
  5. 더민주 선대위 ‘김종인호’ 출범…박지원 탈당
  6. 전당포에 가짜 금목걸이로 대출받은 사기범 검거
  7. 호남 야권 신당 통합 ‘급물살’..박지원 탈당·천정배 광폭행보
  8. 경북도 구제역 차단방역 ‘백신접종특별기동대’ 운영
  9. 주말 한파 절정…다음주 초까지 추위 이어져
  10. ‘마약 복용’ 범키, 집행유예 선고
  11. 검찰, 효성 조석래 회장 1심 판결에 항소
  12. 울산시-울산경제진흥원, 국제특송(EMS) 물류비 지원사업 참가업체 모집
  13. 울산시, 설 연휴 생활 쓰레기 대책 추진.. 2월 7~8일 쓰레기 수거차 운행중단
  14. 울산시, 저소득층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15. 법원 ‘개인정보 유출 카드사 배상 판결’…현재 22만명 소송 진행中
  16. 아들시신 훼손 부부 사건 검찰 송치…살인죄 적용
  17. 인순이 상대 사기 최성수 부인 항소심도 집유
  18. 국민의당 정책자문역으로 ‘IT전문가’ 김홍근 영입
  19. 정부, 양대 노동지침 전격 발표
  20.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 정규직화 잠정합의안 찬반투표 실시
  21. 대검, ‘부천 초등생 시신훼손 사건’ 특별 수사팀 꾸려
  22. 일본 외무상 외교연설서 3년째 ‘독도는 일본땅’ 되풀이
  23. “발모제도 죄가 되나요?” FIFA, 강수일에게 2년 징계요청
  24. 머라이어 캐리, 호주 카지노 재벌 패커와 약혼
  25. ‘투자하면 고수익 보장’ 유사수신업체 기승
  26. 김휘일·조명희 “진박 회동 6인 중 4명은 가짜”
  27. ‘스폰서’ 지키려 ‘남친’ 버린 걸그룹 멤버, 결국 기소
  28. 홍용표 “대북정책 기조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원칙 견지”
  29. ‘성완종 리스트’ 홍준표, 검찰과 신경전 “나도 수사 잘 안다”
  30. 코스피, 해외 훈풍에 1,880선 가까이 급등
  31. 용호복지관, 설맞이 사랑나눔 한마당 개최
  32. ‘표절 의혹’ 백세인생, “표절 아니라고 전해라”
  33. 방통위, ‘막말.편파방송’ 반복 방송사 감점 2배로 늘려
  34. <인사>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35. 한국전력, 동계 전력수급안정 점검회의 열어
  36. 중요 무형문화제 ‘태평무’ 거장 강선영 선생 별세
  37. 서면 대현지하상가 대변인, 서명전달 집회 중 연행
  38. 법원, 세월호 집회 주도 박래군 ‘집행유예’ 선고
  39. 지난해 출입국자 6천6백만 명…역대 최다
  40. 경력법관 임용대상자 101명 중 연수원 출신이 74명
  41. ‘포스코 비리 의혹’ 이병석 새누리당 의원, 또 소환 불응
  42. 성남시 “누리 예산, 불법이지만 시민편의 위해 집행”
  43. 주승용 “국민의당 효과…캐스팅 보트 역할 할 것”
  44. [단박인터뷰] 김종찬 트라씨네 대표(1)
  45. 윤여준 “김종인 국보위 흠결있지만 공로도 많아”
  46. 대구경찰, 설 전후 특별방범활동 나서
  47. 경북도, 청년 취업과 개설
  48. 조희팔 뒤 봐주고 17억 받은 검찰 서기관에 징역 9년 선고
  49. 강추위 계속…주말에 한파 절정
  50. 박근혜 대통령 “북한 제외한 5자 회담 시도해야”

불교닷컴

  1. 보광 스님 찾은 배우 류시원
  2. 진원 스님 “기독교 성금? 고맙지만 사양”
  3. 잊혀지고 잊혀진 원폭2세환우
  4. 창종 70년, 100년 불사 토대 만들려 ‘혁신’
  5. 동국대 경주캠 참사람봉사단 베트남 해외봉사

불교신문

  1. 탤런트 류시원 동국대에 1000만원 쾌척
  2. 봉은사, 봉은불교대학원 제1기 수강생 모집
  3. 한국사찰림연구소 신임 소장에 윤성이 동국대 교수 임명
  4. ‘도선사역’ ‘화계사역’ 생길까
  5. 중앙종회 “원로의원 면책특권 필요치 않다”

불교저널

  1. 법응스님, 20대 총선 앞두고 ‘불교문화정책’ 제안
  2. 법보신문 본지 편집장 상대 재정신청 기각
  3. “‘좋아’라고 말하면 정말로 좋아집니다”
  4. 외국인을 위한 ‘연등회’ 가이드북
  5. “간화선 의존하는 조계종이 위기의식 느낀다”

