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스님─인과응보 법칙은 언제나 작동

인과응보 법칙은 언제나 작동 /

지명스님

장례식장에서 망인의 왕생정토를 비는 염불을 하다 보면, 다양한 방법으로 문상하는 이들을 보게 된다.

기독교에서는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했다던가.

일반인들이나 불교인들은 보통 영단을 향해 2배를 하고, 상주에게 1배로 맞절을 한다.

그런데 기독교인이라고 짐작되는 이들 중에는, 영단을 향해서 고개만 숙이며 묵념을 하고 상주를 향해서도 절을 하지 않는 이, 영단에는 절을 하지 않지만 상주에게는 절을 하는 이, 영단에 절을 하지 않지만 무릎을 꿇고 묵념을 한 뒤, 상주에게 절을 하는 이가 있다.

나는 눈을 감고 생각해 본다.

고개만 숙이는 것, 허리까지 굽히는 것, 무릎을 꿇고 엎드리는 것이 형태만 다를 뿐, 망인에게 공경의 예를 올리는 자세임은 분명하다.

그런데 저분들은 왜 이 땅의 전통적 문상 방법을 무시 내지 파괴하면서까지 절하는 것을 “다른 신 섬기기”나 “우상숭배”와 연관지어서 생각할까.

여기까지 상념에 이르면서, 문득 “왜 내가 저분들의 교리나 그 해석 방법을 존중해 주지 못 하는가”며 반성하게 된다.

나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다른 이는 저렇게 생각할 수 있다.

나는 엎드려 절하는 것이 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이는 망인에게의 절을 “우상숭배”나 “다른 신 섬기기”로 풀이할 수가 있다.

이렇게 물어보자.

내가 싫어하는 업, 풍습, 문화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과 어떻게 다른가.

또 나에게 친숙한 것들은 나에게 생소한 것들과 어떻게 다른가.

나에게 친숙하고 내가 좋아하는 행동들은 참답고 선하고 아름다우며, 그렇지 않을 행동들은 거짓되고 악하고 추한 것인가.

맘에 들지 않는 문화 만났을 때 흔들림 없이 대하는 ‘평화’ 중요 소나 말은 풀을 먹고 호랑이나 사자는 고기를 먹는다.

소나 말은 다른 생명을 해치지 않지만, 호랑이나 사자는 먹을 수 있는 동물들을 무자비하게 잡아먹는다.

생명을 해치지 않는 소와 말은 숫자가 줄어들지 않고 종족이 번성되어 왔지만, 남을 잡아먹는 호랑이나 사자는 이제 멸종의 지경에 이르러 있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사는 “왜 공격하지 않는 동물이 공격하는 동물보다 더 번성할 수 있느냐”가 아니다.

소나 말의 업, 삶의 방법이 호랑이나 사자의 업이나 삶의 방법보다도 선하다거나 좋다고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과응보의 법칙에 따라서 공격성의 호랑이나 사자가, 사람의 보호를 받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호랑이나 사자에게 그들의 공격적인 업과 육식의 생존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따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들은 처음부터 그러한 업을 안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나도 내가 좋아하고 나에게 친숙한 미풍양속이 무시당하고 파괴되는 것이 싫다.

그러나 친화적인 소나 말이 살아야 하고, 공격적인 호랑이나 사자가 멸종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싶지는 않다.

나의 의지와 관계없이 인과응보의 법칙은 항상 작동중이다.

현실적으로 나에게 생소하고 내 맘에 들지 않는 업과 풍습과 문화를 만났을 때, 어떻게 흔들림이 없이 평등하고 자비롭게 대하는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금강경〉에서 “진리가 어떤 고정된 법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 최고의 깨달음으로 가는 길이다”라고 가르친다.

내가 규정하는 정의, 내가 좋아하는 선과 진리, 나에게 친숙한 업과 풍습과 문화에 매달리지 말자.

