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스님─인과응보 법칙은 언제나 작동

인과응보 법칙은 언제나 작동 /

지명스님

장례식장에서 망인의 왕생정토를 비는 염불을 하다 보면, 다양한 방법으로 문상하는 이들을 보게 된다.

기독교에서는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했다던가.

일반인들이나 불교인들은 보통 영단을 향해 2배를 하고, 상주에게 1배로 맞절을 한다.

그런데 기독교인이라고 짐작되는 이들 중에는, 영단을 향해서 고개만 숙이며 묵념을 하고 상주를 향해서도 절을 하지 않는 이, 영단에는 절을 하지 않지만 상주에게는 절을 하는 이, 영단에 절을 하지 않지만 무릎을 꿇고 묵념을 한 뒤, 상주에게 절을 하는 이가 있다.

나는 눈을 감고 생각해 본다.

고개만 숙이는 것, 허리까지 굽히는 것, 무릎을 꿇고 엎드리는 것이 형태만 다를 뿐, 망인에게 공경의 예를 올리는 자세임은 분명하다.

그런데 저분들은 왜 이 땅의 전통적 문상 방법을 무시 내지 파괴하면서까지 절하는 것을 “다른 신 섬기기”나 “우상숭배”와 연관지어서 생각할까.

여기까지 상념에 이르면서, 문득 “왜 내가 저분들의 교리나 그 해석 방법을 존중해 주지 못 하는가”며 반성하게 된다.

나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다른 이는 저렇게 생각할 수 있다.

나는 엎드려 절하는 것이 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이는 망인에게의 절을 “우상숭배”나 “다른 신 섬기기”로 풀이할 수가 있다.

이렇게 물어보자.

내가 싫어하는 업, 풍습, 문화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과 어떻게 다른가.

또 나에게 친숙한 것들은 나에게 생소한 것들과 어떻게 다른가.

나에게 친숙하고 내가 좋아하는 행동들은 참답고 선하고 아름다우며, 그렇지 않을 행동들은 거짓되고 악하고 추한 것인가.

맘에 들지 않는 문화 만났을 때 흔들림 없이 대하는 ‘평화’ 중요 소나 말은 풀을 먹고 호랑이나 사자는 고기를 먹는다.

소나 말은 다른 생명을 해치지 않지만, 호랑이나 사자는 먹을 수 있는 동물들을 무자비하게 잡아먹는다.

생명을 해치지 않는 소와 말은 숫자가 줄어들지 않고 종족이 번성되어 왔지만, 남을 잡아먹는 호랑이나 사자는 이제 멸종의 지경에 이르러 있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사는 “왜 공격하지 않는 동물이 공격하는 동물보다 더 번성할 수 있느냐”가 아니다.

소나 말의 업, 삶의 방법이 호랑이나 사자의 업이나 삶의 방법보다도 선하다거나 좋다고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과응보의 법칙에 따라서 공격성의 호랑이나 사자가, 사람의 보호를 받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호랑이나 사자에게 그들의 공격적인 업과 육식의 생존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따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들은 처음부터 그러한 업을 안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나도 내가 좋아하고 나에게 친숙한 미풍양속이 무시당하고 파괴되는 것이 싫다.

그러나 친화적인 소나 말이 살아야 하고, 공격적인 호랑이나 사자가 멸종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싶지는 않다.

나의 의지와 관계없이 인과응보의 법칙은 항상 작동중이다.

현실적으로 나에게 생소하고 내 맘에 들지 않는 업과 풍습과 문화를 만났을 때, 어떻게 흔들림이 없이 평등하고 자비롭게 대하는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금강경〉에서 “진리가 어떤 고정된 법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 최고의 깨달음으로 가는 길이다”라고 가르친다.

내가 규정하는 정의, 내가 좋아하는 선과 진리, 나에게 친숙한 업과 풍습과 문화에 매달리지 말자.

나와 가장 가까운 부모, 형제, 친구의 생각과 행동도 나의 것과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더욱이 어떤 위신, 명예, 사랑, 이득을 챙겨야 할 순간에는 하늘과 땅처럼 다를 수 있다.

내 맘에 들지 않는 것들에 대해서 낱낱이 대립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나는 영원히 마음의 평화를 지킬 수 없다.

선인선과 악인악과의 인과응보는 자연적으로 이어지는 세상의 흐름이지, 내가 그것을 위해서 나의 평화와 행복을 내팽개칠 필요는 없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