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02월 12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인사]대법원
  2. 법관 정기인사 단행..단독사건 부장판사 증가
  3. 문경시, 문화재·전통사찰 보수정비사업 추진
  4. 2월 14일은 ‘안중근 의사 사형선고일’
  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역 미술의 세계화 방안 모색
  6. 대구경북 아파트·전세가격 하락세···미분양 아파트 ‘급증’
  7. 부산서 1톤 트럭, 전봇대 들이받아
  8. 영남권 신공항 입지 6월말 발표
  9. 대인예술시장, 13일 ‘부럼 깨고 소망 비는 별장’
  10. 인플루엔자 의심환자 급증…”예방수칙 지키세요”
  11. 더민주, 정의장 선거구획정 잠정합의안 획정위 보내야
  12. 5·18 참상 알린 故 힌츠페터 씨 행적 그린 영화 제작
  13. 홍용표”개성공단 유입 자금, 北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사용”
  14. 전남 일부 지역에 호우특보…강풍 동반 많은 비
  15. 개성공단 기업인들, 정치권에 “법·제도로 힘 실어달라”
  16. 심야에 공원서 집단폭행…조직폭력 일당 검거
  17. 해운대 아이스링크 13일 폐장
  18. 더민주 공관위 첫 회의…단수공천 현역의원.신인 공정 기회
  19. 한마음선원 청주지원, 2016년 ‘촛불재’ 봉행
  20. 무등산국립공원에 ‘봄 전령사’ 복수초 꽃망울
  21. 프로축구 ‘선수 지분 쪼개기’ 확인…징계 여부 놓고 고민
  22. 여야 공천작업 본격 돌입…’컷오프’ 초미의 관심
  23. 중학생딸 시신 방치 목사 부부에 살인죄 적용
  24. 금융권, 개성공단 입주기업 피해최소화 대책 마련
  25. 불교 행사장에 울려퍼진 ‘빛과 소금’… 사라져가는 불교 용어 되살려야
  26. 영남대에서 18개 개도국 유학생 33명 ‘새마을학’ 석사 학위
  27. 경북도청 이전 특별이벤트···휴그린골프장·유교랜드 할인
  28. 경북교육청 49년 대구청사시대 마감
  29. 파출소 앞 불법주차 잡고보니 음주운전
  30. 총지종 새 통리원장 인선정사, 17일 오후 2시 취임
  31. 대구교육청, 올해 첫 입시설명회
  32. [단박인터뷰] 생명나눔실천본부 이사장 일면 스님(2)
  33. 부산시 ‘개성공단 관련기업 긴급지원’ 나서
  34.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료인 면허 취소 추진
  35. ‘STX 뇌물 수수’ 정옥근 前 해참총장 징역 4년으로 감형
  36. 경북도, ‘문화특화지역 조성’ 시·군 7곳으로 확대
  37. 코스닥,코스피 동반 폭락,코스닥 한때 서킷브레이커 발동
  38. 국민銀,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금융지원 프로그램 실시
  39. ‘종교가 바라본 파견법’… 불교.천주교.기독교 18일 토론회 개최
  40. 국내 기업 해외직접투자 4년만에 증가세로 전환
  41. [인사] 여성가족부
  42. [인사]산업통상자원부
  43. 부산박물관, 원숭이 특별전 개최
  44. 경북도, 동해안 ‘황금어장’ 프로젝트 돌입
  45. 국방부 “사드 배치장소 중국입장 고려, 군사적이지 못해”..
  46. [인사] 금융위원회
  47. 이기흥 회장, 국제수영연맹 집행위원에 선임
  48. 부산 ‘해빙기 위험시설 일제점검’ 15일~3월31일
  49. 부산시 ‘인터넷중독 예방·해소 사업’ 추진
  50. 길상사, 다음달 4일 법정 스님 추모법회 봉행