나와 가장 가까운 부모, 형제, 친구의 생각과 행동도 나의 것과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더욱이 어떤 위신, 명예, 사랑, 이득을 챙겨야 할 순간에는 하늘과 땅처럼 다를 수 있다.

내 맘에 들지 않는 것들에 대해서 낱낱이 대립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나는 영원히 마음의 평화를 지킬 수 없다.

선인선과 악인악과의 인과응보는 자연적으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이지, 내가 그것을 위해서 나의 평화와 행복을 내팽개칠 필요는 없다.

진각스님─ 짐승들도 기분나쁜말을 알아듣는다

◈ 짐승들도 기분나쁜말을 알아듣는다◈

진각스님

법문

함부로 말할 때는 강해 보이지만 험한 말을 들으면 강하던 사람도 의외로 마음에 상처를 입는다.

《본생경》에는 남에게 나쁜 말을 하지 말고 즐겁고 듣기 좋은 말을 하라는 교훈을 위해 부처님이 전하는 전생이야기가 있다.

부처님이 제타바나에 계셨을 때였다.

수행이 부족한 한 비구가 함부로 남을 매도하는가 하면 욕설도 서슴지 않았다.

어진 비구들은 이 사실을 부처님께 사뢰었고 부처님은 대중들에게 그것이 사실인지 다시 한 번 확인했다.

그리고는 그 비구를 호되게 꾸짖었다.

“잔혹한 말이란 동물들조차도 꺼리는 말이다.

나의 전생 수행시절에도 한 동물이 자기에게 험한 말을 퍼붓는 주인에게 천금이나 손실을 입힌 일이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전생이야기를 설했다.

옛날 석가보살이 수행할 시절에 어느 장자 집의 송아지로 태어났다.

주인은 그 송아지를 친자식처럼 잘 먹여 주고 보살펴 주었다.

그 송아지는 자란 다음에 생각했다.

‘이 장자는 고생하며 나를 길러 주었다.

이 세상에서 나처럼 힘이센 소는 없다.

내 힘을 보여 주어 이 장자의 흔혜를 갚아야 하리라.’ 어느 날, 소가 주인에게 말했다.

“주인이시여, 돈 많고 욕심 많은 고을 유지에게 가서 ‘내 소는 백대의 수레를 동시에 끌 수 있다.’고 말하고 천금의 내기를 거십시오.” 장자는 돈 많은 이에게 가서 자신이 가진 소는 100대의 수레를 동시에 끌 수 있다고 자랑했다.

돈 많은 이는 장자가 허풍을 떤다고 생각하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지 말라고 핀잔을 주었다.

장자가 계속 우기자 돈 많은 이는 내기를 하자고 했다.

장자의 소가 수레 백 대를 끌면 돈 많은 이가 장자에게 천금을 주어야 하고 끌지 못하면 장자가 돈 많은 이에게 천금을 주기로 한 것이다.

장자는 백 대의 수레를 일렬고 세워서 서로 연결시킨 후에 수레마다 돌을 가뜩 실었다.

그리고 맨 앞의 수레에 석가보살인 소를 매었다.

그리고 장자는 보살인 소를 채찍으로 두들기며 소리를 질렸다.

“가자, 이 허풍쟁이야, 끌다가 죽을지라도 너의 허풍에 대한 책임을 져.” 석가보살인 소는 ‘이사람은 허풍도 떨지 않은 나를 허풍쟁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생각하며 꼼짝도 하지 않고 그대로 서 있었다.

그날의 시합에서 장자는 졌고 천금을 돈 많은 이에게 주어야 했다.

천금을 날려 버린 장자는 억울함과 속상함을 가누지 못해 그만 자리에 눕고 말았다.

소는 장자 주인에게 다가가서 어찌하여 누워 있느냐고 물었다.

장자는 천금을 잃은 것이 속상해서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자 소가 장자에게 말했다.

“주인이시여, 내가 이 집에 온 순간부터 지금까지 무슨 물건이든 하나라도 부순 적이 있습니까? 혹은 무엇이든 마구 짓밟고 다닌 일이 있습니까? 아니면 함부로 아무 곳에다가 오줌이나 똥을 눈 적이 있습니까?” 장자는 그런 일이 없었다고 답했다.

