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스님─내 가치 모르고 밖에서 무엇을 찾으랴

내 가치 모르고 밖에서 무엇을 찾으랴 – 전 각화사 선덕

고우스님

몇 년전부터 대중법문을 시작하면서 ‘불교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을 통일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불교를 말하는 이에 따라 설명이 다르다보니까, 결국은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듣는 분들이 혼란을 일으키고 오해를 하기도 합니다.

동남아 불교에서는 사성제, 팔정도, 십이연기, 삼법인으로 통일해서 불교를 말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편하고, 혼란이 없다고 합니다.

이 자리에도 노 보살님들이 계시는데, 그동안 여러 곳에 다니면서 여러 스님들에게 불교가 무엇인가를 들었겠지만 각기 말하는바가 달라서 불교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을 것입니다.

우리는 불교를 이해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불교에 대한 설명을 통일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중도연기로 말을 통일했습니다.

부처님께서 왕위를 버리면서까지 우리에게 전 해주고자 했던 것은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게 잘 살게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들이 절에 오시는 목적이 각기 다르겠지만 사실 행복해지려고, 무엇인가 이 세상에서 잘 살아보기 위해서 절에 오시는 것은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방법에 문제가 있습니다.

그 방법이 부처님께서 의도했던 목적과 일치되어야 시간도 단축되고 행복의 조건을 찾는데도 효과적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깨달은 내용이 무엇이냐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것을 알기 위해 절에 오셔야 부처님이 의도했던 목적과 일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이 깨달은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존재의 원리입니다.

‘나’라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깨달은 것이지요.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내용이 우리가 나에 대한 존재를 생각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이해하면, 부처님의 깨달음을 이해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그 내용이 우리를 아주 편안하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할 것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소개하는 정도로 말씀을 드리면 여러분들이 다시 공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은 것은 ‘나’라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존재의 원리 부처님 깨달음 이해하면자유롭고 행복해져 앞에서 부처님께서는 우리의 존재원리를 깨달으셨다고 했습니다.

여러분들도 ‘나’라는 것을 어떤 형태로든지 알고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내 이름이 있지 않습니까.

‘고우’라는 이름을 통해 나를 알고 있는 분들이 많고, 나 역시도 그렇게 알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또 일상 생활을 통해서 자기를 인식하는 ‘자기’를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요약하자면 이 몸뚱이에 대한 형상을 통해 거기에 이름을 붙이고, 느낌이라든지 여러 가지 일상 생활을 통해 ‘나’라는 것이 있구나하고 알고 있습니다.

부처님은 동서남북의 문 밖에서 늙은 노인을 보고, 병든 이를 보고, 죽음을 보면서 인간의 삶이 불행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러면서 고뇌를 하게 됐지요.

인간이 고통만 느끼고 살다 가야 하는가.

이것 말고 인간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길은 없는가.

이런 고민을 거듭한 끝에 당시 많은 출가자들 중 한 사람으로 출가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처님은 육년 동안의 각고 끝에 나라는 존재원리를 깨달으십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름과 느낌과 일상생활에서 나라고 생각했던 그것이 내가 아니고, 내 존재 가운데 또 하나 무상의 존재가 있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그것을 깨닫고 나니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었지요.

여러분들 역시 이름, 느낌 등을 통해 그동안 나라고 생각했던 것 말고, 또 하나의 공이라는 존재가 그 속에 있는 것입니다.

이것만 알면 가정이나, 사회, 국가, 세계를 막론하고 다툼이나 전쟁은 있을 수 없습니다.

부처님은 그것을 깨닫고 나서 우리의 존재가 굉장히 위대하구나 하는 것을 느끼시고, 왕위까지도 버리고 수행자로 평생을 사시게 된 것입니다.

이 존재의 원리를 알면 모든 문제가 하루아침에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체험까지는 어려워도 그 내용을 소개받고, 그 길이 정말 좋다면 공부해서 그 길로 가 봐야겠다는 발심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간혹 이렇게 말하면 세상이 그렇지 않은데 나 혼자만 그렇게 하면 손해를 보지 않느냐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내가 가진 것을 손해 보는 것으로 착각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나에 대한 가치를 알게 되면 내가 가지고 있는 재물이나 그 무엇이던지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나에 대한 가치를 모르고 내 밖에 있는 어떤 물건만 잔뜩 쌓아 놓으면 그 가치는 많으면 많을수록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불교는 고행이고 희생이고 손해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것은 오해입니다.

