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에 흐르는 물처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산과 같고 물과 같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 산심수심(山心水心)이 될 때 내 마음 그대로가 자연에 순응된 가장 편안한 마음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산수 속에서 계절을 느끼고 살다 보면 산과 물이 그렇게도 고마우며 절친해짐을 느낀다. 산수는 이 세상의 가장 순수한 예술이라고 생각될 때도 있다.

또 산이 있으면 계곡이 있고 계곡엔 언제나 물이 흐른다. 그리고 철따라 꽃이 핀다. 무릉도원이 특별히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셋이 잘 어울려지면 자연이 빚어내는 최고의 예술인 무릉도원이지 싶다. 물 흐르고 꽃이 피는 미묘한 작용을 산은 끊임없이 나타내 준다. 특히 우리나라의 산은 사계의 정서가 뚜렷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철마다 수많은 회포를 자아내게 한다. 우리 같은 스님들이 출가를 하여 절에 와 사는 것을 산에 들어갔다 하여 입산(入山)이라 말하는 것처럼 산은 또한 수도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산에 와서 살면 누구나 자연과 하나가 되는 도인처럼 살아진다.

세속의 복잡한 경계를 떠났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도인풍이 몸에 스며들기 때문이다. 산에 오래 살면 자기 인생에 대해 생각하는 사고방식도 달라지고 인생을 음미하는 맛도 세속과는 달라진다는 것을 나는 알았다. 산은 자연의 무한한 깊이를 깨닫게 할 뿐만 아니라 인생의 무한한 삶의 의미를 비로소 깨닫게 해 주는 부처와 같은 진리의 교육자이기도 하다. 산을 의지해 살면 인생의 영욕이 쉬어지며 세상의 시비가 쉬어진다. 애증도 사라지고 욕망과 분노도 사라져 산처럼 아무 할 말이 없어진 자신을 발견하기도 할 것이다.

산은 세상에 대한 불만을 말하지 말라고 가르치며 세상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버리라 하고 서운하고 못마땅한 일에 대한 것들을 어서 체념하라고 가르친다. 항상 은인자중의 미덕을 암시해 주는 산은 그러나 물의 순리를 가지고 물처럼 살라고 가르쳐 주기도 한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상선약수(上善若水)라 하여 “가장 좋은 것은 물처럼 되는 것이다”고 하였다. 아래로 흘러가면서 순리에 따라 만물을 적셔 주는 물의 공덕이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본받을 만한 것이라는 말이다. 또 솟아나는 샘물처럼 마음을 쓰라는 말도 있다. 지혜로운 생각, 자비로운 생각이 샘물처럼 솟아나 남에게 적셔주는 것, 이것이야 말로 인생의 진선진미(盡善盡美)한 최상의 공덕이요 정신적 가치일 것이다.

어떤 때는 계곡에 들어가 흘러가는 물을 바라보면서 하염없는 생각에 잠길 때가 있다. 물을 통한 사색도 수분이 되어 내 마음 곳곳을 적셔준다는 감상을 자주 느낀다. 청산리 벽계수의 맑은 이미지에 순수를 향한 간절한 소망 같은 것이 정연기(淨緣起)가 되어 일어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의식보다는 관조자의 눈이 되어 세상을 무심히 바라보고 싶을 뿐이다. 골짜기의 물이 그냥 흐를 뿐이듯이 생각도 그냥 흘러 가다가 무심의 둑을 만나 이런 저런 사념을 빠져나오면 물은 절로, 절로, 그렇게, 그렇게, 쉬지 않고 흘러가고 있다. 산은 가만히 있고 물은 흘러가듯이 세상은 자연의 이법에 의해 저절로 되어가는 것이다. 조선조 중기 문신 김인후의 시조처럼 산절로 수절로의 여운을 생각해 본다.

“청산도 절로 절로 녹수도 절로 절로

산절로 수절로 산수간에 나도 절로

그 중에 절로 자란 몸이니 늙기도 절로 절로 하리라.”