소는 장자에게 질문했다.

“그렇다면 어째서 나를 허풍쟁이라고 불렀습니까? 그것은 주인의 잘못입니다.

이제 2천금의 내기를 거십시오, 그러나 말을 조심하십시오.

함부로 허풍쟁이라고 부르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장자는 소가 말하는 대로 돈 많은 이에게 가서 이번에는 2천 금을 걸었다.

이번에는 소를 쓰다듬으며 공손하게 말했다.

“가자, 슬기로운 자야.

끌어라, 현명한 자야,” 석가보살인 소는 백 대의 수레를 힘도 안 들이고 끌었고 장자는 2천금을 받아서 돌아왔다.

이렇게 해서 장자는 석가보살인 소로 인해 엄청난 재산을 손에 넣었다.

이야기를 끝내고 부처님은 남에게 즐거운 말을 하고 불쾌한 말을 하지 말라고 다시 한 번 당부했다.

그리고는 “그때의 장자는 지금의 아난이고 그때의 소는 바로 지금의 나이다.” 라고 말하면서 전생과 금생을 관련이었다.

불쾌한 말을 해서 남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사람을 경계하기 위해서 부처님은 이 소의 이야기를 설한다.

소도 허풍쟁이라고 말하자 반발심이 생겨서 장자에게 천금을 손해보게 만드는데 하물며 사람이라면 더 손해보게 만들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의미가 담겨 있다.

사람은 참 약한 존재이다.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말할 때는 강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사람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험한 말을 들으면 그렇게 강하던 사람도 의외로 마음에 상처를 입는다.

아무리 강한 사람도 상대가 악한 말을 하게 되면 그방 이성을 잃고 화를 내고만다.

아니 강하다고 하는 사람들 일수록 더욱 성을 잘 낸다.

그것은 분명 겉 모습만 강한 것에 불과하다.

진정 강한 사람이란 갖은 모욕과 험담이나 악한 말에도 변화할줄 모르고 묵묵히 견디어 나가는 사람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심 하는 보살인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약점을 잘 보지 못한다.

자신이 생각할 때는 자신이 잘못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유가 있어서 부득이 잘못을 저지르니 그것은 결과적으로 잘못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다가 잘못을 남으로부터 지적받으면 당황해 하고 억울해 한다.

자신에게 잘못이 없다고 하는 사람은 아마 모르긴 몰라도 거의 없을 것이다.

그만큼 자신을 돌아보질 못하기 때문이다.

행여 자신의 잘못을 안다고 하더라도 쉽게 고치려 들지는 않는다.

그대신에 오히려 상대의 잘못만 들추기를 좋아하고 상대의 약점을 여기저기에 험담을 늘어 놓기를 좋아하게 된다.

남을 흉보는 사람을 자세히 보라.

모르긴 몰라도 그 흉보는 사람은 그것이 취미가 아니면 그 사람은 육체나 정신이 흉 덩어리 자체일 것이다.

잘못을 지적할 때도 애정 어린 설득과 비난조의 경격에는 큰 차이가 있다.

상대가 애정 어린 표정이나 말씨로 어떤 이의 잘못을 꺼내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할 때에 그는 태도를 바꾸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공격적으로 비난하면 반발한다.

그리고 비난하는 사람의 자격을 생각한다.

비난하는 사람도 생각해 보면 허물이 많은데 무슨 자격으로 남의 사정도 자세히 알지 못하면서 비난하느냐고 원망하게 된다.

직접적으로 남의 허물을 이야기해 주는 것은 그래도 신사적이다.

참으로 좋지 않은 것은 뒤에서 남의 말을 나쁘게 하는 것이다.

뒤에서 남의 말을 나쁘게 하는 것도 장점은 있다.

남의 말을 부담 없이 말함으로써 자신에게 쌓인 스트레스를 풀 수가 있다.