불교포커스

  1. 동그랗던 부처님 가르침이 왜 네모가 되는 것일까?
  2. 다함께 차차차

한국불교

  1. 춘천 석왕사 창건 44주년 기념 경과 보고 및 丙申年 새해맞이 범종타종 법회 원만 성료
  2. 제 641호 사설 – 제14대 중앙종회의 분발을 바란다
  3. 새해칼럼 – 생각해보면 얼마나 소중한 인연들인가
  4. 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25>– 식경(食經)
  5. 서울고등법원 제 25민사부 판결문 전문
  6. 제14대 중앙종회 워크숍 현장
  7. 중앙종회 사무처장에 각묵스님 임명
  8. 강원교구, 각급 간부스님 연석회의 개최
  9. 법경스님, 사회복지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10. 2월 22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원숭이 해’ 기념 특별전
  11. 제주교구종무원, 1월 4일 시무식 봉행
  12. 총무원 신임 총무 • 교무 • 홍보 • 규정 부장 임명장 전달
  13. “허위 기부금 영수증 발급 절대 안 돼요”
  14. 서울고등법원 재판부, 비대위 종연스님 등이 제기한 항고에 대해 “이유 없다”며 기각 결정

현대불교

  1. 한국비구니복지실천가회 창립… 초대회장 상덕 스님
  2. ‘존엄사법’ 통과 불교계 어떤 영향 미칠까?
  3. 最古 금속활자 ‘직지’ 638년만에 복원
  4. ABC 사업 4년 성과·전망 논하다
  5. “가야불교 전래지 아유타, 허구 아니다”
  6. 간화선은 초기 선종을 왜곡시켰나
  7. 봉은사, 교양대 한 단계 UP ‘불교대학원’ 신설
  8. 동국대, 인성교육 중심으로 발돋움
  9. 천태불교학술대회 11월 5일 열린다
  10. 경계없던 자유인을 기억하다
  11. 필묵으로 그려낸 禪의 향취
  12. ‘떳다방’천도재 판매 기승, 불교계 관리제도는‘全無’
  13. 수행에 있어 참을성은 기본 중의 기본
  14. 불단 펼치니 스무 칸 신령한 병풍이…
  15. 탁본 진수·고려 불교 문화 만나볼까
  16. 3. 유익한 것의 추구
  17. 군대 안의 수행자
  18. ⑭ 낙전당 신익성
  19. 불교사 뒤켠에 감춰진 조각승 다시 들추다
  20. 은평노인복지관, 제33차 아동한문예절교실 성료
  21. 극치적으로 딱따구리가 나무 뚫듯이 그저 안으로 뚫어라!
  22. 경전 읽기 모임… 새로운 신행 주체자
  23. 다가오는 春, 향학열로‘佛心’ 싹 틔워요!
  24. 생명나눔, 지난해 장기기증 희망등록 5만 명 ‘돌파’
  25. “스키로 스트레스 날렸어요!”
  26. “복지포교로 불교 한 축 이룰 터”
  27. ‘염화미소법’ 기초안 두고 의견 분분

최종업데이트 : 2016-01-22, 08:09:30 오후

달밤에 고향길 바라보니

월야첨향로 月夜瞻鄕路 달밤에 고향 길 바라보니

부운표표귀 浮雲颯颯歸 뜬구름만 흩날리며 돌아가고 있네.

함서참거편 緘書參去便 구름 가는 길에 편지라도 부치고 싶은데

풍급불천회 風急不聽廻 바람이 급하여 내 말 알아듣지 못하는구나.

아국천안북 我國天岸北 내 나라 하늘 끝 북쪽에 두고

타방지각서 他邦地角西 남의 나라 서쪽 모퉁이에 와 있는 몸

일남무유안 日南無有雁 더운 남쪽 천축은 기러기도 오지 않으니

수위향림비 誰爲向林飛 누가 고향 숲을 향해서 날아가려나.

이 시는 『왕오천축국전』의 저자 헤초(慧超 704~787)의 시이다. 오천축을 순례하다가 어느 날 달밤에 향수에 젖어 지은 시이다. 혜초 스님은 일찍이 중국에 들어가 인도 출신 승려 금강지(金剛智)에게 밀교를 배웠다. 금강지는 남인도 출신으로 제자 불공(不空)과 함께 중국에 건너와 밀교의 초조(初祖)가 되었던 스님이다. 혜초는 19살 때 천축으로 구법여행을 떠나 만 4년 동안 인도 여행을 한 것으로 기록되어 전해진다. 카슈미르(Kashmir), 아프카니스탄, 중앙아시아 등지를 두루 답사하고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것은 30살 때쯤이었다.

이 시에 나타난 것처럼 간절한 향수에 젖어 있던 그는 끝내 신라로 돌아오지 못하고 787년에 입적했다고 기록해 전한다. 『왕오천축국전』에 실려 있는 이 시는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에 의해 돈황석굴 천불동에서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1월 제7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