이것을 이해하면 할수록 나에 대한 가치도 올라가고요.

그래서 오늘 이 자리도 불러준 것이 아니겠습니까.

우리가 지금 나라고 느끼고 있는 그것보다 하나가 더 있습니다.

손의 앞면은 손 바닥입니다.

그리고 뒷면은 손등입니다.

우리는 지금 손바닥과 손등이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 줄 모르고 있습니다.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인 줄 알아야 합니다.

이 내용을 알아야 자기를 바로 보는 것입니다.

앞면만 알아서도 안되고, 뒷면만 알아서도 안되고, 또 막연하게 손이라고만 알아서도 안됩니다.

이것을 다 알아야 합니다.

시골에 가면 볏짚이 있습니다.

이 짚으로 새끼, 짚신, 가마니 등의 제품을 만들면 우리는 제품만 보고 평가를 합니다.

때로는 서로 자신의 것이 제일이라고 다투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제품들의 재료는 무엇입니까.

짚이지요.

그럼에도 그것은 안보는 것입니다.

우리도 이와 같습니다.

우리도 여러 가지 물질이 부합되어 만들어져 있습니다.

만들어진 이 모습을 보고 몸짱, 얼짱하면서 야단들인데 형상만 보지 말고 본질인 재료를 보게되면 형상을 비교하지 않고 형상으로부터 자유로워져서 행복해진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바로 재료도 보시고, 현상도 보신 것입니다.

여러 가지 물건이 복합이 돼서 만들어졌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점은 현대물리학에서도 규명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물리학자는 자신을 수천 수만 개의 원자덩어리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또 우리의 몸은 60조라는 수없이 많은 세포 덩어리라고도 합니다.

그러면 어느 세포를 가지고 나라고 하고, 어느 원자를 가지고 나라고 하겠습니까.

단일로 독립된 물체는 이 세상에 아무 것도 없다는 말입니다.

거기서 더 나아가 쿼크라는 최소단위의 입자를 발견했고, 지금은 쿼크보다 작은 단위인 힉스를 발견하기 위해 치열하게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향후 5년 내에 그 입자가 발견될 것이라고도 합니다.

그것은 바로 물체가 되기 이전 단계의 소립자입니다.

이것이 발견되면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이라는 말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이런 복잡한 연구를 해보지도 않고 모든 존재의 원리를 깊게 보셨습니다.

앞에서 말했던 짚 가운데 개개 단위의 짚을 불교에서는 자성이라고 하고, 전체의 짚을 법성이라고 합니다.

이 법성과 자성은 둘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통일돼 있습니다.

지금 현재 나라는 것을 알고 있는데, 그것은 반쪽만 알고 있는 것이고 반쪽은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영원히 전해주고자 했던 내용이 바로 그 자성입니다.

그 자성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라 했습니다.

그것을 알면 우리의 마음이 평화로워지고 자유로워지고 행복해 진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이 체험하고 전해주신 말씀입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가 엉켜서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부처님은 연기(緣起)라고 표현했습니다.

인연이 모아져서 만들어졌다, 모든 물체가 형상이 있거나 없거나 간에 모든 존재는 연기로써 존재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부처님이 깨닫고 나서 그렇게 말씀하셨는데도, 우리는 단일로 독립된 물체로서의 자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건 착각일 뿐입니다.

잘못된 인식입니다.

그러니 오늘부터 이것을 고칠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이 연기를 이야기 한 분은 오직 부처님뿐이고, 다른 종교에서는 그 누구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종교들이 자연신이 됐건 인격신이 됐건 하나의 주체가 있어서 만들었다고 주장하면서 자기 종교의 창조주가 진짜라고 서로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교는 유일하게 자연신이든 인격신이든 그것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종교에서는 하나가 만법을 만들었다고 단순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불교는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느냐 하는 것까지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면 창조주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모든 존재에 창조주가 보편화되어 있고 평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대립할 이유도 없고, 몸짱이니 얼짱이니 할 이유도 없습니다.

그래서 남녀도 평등하고 노소도 평등하고 심지어 빈부도 평등하고 모든 것이 다 평등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 갈등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그 모든 갈등이 사라지면서 아무 것도 남지 않고 공허하냐 하면, 그것이 아니고 갈등하던 마음이 사라지는 것과 동시에 내가 본래 갖고 있던 지혜가 생깁니다.

