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은 하늘에 있고 물은 병에 있다

영국의 데이빗이라는 시인은 “인생은 세월의 강물 속에 꿈을 낚는 낚시꾼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잠을 자다 꾸는 꿈이 아니라 미래의 희망을 꿈꾸며 사는 사람의 마음을 두고 한 말이다.

사람은 살면서 무엇을 찾아 얻으려는 끈질긴 노력을 쉬지 않는다. 설사 육체적 능력이 부족해 물리적 힘을 쓸 수 없을 때에도 마음속에는 누군가의 도움으로라도 자기가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누구 없이 사람의 마음은 항상 소원이 담겨져 있다는 말이다. 비록 당장에 실현 불가능한 일일지라도 언잰가 그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두고두고 바라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기를 바라듯이 나를 기쁘게 해주고 만족시켜 줄 좋은 일들이 내게 나타나기를 바란다.

물론 이러한 것을 욕망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세상에는 기본적인 다섯 가지 욕망이 있다. 첫째 음식에 대한 욕망이다. 사람은 먹어야 산다. 배가 고프면 결국 생존의 위협마저 느끼게 된다. 먹어야 하는 것은 본능 중의 본능인 것으로 모든 생명체의 일차적인 욕구이다. 두 번째는 이성간에 정을 나누고자 하는 성적인 욕망이 있다. 이는 생식을 전제로 한 본능이지만 때로는 생식과 관계없는 맹목적 욕망으로 본능적 쾌락을 느끼고자 하는 원초적인 욕망이기도 한 것이다.

셋째는 수면에 대한 욕망이다. 몸이 피로할 때 잠을 자야하는 생리적 체질을 몸이 있는 모든 존재들은 가지고 있는 것이다. 수면을 취하는 시간길이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육체는 잠을 통해 신진대사의 신체적 컨디션을 조절한다. 넷째는 재물에 대한 욕구이다. 물질을 소유하고 싶어 하는 것은 생활의 발달과 비례해 나타난다.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옷을 입고 삶의 터를 마련해 주거지를 정해 집을 짓고 사는 것에서부터 문화가 발달될수록 재물에 대한 소유욕은 점점 커져가는 것이다. 특히 자본주의가 발달한 오늘날의 세태에서 볼 때 소유의 문제가 존재의 문제를 앞지르고 있다고 말할 정도이다.

다섯째는 명예의 욕망이 있다. 내가 남보다 우월해지고 싶은 욕망은 남의 의식하는 상대적 비교에서 열등에 빠지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천대받고 싶지 않고 존중 받고 싶어 하는 사적인 입장확보를 위해 남과의 경쟁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숨어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세속적 삶의 목표가 설정된다. 또한 이것을 추구해 얻어가는 쾌락을 사람은 몹시도 누리고 싶어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세속의 오욕락(五慾樂)이 인생을 만족시켜 주는 영원한 가치가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모두가 무상한 것이라 나중에 허무하게 사라져 없어져 버리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어느 것도 영원을 기약하지 못하는 것이다. 순간의 쾌락은 그 이후의 쾌락을 상실해 버린다. 인생에는 영원을 기약해 가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톨스토이의 책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오래된 사과나무에서 잘 익은 사과가 자란지 얼마 안 되는 어린 사과나무 옆에 떨어졌다. 어린 사과나무가 잘 익은 사과에게 말을 건넸다.

“안녕하세요? 사과님. 당신도 하루 빨리 썩어서 나처럼 싹을 틔어 나무로 자랐으면 좋겠군요.” 그러자 잘 익은 사과가 말했다.

“이 바보야. 썩는 게 좋으면 너나 썩어. 그래 네 눈에는 내가 얼마나 빨갛고 곱고 단단하고 싱싱한지 보이지도 않는단 말이냐? 난 썩기 싫어. 즐겁게 살고 싶어.”

“하지만 당신의 그 젊고 싱싱한 몸은 잠시 빌려 입은 옷에 불과해요. 거기에는 생명이 없어요. 당신은 아직 모르고 있지만 생명은 오직 당신 안에 있는 씨 속에 있어요.”