생각해 보면 물이 흘러가는 것과 같은 시간의 진행을 따라 부표처럼 떠서 움직이는 것이 인생사의 사연이 아니겠는가? 숱한 애환과 때로는 분노로 점철된 생애를 미련 없이 던져버려야 할 숙명 아닌 숙명 앞에 고개 숙일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 인생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도를 향한 무심을 품고 산을 보고 물을 들을 뿐이다.

“청산은 티끌 밖의 모습이요(靑山塵外相)

밝은 달은 선정 속의 마음이네(明月定中心)

꽃을 보고 색의 공함을 깨닫고(看火悟色空)

새소리를 들으며 듣는 성품을 밝힌다.(聽鳥明聞性)

어느 노스님으로부터 들은 말을 나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무심(無心)으로써 유심(有心)을 대하고 무정(無情)으로써 유정(有情)을 대하라.”

그리고 유명한 선시의 한 구절을 다시 한 번 중얼거려 본다.

落花有意隨流水 떨어진 꽃잎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라가는데

流水無心送落花 흘러가는 물은 아무 생각 없이 꽃잎을 보내 주누나.

산골짜기 계곡물에 떨어진 꽃잎이 떠 흘러가는 것을 보고 지은 시구이다.

인생이 꽃잎이라면 이 세상은 흐르는 물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9년 4월 제101호

책임이 무거우면 길이 멀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누구에게나 자기 방식의 길이 있다. 불교적으로 말하면 인연의 길이라 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어떤 스님이 출가를 하여 어느 절에 살고 있는데 한 번은 이런 질문을 받았다.

“스님은 왜 스님이 되었습니까?”

이 물음에 스님은 이렇게 대답을 해 주었다 한다.

“우리 집 대문 밖에 큰 나무가 하나 있었는데 묘하게도 가지가 사방으로 네 개가 뻗어 각기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어요. 어려서부터 나는 이 네 가지 중 한 가지가 마음에 들어 그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어디론가 가고 싶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그리하여 어느 날 무작정 집을 나와 내가 좋아하는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갔지요. 그랬더니 절이 있어 그냥 절에 들어와 살게 되었습니다.”

참으로 은은하고 재미나는 이야기이다. 좋아하는 나무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절에 와 스님이 되었다? 인연의 길이란 이렇게 묘한 뉘앙스로 쉽게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람은 모두 자기 인연의 길을 가고 있는 존재다. 설사 아무 주관 없이 남 따라 장에 가는 식으로 살고 있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 역시 인연의 길로 보아야 한다. 이 인연의 길이 인생의 도정(道程)이다.

“잠 못 이루는 사람에게 밤이 더욱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갈 길이 더욱 멀다.”는 『법구경』에 있는 말처럼 인생의 도정은 사람에 따라 먼 길이 있고 가까운 길이 있다. 이것은 굳이 거리의 ‘리(里)’ 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거리가 길고 짧은 것이 아니라 삶의 무게에 의해서 길어지고 짧아지는 인생 도정이 다르다는 말이다. 인생이 비록 인연의 길이지만 그 결과는 항상 과보로 나타난다. 인연과 과보는 서로 반대되는 말로 인과의 법칙에 의해 인연이 있으면 과보가 오게 되는 것이다.

태어나고 죽는 생사 역시 인과의 이치로 이루어지지만 윤회의 과정에서 보면 인과는 항상 동시적인 의미를 가진다. 과거의 원인이 현재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원인이 된다는 뜻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해서 인과는 항상 겹으로 붙어 있는 것이다. 이 이중의 겹으로 볼 때 인생은 끝나지 않는 길을 가는 영원한 나그네이다. 바꾸어 말하면 인생은 끝나지 않는 연속극이다. 결코 단막극으로 끝날 수가 없는 것이다.