하늘의 구름이 걷히면 해가 나오는 것처럼 지혜가 생기는데 이것을 진공묘유(眞空妙有)라고 합니다.

이 평등함을 알면 비교를 하지 않게 되고 그러면 스트레스가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스트레스의 90%는 비교에서 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평등함을 알고 지혜가 생기면 감정도 행복해지고 자기가 하는 일에도 가치와 의미를 알아서 열심히 집중하게 돼서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또 하나 귀중한 것이 있습니다.

자신에 대한 가치를 알게 되면서 인격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 어른이 없다고 하는데, 절 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에는 나이 든 어른이나 선배 스님들을 공경했는데, 요즘은 그것이 사라지고 있어요.

사회가 그러니까 절 집도 마찬가지 일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인격자가 없어지고 있는 것이지요.

대학교수가 제자 연구비 가로채는 일이 신문에 자주 나오는데, 이러면 돈 벌이 하는 기능인이지 학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손바닥과 손등이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줄 몰라 앞면과 뒷면 다 알아야 자기를 바로 보는 것 우리의 자본주의 역사가 짧기는 하지만, 자본주의가 들어오면서 돈의 가치가 최고가 되고 있습니다.

이 사회가 그렇게 돈이 최고인 것처럼 만들면서 인격이 사라지게 됐습니다.

저는 가끔 사회 분위기가 이래서 정말 도 닦기 힘들겠구나 하는 말을 합니다.

그런 면에서 젊은 스님들을 이해하려고도 합니다.

하지만 도 닦기 힘들다고 출가 수행인들이 돈이나 권력이 제일이라고 그걸 쫓아가면 안되겠지요.

사회 역시도 그렇게만 살면 안 되는 것입니다.

돈은 인간답게 살기 위한 수단일 뿐입니다.

우리가 이렇게 살면 다음 세대도 잘 못 가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세대부터 고쳐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다음 세대가 안심하고 잘 살수 있는 그런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라도 오늘 이 자리에 오신 분들부터 정신을 똑바로 차려서 부처님이 발견한 이 길을 진지하게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그렇게 살면 자신만 손해본다는 생각은 하지 마십시오.

자신의 가치를 알면 내 밖의 여러 가지 조건들도 가치가 올라가지 절 때 떨어지지 않습니다.

한국불교는 다른 나라보다 우리의 생활을 개선시키는데 큰 장점이 있습니다.

동남아 불교는 부처님 수행법에다가 자기의 인생을 맞추기 때문에 보기는 좋지만, 생활을 개선하고 잘되게 하는데는 좀 힘이 약합니다.

하지만 한국불교는 대승불교이기 때문에 생활하는 속에다가 불교를 갖다 놓고 있습니다.

그 생활을 통해서 불교를 완성시켜 나가며 또, 불교를 통해서 생활을 완성시켜서 생활과 불교가 하나가 되게 하는 것이 바로 대승불교입니다.

그런데 이런 장점의 한국불교가 불행하게도 ‘ 생활은 생활, 수행은 수행’ 하는 식으로 변해버렸습니다.

대승불교의 장점이 단점으로 바뀌면서 세속화 된 것입니다.

지금처럼 잘못 가고 있는 방향을 바로잡지 못하면 한국불교는 완전히 세속화 될 것입니다.

때문에 한 3년 전부터 대중법회를 할 때마다 가장 강조하는 말이 ‘정견(正見)부터 갖추자’는 것입니다.

육조단경에도 정견이라는 말이 참 많이 나옵니다.

정견을 갖춘다는 것은 중도연기(中道緣起)에 대한 이해를 가져라 하는 것입니다.

그 이해가 이 세상에는 형상이 있든 없든 단일로 독립된 물체는 없다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연기입니다.

때문에 거기에는 ‘나’라는 실체가 없습니다.

이렇게 말하니까 오해하는 이들이 많고 실제로 중국의 석학 임어당이나, 슈바이처 같은 사람들도 불교를 허무로 보기도 했습니다.

특히 바오로 2세 같은 분은 불교의 열반을 일체에 무관심한 것이라고 하기도 했는데, 정말 불교야 말로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알고 나면 진정으로 같이 아파하고 슬퍼하고 기뻐하게 되고, 지금처럼 극단적인 이기주의에 빠지지 않게 될 것입니다.

오늘부터는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나를 놓고 어느 세포를 나라고 하고, 어느 원자를 나라고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 리고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오온개공(五蘊皆空)’을 꼭 믿으세요.