불교닷컴

  1. 바른불교재가모임 미주지부 결성
  2. ‘BBS불교방송-통일과 나눔’ 손잡아…업무협약
  3. 민추본 23차 월례강좌 ‘북핵 위기와 협상의 역사’
  4. 애니메이션으로 만나는 불교이야기
  5. 공불련, 마곡사서 신년법회·임원 연수
  6. 홍천복지관 장애인 구직자·구인업체 모집
  7.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 감포서 정초방생 기도
  8. 53기도도량 순례기도 첫발 내딛다
  9. 전교조, 4‧16연대와 동대부고 교사 강제 전보 항의
  10. 3대 종교가 바라본 파견법은
  11. 교육부 “이사 총사퇴해도 관선이사 파견 없다”
  12. ‘깜깜이’ 교회 재판, 왜 ‘기울어진 저울’ 됐나
  13. “박근혜정부 도저히 이해 못해”
  14. 입주기업에 하청까지, 도미노처럼 쓰러진다
  15. 세 번의 개성 방문, 다시는 갈 수 없는 건가요
  16. 민추본 청년학생 불교통일교육 스타트
  17. 아나키즘 불교적 시각으로 본다면

불교신문

  1. 50기 사미사미니계수계교육 오는 25일부터
  2. [부고] 안재철 제주대 교수 모친상
  3. 조계종 ‘한국의 전통사찰’ 전수조사보고서 발간
  4. 파견법, 종교 교리에 합당한가
  5. 자비행 가득 담은 쌀 4200kg 이웃에 전하다

불교저널

  1. 문화재청 ‘문화재 방재 단말기’ 보급
  2. “동국대 운영 개입말라” 조계사 앞 1인 시위
  3. 종교인이 보는 ‘파견법 개정안’ 문제점은?
  4. 중국군 전사자 춘절 영가천도제 첫 봉행
  5. ‘월정사 탑돌이의 과거·현재·미래’ 토론회
  6. 아나키즘이 불교와 같고 다른 점은 뭘까?

불교포커스

  1. [시골절 주지의 귀사일기] 설날 전후
  2. [워킹맘의 쌩얼불교] 맏며느리의 명절
  3. 법련사, 군부대 찾아 방생법회 개최
  4. 홍법문화복지법인 ‘자비나눔 쌀’ 전달

현대불교

  1. 월정사탑돌이 무형문화재 지정 가속화
  2. ‘아! 봄소식 싣고 매화가 왔구나’
  3. 법정스님 불일암 무소유길 복원된다
  4. 법주사, 입춘기도 회향
  5. 마곡사, 사천왕재 및 정초기도
  6. 홍법복지법인, 고양시에 쌀 전달
  7. 법련사, 군부대 ‘방생’ 나선다
  8. 열린선원, 합동차례·세알세배

최종업데이트 : 2016-02-12, 11:31:12 오후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것

“물소리는 밤중에 듣는 것이 좋고 산색은 석양에 보는 것이 좋다.”는 말처럼 보고 듣는 것도 적당한 타이밍이 있는가 보다. 만추의 서정이 산색 속에 느껴지더니 어느새 겨울의 문턱을 넘어 잎 진 나무 가지들이 허허로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하루의 석양처럼 가을이 저물고 겨울이 다가오는 산의 모습을 석양 속에 바라보았다. 어쩐지 무상하고 쓸쓸한 감회가 생기며 벌써 겨울을 알려 주는 산의 모습에 공연히 애틋한 연민 같은 것도 느껴진다.

흘러가는 강물의 어귀처럼 세월에도 계절에도 어귀가 있어, 이 어귀에 맞춰진 타이밍이 저무는 석양에 산을 보면서 쓸쓸해져 보았다. 40여 년을 산거인山居人을 자처하고 산에 살아 왔으면서도 또 산이 주는 뭉클한 서정에 관산청수(觀山聽水)의 산락(山樂)이 또 다른 이런 저런 회포로 번진다. 차라리 산에 푹 빠져 자연과 동화되고 싶어진다.