세세생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의 삶을 가지고 끝나지 않는 길을 가야 하는 유랑의 신세를 면할 수가 없는 것이 중생이다. 그래서 사람은 누구나 먼 길을 가고 있다. 인연이 만들어 주는 과보를 무거운 짐처럼 짊어지고 가고 있는 것이다. 내가 맺은 인연에 좋은 과보가 오도록 응분의 노력을 다하고 인연의 책임을 지고 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한자의 사자성어에 임중도원(任重道遠)이라는 말이 있다. ‘책임이 무거우면 길이 멀다.’는 이 말은 무거운 책임을 진 사람일수록 할 일이 더 많다는 말이다. 내가 맺은 인연에 부여된 책임을 내가 지지 아니하면 멈춰버린 시계처럼 내 인생이 고장 나고 마는 것이다. 초침이 멈춰 가지 않는 시계는 고장 난 시계거나 건전지 떨어진 시계이다. 시계가 가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또 시계는 시간을 정확하게 가리켜 주어야 한다. 틀린 시각을 가리켜 주는 시계라면 그 시계를 보는 사람이 시간을 잘못 알게 되는 것이다. 시각이 틀린 시계를 믿다간 시간의 낭패를 보게 된다. 어쩌면 인생이란 시계처럼 멈추지 말아야 되고 정확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말하자면 인생은 시계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오늘도 내가 맺은 인연의 길을 시계처럼 가야한다. 째깍거리는 초침의 돌아가는 소리가 내 인생행진의 구령이다. 구령에 맞춰 도보 훈련을 하는 것처럼 쉴 새 없는 정진의 마음으로 내 길을 가는 것이다. 내가 하는 일에도 음악의 악보에 나오는 박자처럼 맞춰 가야 할 인생의 박자가 있다. 막자에 맞춰 노래를 부르듯이 내 인생의 템포를 맞춰 오늘의 일을 하고 또 내일의 일을 하는 것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6월 115호

부모님의 크신 마음

나의 고향은 비교적 가난한 곳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가정형편도 안되고 머리도 안되는 나를 대구로 유학을 보냈다. 대구중학을 다녔는데 공부가 하기 싫었다. 1학년 8반, 석차는 68/68, 꼴찌를 했다. 부끄러운 성적표를 가지고 고향에 가는 어린 마음에도 그 성적을 내밀 자신이 없었다. 당신이 교육을 받지 못한 한을 자식을 통해 풀고자 했는데, 꼴찌라니…

끼니를 제대로 잇지 못하는 소작농을 하면서도 아들을 중학교에 보낼 생각을 한 아버지를 떠올리면 그냥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성적표를 1/68로 고쳐 아버지께 보여드렸다. 아버지는 보통학교도 다니지 않았으므로 내가 1등으로 고친 성적표를 알아차리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대구로 유학한 아들이 집으로 왔으니 친지들이 몰려와 “찬석이는 공부를 잘 했더냐”고 물었다. 아버지는, “앞으로 봐야제… 이번에는 어쩌다 1등을 했는가 배…” 했다. “명순(아버지)이는 자식 하나는 잘 뒀어. 1등을 했으면 책거리를 해야제” 했다.

당시 우리집은 동네에서 가장 가난한 살림이었다. 이튿날 강에서 멱을 감고 돌아오니, 아버지는 한 마리뿐인 돼지를 잡아 동네 사람들을 모아 놓고 잔치를 하고 있었다. 그 돼지는 우리집 재산목록 1호였다.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진 것이다.

“아부지…” 하고 불렀지만 다음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달려 나갔다. 그 뒤로 나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겁이 난 나는 강으로 가 죽어버리고 싶은 마음에 물속에서 숨을 안 쉬고 버티기도 했고, 주먹으로 내 머리를 내리치기도 했다. 충격적인 그 사건 이후 나는 달라졌다. 항상 그 일이 머리에 맴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17년 후 나는 대학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나의 아들이 중학교에 입학했을 때, 그러니까 내 나이 45세가 되던 어느 날, 부모님 앞에 33년 전의 일을 사과하기 위해 “어무이.., 저 중학교 1학년 때 1등은요…” 하고 말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옆에서 담배를 피우시던 아버지께서 “알고 있었다. 그만 해라. 민우(손자)가 듣는다.” 고 하셨다.

자식의 위조한 성적을 알고도, 재산목록 1호인 돼지를 잡아 잔치를 하신 부모님 마음을, 박사이고 교수이고 대학 총장인 나는, 아직도 감히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