그리고 그 다음에 나오는 ‘도일체고액(道一切苦厄)’, 즉 모든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난다는 것까지 알아야 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공이라고 해서 절대 허무한 것이 아닙니다.

그냥 허무하고 아무 것도 없다고 이해하지 말고, 그것이 없는 줄 알면 더 지혜롭고 더 적극적이고 활달하게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그렇게 가치와 의미를 알고 열심히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가치를 알게 되면 인생이 ‘무한향상’하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갈등과 대립이 없어지고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육조단경에 보면 겉모습의 출가를 출가라 하지 않고, 마음의 출가를 출가로 이야기합니다.

여러분들의 모습이 출가의 모습이 아니라도 마음으로 출가해서 세상의 잘못된 점을 고치고 부처님 법대로 살아가려고 노력한다면 개인도 행복해지고, 종단이 됐든 사회가 됐던 그 주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선(禪)은 여타 불교에서 하는 수행방법과는 조금 다릅니다.

부처님의 말씀을 달을 가르키는 손가락에 비유해서 ‘하늘의 달이 진리’라는 것을 말하면서 달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르치고 있을 때, 달을 보면 딱 깨치는 것입니다.

그런데 선불교는 여기서 아예 손가락은 치워 버리고 달만 가르키는 것입니다.

이것이 특색입니다.

손가락 없이 달을 보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손가락을 달로 착각하는 병폐가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달을 보는 것이 좀 힘들지만 보기만 보면, 바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가 본래 부처임을 알게 되는 것인데, 우리는 부처이면서도 부처인지 모르고 그 가치조차 모르고 살고 있는 것입니다.

중도연기 이해해야 자기의 가치 깨달아 그렇게 가치를 알때 갈등·대립 사라지고 인생의 무한향상 가능 우리의 존재원리를 알려면 앞서 말했듯이 짚으로 만든 여러 가지 형상이 아니라 짚이라는 본질을 봐야 하는 것처럼 본질을 봐야 합니다.

중도연기에 대한 이해를 확실하게 해서 그것이 본래 나의 모습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그런 시각으로 보고 생활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한 번에 다 하려 하지 말고 내 주변의 하나 하나를 봐 나가면 나중에는 가속도가 붙게 됩니다.

어디까지나 부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서 손가락을 보지 않고 바로 달을 볼 수 있는 것이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하고 싶은 분들은 스님들에게 화두를 받아서 하시고, 염불, 봉사 등 여러 방법이 있으니까 하나를 선택해서 하시되 반드시 정견을 갖추어서 하셔야 한다는 것은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정견을 갖추어야만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한국불교는 정견을 갖춰서 수행을 하지 않고, 수행방법만 배워서 하기 때문에 ‘내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마음속에 욕망을 가득 채워놓고 수행하는 꼴이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말이 안되는 일을 해서는 안됩니다.

내 존재에 대한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는 무엇을 해도 좋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행복해지는 가장 빠른 법입니다.

개울물 소리없이

간수무성요죽류 澗水無聲遶竹流 개울물 소리 없이 대밭을 감아 흐르고

죽서화초농춘유 竹西花草弄春柔 대밭 가 꽃과 풀은 봄기운에 취했구나.

모첨상대좌종일 茅簷相對坐終日 풀집 처마를 보며 진종일 앉자 있으니

일조불명산갱유 一鳥不鳴山更幽 새 한 마리 울지 않아 산이 더욱 깊네.

왕안석(王安石1021~1086)은 송나라 때 개혁정치를 주장한 인물로 흔히 조선시대 조광조(1482~1519)와 비교되는 인물이다. 부국강병과 인재양성을 목표로 내세웠던 신법(新法)을 실현코자 많은 파란을 겪었던 그는 만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종산(鐘山)에서 여생을 보냈다. 학자요 문인이기도 했던 그는 구양수(歐陽修)를 스승으로 하여 명석하고 박력 있는 문체를 만들어 냈다. 문장의 대가가 되어 당· 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치기도 한다. 자연을 읊은 시가 특히 우수하며, 유교와 불교의 경학에도 밝았다. 불교에 심취해 많은 경전을 열람하고 당대의 고승들과 만나 많은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이 시는 종산에 묻혀 살 때 지은 자연시로 고요한 자연 속에 선(禪)의 경지가 은근히 피어나는 선시의 대표작이랄 만한 시다.