“씨는 무슨 씨가 있다는 거야. 바보같이!” 잘 익은 사과는 그렇게 말하고 입을 다물어버렸다.

자기의 내부에 영적인 생명이 깃들여 있음을 의식하지 못하고, 그저 동물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도 잘 익은 사과와 같다. 그러나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 사람도 사과와 마찬가지로 나이와 함께 시들어, 자신의 생명이라고 생각했던 육체가 쇠약해지면, 진실이 쉬지 않고 성장하는 씨앗과 같은 참된 생명의 존재가 더욱 확실해지는 것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예 처음부터 언젠가는 사멸해버리는 생명이 아니라 쉬지 않고 성장하며 소멸하는 일이 없는 생명에 의지하여 사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진실한 삶은 시간과 공간 밖에 있기 때문에 죽음은 이 세상에서의 생명의 현상을 바꿀 뿐, 결코 삶 자체를 없앨 수는 없는 것이다.

당나라 때 사대부였던 이고(李翶)라는 사람이 약산유엄(藥山惟儼)선사를 찾아와 도를 물었다. 약산이 대답하기를 “구름은 하늘에 있고 물은 병속에 있다 (雲在靑天 水在甁)”고 하였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6월 제67호

情 이란

정이란

아지랑이 처럼

엷게 피어오르는 초조의 주머니이다

밀물이 밀리듯이 서서히 오며

태양처럼 불타오른다

멀리 있을때 더 애절하고

떨어져 있을때 더 절실하고

보고픈 원이 되어 맴돈다.

정은 말이 필요 없다

마음과 맘이 통하고

차갑지 않은 온유함이 흐른다.

인담월 김숙현 (반야암경전교실) 글. 월간반야 2008년 10월 제95호

[성지에서 쓴 편지]를 읽고

김미숙 선생님,

보내 주신 책《성지에서 쓴 편지》는 잘 읽어 보았습니다.

‘불교의 시작(근본)으로 되돌아가 불교를 진지하게 바라보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자들의 훌륭한 관점과 글 덕분에 ‘신’이 아닌 ‘인간’ 붓다의 모습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온갖 불필요한 수사(修辭)에서 벗어나자 붓다의 깨달음이 더 분명하게 다가왔습니다. 이렇게 시작으로 되돌아가 ‘본질’만 바라보니, 근본주의와 같은 폐해는 봄눈 녹듯 순식간에 사라져 버리는군요.

선생님,

호진 스님의 순례는 경전을 통해서가 아니라 온몸으로 부처를 느껴 보려는 노력 아니겠습니까? 호진 스님의 고행에 눈물을 흘렸다면, 그건 우리가 그를 통해 신이 아닌 인간 붓다를 만났기 때문 아닐까요? 호진 스님은 우리에게 인간 붓다를 보여 주고 싶어 그토록 험난한 순례길에 오른 것 아닐까요?

이제 편집자의 관점에서 이 책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출가 이전의 이야기를 생략한 것이나, 구체적 수행 방법, 대승불교의 세세한 이론 등을 최소화한 것이 저에게는 매우 훌륭하게 생각되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테일은 약해지겠지만, 하나의 주제에 보다 집중할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제 경우에는 이런 생략된 행간으로 인해 불교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되었습니다. 두 스님의 글쓰기는 가히 ‘정중동(靜中動)’의 경지라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책은 “신은 구름 위에 앉아 있을 만큼 가볍지 않다.”라는 말을 떠올리게 하면서도, 비관주의적 무신론으로 흐르지는 않게 해 주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강요하는 ‘신’이 아니라, 수행을 통해 인간의 물성을 극복한 위대한 ‘인간’을 만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는 듯합니다.

나에게 감탄만 하고 있지 마라. 깨달음 그 자체는 이해의 영역일 뿐이다. 절망이 존재의 끝은 아니듯, 깨달음 또한 새로운 시작일 뿐이다.

늘 건강하십시오. 오늘은 이만 줄이겠습니다.

김용훈. 경북대학교 출판부, 월간 반야 2011년 10월 13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