또 남을 비판하다 보면 경우를 따지게 되고 경우를 따지다 보면 혹시 나에게는 그와 같은 잘못은 없는지 반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자신의 스트레스를 푼다거나 비판력을 기르는 장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등뒤에서 비판을 받는 주인공에게 오는 상처는 너무도 크다.

상대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잘못을 이야기해 주는 것보다 남을 통해서 자신에 대해서 수근거리는 눈치를 알게 되면 당사자는 몇배의 강한 충격을 받게 된다.

알고 있는 많은 불자들은 남의 나쁜 점을 이야기하는 것을 삼가한다.

본인이 없는 데서는 물론이거니와 본인이 앞에 있을 때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분위기가 되더라도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고는 남의 잘못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남을 뒤에서 흉보지 않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본인이 있는 데서 나쁜 말을 함부로 하지 않기도 어렵다.

반야의 언덕을 넘어서 는 남에 대해 나쁘게 말하지 않는 분들과 인연이 있는 것을 큰 복으로 생각하고 있다.

일본 사람을 상대해 보신 분들은 그들이 얼마나 남의 말 나쁘게 하는 것에 대해서 조심하는가를 잘 알 것이다.

경험에 의하면 전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많은 일본 사람들은 드러내 놓고 남에 대한 비평을 하지 않는다.

기껏해야 아쉬움을 표현할 정도이다.

물론 거기에도 문제는 있다.

일본 사람들이 인격적으로 훌륭하기만 해서 남의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 자체에 자기의 속을 남에게 드러내 보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철저히 자신의 마음을 숨긴다.

자신을 내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의 진정한 마음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과 마음으로 접근하기가 어렵다.

솔직담백하게 자신을 보이는 면에 있어서는 우리 한국인들이 훨씬 좋다.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위장하면서 살지 못하는 성미를 가졌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솔직함을 장점으로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남의 말을 나쁘게 하는 것은 고쳐야 한다.

부처님은 소 같은 가축도 나쁜 말을 직접 들으면 기분이 상한다고 한다.

그 짐승들이 누군가가 자신들을 뒤에서 흉보는 것을 알면 더욱 불쾌하게 생각할 것이다.

소로 태어난 석가보살도 함부로 말하는 주인에게 천금의 손해를 보게 만들었다.

뒤에서 흉보는 일이 있었다면 더 많은 손해를 보게 했을 것이다 .우리가 부처님의 전생수행담을 듣고 직접적으로 남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나쁜 말을 하지 않을 수만 있다면, 본인이 없는 데서 남을 흉보지 않을 수만 있다면, 더 나아가 앞에서나 뒤에서 남의 장점만을 드러내서 이야기할 수 있다면 우리의 불도수행은 더욱 성숙해질 것이다.

백화점에 가서 비싼 옷을 사 입지 않고도 우리는 고상하고 멋있는 인격자가 될 것이다.

이것을 실천한다면 자신의 마음이 편안하고 남도 편안케 해줄 것이다.

불법을 입으로 선전하지 않고도 자신의 인격으로 불법의 위대함을 알리게 될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리 하여야 한다.

우리는 모두가 반야의 언덕을 넘어서 회원이지 않은가 ? 이것이 반야의 언덕을 넘어서를 찾는 보살인 것이다.

법철스님─아미타불(阿彌陀佛) 좌보처보살이신 관세음보살

아미타불(阿彌陀佛) 좌보처보살이신 관세음보살 /

법철스님

불경에 의하면, 관세음보살님은 항상 극락세계의 주불인 아미타불(無量壽佛)의 좌보처(左補處)보살로 항상 적정삼매(寂靜三昧)에 계시면서 한걸음도 움직이지 않으시고(不離一步), 시방세계에 두루 모습을 나투시어(刹刹現身) 중생의 고난을 구해주시는 대성인이다.