2015년 12월 24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종교인과세 2018년부터,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안 발표
  2. “스마트폰 중독, 명상으로 치유해야”
  3. 이영렬 신임 서울중앙지검장 “선거사범 엄정 수사”
  4. 직장인 10명 중 7명 고용 불안 느껴, 40대가 단연 1순위
  5. 올해 10대 과학기술에 ‘스마트 인공 피부.핀테크’ 등 선정
  6. 부산 영화의전당, 영화의 메카로 도약
  7. 프랑스 대테러 대책 조항 강화 개헌 추진
  8. [단박인터뷰] 포브 소페악 스님 (2)
  9. 부산 종교인들, 성탄 축하 메시지
  10. 천태종 해영사, 자비의 쌀 전달
  11. “부처님 오신날도 성탄절”…12월25일 공식 명칭은 기독탄신일
  12. 겨울철 눈구경 어려운 울산 도심에 인공눈 뿌려져
  13. 불교총지종, 창종44주년 기념법회 봉행
  14. 울산과학대 눈썰매장 무료 개장.. 아이스링크 운영
  15. 현대차 이어 현대중공업도 올해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도출
  16. 현대차,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안 도출.. 28일 찬반투표 실시
  17. 노영민 의원 ‘시집 강매’로 “체중 3kg가량 빠졌다”
  18. CJ E&M, 에릭남·스피카와 전속계약…정준영과는 결별
  19. 전국 대부분 지역 미세먼지 농도 ‘나쁨’…주의 당부
  20. 11살 친딸 학대 아버지… 거듭 “죄송하다”
  21. 대구 아파트 가격 올해 첫 하락
  22. 미국 금리 효과로 소비심리 6개월 만에 찬바람 ‘씽씽’
  23. 한국은행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이어갈 것
  24. 짙은 안개 속 항공기 결항, 취소 잇따라
  25. 이종걸 “노동 5법 중 비정규직법 파견법 제외한 3개 법안 통과 가능” 분리처리방침 시사
  26. 새누리당 박상은 의원 집행유예 확정…의원직 상실
  27. 여야 지도부, 오후 의장 주재 쟁점법안 막판 협상
  28. 광고가 잘 팔리는 드라마는?…남성스타 부각, 남녀노소 잡아야
  29. 한국김치 5년만에 中 상륙… ‘종가집김치’ 판매 개시
  30. ‘운전기사 폭행 논란’ 몽고식품 명예회장…사퇴
  31. 대법, 라면값 담합 농심 사건 다시 심리해야
  32. 이목희 “어떤 형태의 협상 제안도 모두 수용할 것”
  33. 당정, 다음달초 ‘아동학대 근절 종합대책’ 발표
  34. 로스쿨생 절반 ‘등록 취소 철회’
  35. 러시아,시리아 민간인 폭격 수백명 살해 논란
  36. 제주항공 여압장치 이상 사고조사 항공기 36편 지연운항
  37. 6개월간 금품 460만원 받은 초등교사… ‘무죄’
  38. 부산시립박물관, 제4회 신수유물소개전
  39. 김무성 “야당이 경제활성화 노력에 훼방 놓는 것”
  40. 이종걸”박 대통령, 노골적 선거개입…국정운영보다 진박 우선”
  41. “스마트카 해킹 땐 대형사고..보안체계.법 마련돼야”
  42. 3개월 이상 장기결석 초등학생 ‘전국 106명’
  43. 공항소음대책지역 주민혜택 확대 시행
  44. 부산여성가족개발원 ‘경력단절 여성 위한 가이드북’ 발간
  45. 대구 불교와 천주교의 아름다운 만남
  46. 이종걸 “탈당 안해…권은희 비서실장 탈당도 만류”
  47. 공공부문 부채 957조 3천억.GDP 대비 64.5%
  48. (주)선진엔텍과 부산항만공사, 외국인선원 성탄행사
  49. 날아다니는 응급실 ‘닥터헬기’ 전북에 추가 배치
  50. ’11살 딸 학대’ 아버지·동거녀 검찰 송치

불교닷컴

  1. 죽음으로 라틴아메리카를 구한 성자 이야기
  2. “직장인이 종교인보다 7.7배 세 부담 커”
  3. 자승 스님,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 임명장 수여
  4. “동국대·용주사 사태 진행중…더 실천하겠다”
  5. “영특한 원숭이 기운 받고, 진중하게 한 해를”
  6. 검찰, 지난 9일 최옥곤 대표 불구속기소
  7. 박사학위 4개인 스님이 들려주는 공부법