사람과 자연이 가장 친해질 수 있는 것은 역시 산 속에서 산을 보고 물소리를 들을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 순간을 가장 자연적이고 인간적이라고 표현해 보면 어떨까? 엄밀히 말하면 사람이 사는 것도 자연일 텐데, 왜 현대에 와서는 사람과 자연이 멀어지고 있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일까?

지나친 인공의 문화가 소박하고 순수한 자연의 이치를 어기고 있기 때문인가? 자연에 있는 모든 것은 진리 그대로이며, 사람은 결국 자연으로부터 모든 것을 배우며 사는 것이다. 아무리 문명의 치장을 많이 하고 산다하여도 사람에게도 본래 가지고 있던 자연의 모습이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활이 불편하고 힘들 때나 허영과 사치가 지나칠 때 사람은 자연을 거스르면서 살아가게 된다. 자연에 대한 고마움과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매우 부자연스러운 것이 자연을 거스르는 것이다.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도 절로절로

산절로 수절로 산수간(山水間)에 나도 절로

그중에 절로 자란 몸이니 늙기도 절로절로 하리라.”

조선조 중엽의 문인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자연가(自然歌)라는 시조이다. 산수를 따라 절로 산다는 이 자연의 노래는 자연의 삶 속에 인간의 행복이 있다는 것을 노래한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자연이 없으면 사람의 행복도 있을 수 없는 것일 것이다. 때문에 사람은 자연을 사랑하면서 행복을 누려야 한다.

어쩌면 이 세상에 자연을 사랑하지 않고 사는 사람은 없을지 모른다. 그렇지만 자연의 사랑은 자연스러워야 한다. 예를 들면 꽃을 꺾는 것과 같은 일방적으로 욕망을 채우려는 이기적 생각으로 자연을 대하는 것은 순수한 자연 사랑이 아니다.

자연 앞에서 나라는 아상(我相)을 세우고 내가 자연의 주인인 것처럼 생각하는 것도 자연에 대한 실례요, 모독이다. 나와 자연이 동격이 되어 물아일여(物我一如)의 경지 속으로 들어가야 자연과 내가 만나지는 것이다.

사람의 생활이 기계문명의 위력에 눌리고부터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순수성이 사라지고 있다. 톱니바퀴가 서로 물고 돌아가는 것처럼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문명이 자꾸 자연과의 거리를 멀게 하고 있는 것이다. 물자의 생산에 바쁘기만 하여 시간에 쫓기면서 인공의 속력증가가 가장 우선시 되면서 자꾸 시계의 바늘을 보아야 하는 바쁜 시대가 되었다. 산업의 발달이라는 미명아래 자연적이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살아가는 사람 생활이 이제는 자연에 대한 그리움마저 잃어버리게 될지도 모른다.

L.A.세네카는 이런 말을 하였다.

“착하게 산다는 것은 자연에 따라 사는 것이다.” 이 말을 반대로 말해보면 자연을 등지고 사는 것은 착하게 사는 것이 아니란 말이다.

자연적이라는 것이 가식과 위선이 없는 본래의 순수한 모습을 가리키는 말이라면 자연적인 것이 가장 인간적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람의 마음에 감동이 와 닿는 행위를 인간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세속적인 것을 멀리하는 것을 인간적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도연명(陶淵明)은 시를 지어 이렇게 말했다.

“초막을 짓고 인가 근방에 살아도 거마(車馬)의 시끄러움을 모르겠더라. 그대에게 묻노니 어째서 그런가? 마음이 속세에서 멀어지면 어디서 살 던 외딴 곳이요. 동쪽 울타리 밑에 핀 국화를 따다가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니 산의 기운은 아침저녁으로 아름답고 새들은 물물이 날아든다. 여기에 자연의 이치가 있으니 말하고자 하여도 말할 수가 없노라.”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12월 121호

가필시국+(迦畢試國)

가필시는 카피샤의 음역. 나라 이름. 고대 북인도, 건타라국(健 羅國)의 서쪽에 자리했던 나라.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카불(Kabul) 지방에 해당. 가비시국(迦臂施國), 겁비사국(劫毘舍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