관세음보살님은 남성과 여성의 성(性)을 초월한 분으로서 중생을 고난에서 구하지만 전해오는 바를 종합해보면 대체적으로 백의를 입고 오른손에는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왼손으로는 중생을 구원하는 감로수가 들어 있다는 정병(淨甁)을 든 천상천하에 유일한 복덕과 지혜를 갖춘 아름다운 여인상으로 많이 나투고 있으니, 이는 관세음보살님이 우주의 일체중생의 대자대비한 어머니의 상징인 것이기도 하다.

또 관세음보살님은 인적이 끊긴 외로운 섬(海岸孤絶處)에 있다는 성산(聖山)인 보타낙가산(寶陀洛迦山)의 죽림원(竹林院)에서 상주 하면서, 고난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설흔두가지의 몸을 나투고(三十二應身), 열 네가지 두려움이 없는 위력(十四無畏力)과 네 가지 불가사의한 덕(四不思議德)을 걸림이 없이 받아 쓰기도(受用無碍)하면서, 팔만사천의 빛나는 머리(八萬四千 迦羅首)와 팔만사천의 팔과 손(八萬四千母陀羅臂)에 항마(降魔)와 중생을 구원하기 위한 신기(神器)를 들고, 팔만사천의 청정하고 보배로운 눈(八萬四千淸淨寶目)으로 우주를 통찰하며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대자비로 항마를 위해서는 위신력(或慈或威) 을 보이며 우주에 나타나지 않는 곳이 없이(分形散體) 몸을 나투워 고해중생의 기도소리를 들으시고 감응도교(感應道交)를 이루면 기도중생의 마음속의 구하는 바에 따라서 반드시 낙을 얻게(拔苦與樂) 해주는 대성인이시다.

고해대중이여, 이제부터라도 현세의 짧은 무상한 허욕에서 심기일전 하여 마음을 비우고, 영원한 생명을 위하여 대자대비 관세음보살님을 가슴으로 영접할지어다.

그대 가슴에 마음을 비우고 오직 관세음보살님을 영접하면 그대의 가슴에도 관세음보살님의 대자대비심이 충만하게되고, 그대의 초능력인 잠재의식이 관세음보살님을 의지하여 자가 발전을 일으켜 마침내 관세음보살님과 일체를 이루어, 그대가 지은 업의 윤회의 고통에서 반드시 해탈하여 살아서 마음의 평안과 소원의 성취는 물론이요, 세연이 다해 그대 홀로 저세상의 먼길을 외롭게 떠날때 관세음보살의 인도를 받을것이다.

믿음으로 고해를 향해 소리쳐 송(頌)하노니, 대자대비하신 구세주 관세음보살님시여 우주의 오직 한 분, 청정법신불의 화신이로다 관세음보살님시여, 업보의 윤회에서 고통받는 고해의 중생을 인도하여 주소서 이교(異敎)에 올바른 정신을 빼앗기고, 탐욕으로 올바른 정신을 빼앗긴 자들의 속안(俗眼)에 관세음보살이 어디있느냐, 보이지 않는다, 하면서, 불신하고 조롱하는 자들이 있도다.

믿음을 부정하는 어리석은 자들은 불신의 업보로서 하루낮 하룻밤에 만번 살고 만번 죽어야 하는(一日一夜 萬生萬死) 의 생사윤회의 고통만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로다.

그러나 우리를 구원하는 분, 관세음보살을 믿는 중생들은, 어둠속에 대광명을 만나듯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으로 살아서나 죽어서나 관세음보살님의 가호로 윤회의 업보가 소멸되어 마침내는 극락세계로 인도받아 영원한 영화속에 살 것이로다.

아침에도 관세음보살님께 경배 드리고, 관세음보살님을 생각하고 (朝念觀世音菩薩), 저녘에도 관세음보살님께 경배 드리고, 관세음보살님을 생각하는(暮念觀世音菩薩) 바른 신행을 하는 자들이여, 그대들은, 반드시 제불보살(諸佛菩薩)과 천지신명(天地神明)의 축복을 받을것이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