불교신문

  1. [인물동정] 수불스님 금정불교상담대학 졸얼식 外
  2. 부처님 진리, 음악으로 전하다
  3. “문학은 훌륭한 포교사”
  4. [지대방] 알림
  5. 하루 하루
  6. 빈자리 / 나태주
  7. 삼포세대
  8. 한 해의 끝은 곧 새해의 시작이다
  9. “당신은 주인의 삶, 부처의 삶을 살고 있는가”
  10. 스마트폰, 소통도구인가 불통기기인가
  11. 서울 수국사 은평구서 동지 팥죽 나눔
  12. <39> 흑임자 두부조림
  13. [2015년 결산/불교문화] 불교음악원 개원 전시로 자비실천 각 분야서 약진
  14. [2015년 결산/학술문화재] 국내외 유출 불교 성보 대거 환수
  15. [2015년 결산/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사찰음식 ‘양대 산맥’ 우뚝
  16. [2015년 결산 / 출판] 콘텐츠 다양화 …“하지만 힘들었다”
  17. 지금 이 순간을 긍정하라
  18. 민초 눈물 닦아주는 ‘희망 부처님’
  19. 〈85·끝〉눈앞의 보배창고가 왜 보이지 않는가
  20. 〈20〉율장, 어떻게 이루어졌나?
  21. <40> 월암지한(月岩閑)
  22. 〈181〉삼역죄 데바닷타 교화 방편
  23. 〈45·끝〉일상생활도 점점 밝아져 지혜가 나온다
  24. 〈45·끝〉 ‘108번뇌’의 뜻
  25. [2015년 결산/복지] 자리이타(自利利他) 가르침 현장서 묵묵히 실천
  26. 천안에 첫 교계 복지시설 탄생
  27. 구례군장애인복지관 지역과 ‘한마음’
  28. 광주 월곡초, 행복장터 수익금 전달
  29. 자비의 전화·불교상담개발원 송년의 밤
  30. [2015년 결산 / 신행] 불황에도 신심돋는 활동은 계속된다
  31. 부처님 법대로 사는 법조인불자
  32. 경북 북부제2교도소 수계법회
  33. 연꽃생협 노숙인시설 옷 기부
  34. 서울포교사단 군5팀 송년법회
  35. 마라톤 탁발…“행복해지려고 오늘도 달립니다”
  36. 초등학교 2학년 은서가 20분 일찍 일어나는 이유는?
  37. 신흥사 연말 자비행…1억5천 인재불사
  38. 포교당 개원 1년…“우리도 조계종 신도입니다”
  39. 대전충남 포교사단 포교전진대회
  40. 인삼의 고장 금산에 첫 불교대학
  41. 강북장애인, ‘감사와 사랑의 자리’

불교저널

  1. 남·북종 나뉘기 이전 4조 제자들이 중심
  2. “낮고 어두운 곳을 먼저 살피자”
  3. [특집] “2016년 한국불교, 이렇게 바뀌었으면”
  4. [경전 속 원숭이 이야기] 얕은 꾀 경책하며 본질 강조
  5. “희생을 감수, 대중과 함께”
  6. 스님 비판 보다 불교 바로잡는 재가운동 돼야
  7. “담금질에서 혁신 이루자”
  8. “위기를 딛고 성장의 큰길로”
  9. “맑은 마음, 밝은 웃음으로 희망을”
  10. “갈등 허물고 소통 원활하길”
  11. 수풀 우거진 동남아 사원을 지키는 원숭이
  12. 조계종총무원의 원칙과 예측 가능성
  13. 붓다의 한국 딸들, 세계와 손잡다
  14. 2016 희망동지 팥죽 · 사랑의 쌀 나누기
  15. “함께 하는 큰 길을 열어가자”
  16. “지혜와 재치가 넘쳐나길”
  17. 아름다운 약속을 기억하라
  18. “약자와 함께 하는 삶을 삽시다”
  19. [원단기고] 2016년 한국불교에 바란다

불교플러스

  1. 진각종 성초 총인 신년법어
  2. 용주사신도비대위, “성월 스님에 손해배상 청구할 것”

현대불교

  1. 부안불교법륜청년회, 3년째 불서보급 사업 진행
  2. 청소년생명평화실천단 4기 졸업식

최종업데이트 : 2015-12-24, 11:05: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