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들이 늘려있는 깊은 밤

중성나열야명심 衆星羅列夜明深 별들이 널려 있는 깊은 밤

암점고등월미침 岩點孤燈月未沈 바위에 외로운 등불 하나 달은 기우는데

원만광화불마형 圓滿光華不磨瑩 뚜렷이 찬 광명은 이지러지지 않고 빛나니

괘재청천시아심 掛在靑天是我心 내 마음 푸른 하늘에 걸려 있다네

한산시에 나오는 이 시는 밤하늘의 별을 보다가 마음의 빛을 찾은 오도송(悟道頌)과 같다. 어두운 밤하늘의 별과 희미한 잔월, 바위에 점 찍힌 듯이 켜져 있는 등불 하나, 이러한 배경 속에 갑자기 온 우주에 꽉 차고 저물지 않고 이지러짐이 없는 광명을 찾아낸다. 바로 자기광명인 마음의 빛이다. 이것이 하늘에 떠 있는 달처럼 온 세상을 비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지막 구절에서 푸른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이 내 마음이라 하였다.

한산시(寒山詩)는 대부분 산 속에 은둔한 자취를 나타내면서 자연에 돌아가는 탈속한 정취와 때로는 인생의 무상을 노래하였다. 주로 외면적인 묘사를 통해서 내면세계를 넌지시 엿보게 하는 매력들을 가지고 있다. 한산은 산 속에 은둔하여 도풍(道風)을 드날렸던 전설적인 인물로, 중국 당나라 때 천태 시풍현(始豊縣)의서쪽 한암(寒巖)의 굴속에서 살았다. 미친 사람 같은 차림과 행동으로 국청사에 드나들며 습득과 함께 밥을 얻어 댓통에 넣어 한산으로 돌아가 놀면서 절벽이나 바위에 수많은 시를 남겼는데, 태주 자사를 지냈던 여구윤(呂丘胤)이 모아 시집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2년8월 (제21호)

인연이 깊을수록 미안한 것이 많다

불교신행에 있어서 참회가 매우 중요하다. 그릇된 업을 고쳐가는 지름길이 참회에 있다. 참회라고 말하면 큰 죄를 지은 사람이 용서를 비는 것쯤으로 생각하는, 도덕적 부담감이 큰 죄의식의 참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모르고 지나갈 번한 작은 에러성의 자신에 대한 참회도 있고 남에게 실수한 사소한 잘못을 자책하는 가벼운 참회도 있다. 참회란 범어의 크사마(ksama)의 역어인데 쉽게 말하면 미안해하는 마음이다.

사람이 쓰는 인사말 가운데 “미안합니다”라는 말이 어느 나라 말에도 예외 없이 다 있다. 인사말이 있다는 것은 언어적 습관을 통해 우리는 때로 남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야 된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말의 경우 윗사람에게는 “죄송합니다”라고 경어를 써 예를 갖추어 말하면서, 정말 수줍고 부끄러운 표정으로 사과를 하는 겸손한 인사는 스스로의 도덕 수준을 높이는 인격수양의 모범이 된다. 물론 예의로서의 인사가 인륜의 도리를 세워가는 도덕률 제고의 큰 역할을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자칫 사람들은 이 예를 잃고 사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구나 현대의 사회심리 현상을 보면 도덕적 정신박약증이 점점 깊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에게 있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자기가 걸려 있는 병을 아예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잘못을 자각하지 못하고 사는 것은 병든 환자가 자기가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과 같다. 깨달음을 목적으로 하는 불교의 수행은 자각정신에서 이루어진다. 스스로 깨닫지 못하면 꼭두각시나 허수아비의 삶을 면할 수 없다.

자각정신을 일깨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참회의 생활이다. 이는 우리들의 생활을 개선하는 지극히 소중한 친화력과 화합력을 얻게 하는 원동력이다. 사람사이에 일어나는 불화의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는가? 이는 어느 누구의 마음에 잘못이 참회되지 않고 나쁜 업력의 기운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참회는 자기의 업장을 소멸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시쳇말로 팔자가 좋지 않다는 것이 업장이 두껍다는 말과 뜻을 같이 한다. 때문에 참회는 곧 자기 팔자를 고치는 일이기도 하다.

문명의 세계 속에서 의-식- 주의 고급을 누리고 사는 오늘의 현대인들이 예상외로 고압적이고 딱딱한 주관을 가지고 적대감정으로 남을 대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남을 곧잘 무시하고 예사로 실례를 범하며 예의가 결여된 행동으로 남을 불쾌하게 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을 불교에서는 강강중생(剛强衆生)이라고 한다. 강철처럼 단단하여 굽어지지 않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겸손해 할 줄 모르는 사람, 다시 말하면 참회할 줄 모르는 업장이 두꺼운 중생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사람들이 많으면 자꾸 불화가 조성되어 개인의 가정이나 단체의 사람들이 불화에 빠지고, 그 여파가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사람들은 어디로 가나 제 잘난 체만 하지 사람 사이에 친화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시비를 따지고 불평을 하는 데는 남에게 뒤지지 않지만 남의 입장을 배려해 주는 데는 아주 인색해져 버린다.

생존경쟁이라는 말이 있어도 인생은 경쟁만이 아니다. 물자의 생산에 있어서 경쟁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도덕적 우위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양보와 겸손이 필요하다. 또한 삶이란 너와 나의 대립적 자존심 경쟁도 아니다. 이해와 포용으로 정신공간을 더 확장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참회는 증오의 마음을 푸는 일이며 자기 자신을 개혁하는 의지를 가다듬는 일이다. 또한 참회는 자기 마음의 정서를 가장 부드럽게 하는 일이다. 어둠을 비춰주는 등불처럼 내 마음의 등불을 켜서, 내 마음속의 어둠을 없애는 것이 참회이다.

내가 미안해하면 상대방도 미안해한다. 상호간에 밝은 마음을 소통하여 믿어 주고 기도해 주는 순수한 인간애가 참회의 정신에서 나온다. 그럼에도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이 참회의 마음을 놓치고 산다. 맺어진 인연이 주는 의무와 권리가 동시에 있다면 참회는 분명히 그 인연 속에 지켜야 하는 하나의 의무이다. 그것은 누구를 위해 기도를 해 주는 마음과 똑같은 것이다.

사람이 죽어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이런 질문을 한다고 한다.

“그대는 자기가 지은 죄를 얼마나 참회하고 왔느냐?”

좋은 일을 얼마나 하고 왔느냐고 묻는 것이 아니라 자기 죄를 얼마나 참회하고 왔느냐고 묻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한 가지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것은 인연이 깊으면 참회해야 할 것이 더 많다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8월 제5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