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누구에게나 자기 방식의 길이 있다. 불교적으로 말하면 인연의 길이라 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어떤 스님이 출가를 하여 어느 절에 살고 있는데 한 번은 이런 질문을 받았다.
“스님은 왜 스님이 되었습니까?”
이 물음에 스님은 이렇게 대답을 해 주었다 한다.
“우리 집 대문 밖에 큰 나무가 하나 있었는데 묘하게도 가지가 사방으로 네 개가 뻗어 각기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어요. 어려서부터 나는 이 네 가지 중 한 가지가 마음에 들어 그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어디론가 가고 싶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그리하여 어느 날 무작정 집을 나와 내가 좋아하는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갔지요. 그랬더니 절이 있어 그냥 절에 들어와 살게 되었습니다.”
참으로 은은하고 재미나는 이야기이다. 좋아하는 나무 가지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절에 와 스님이 되었다? 인연의 길이란 이렇게 묘한 뉘앙스로 쉽게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람은 모두 자기 인연의 길을 가고 있는 존재다. 설사 아무 주관 없이 남 따라 장에 가는 식으로 살고 있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 역시 인연의 길로 보아야 한다. 이 인연의 길이 인생의 도정(道程)이다.
“잠 못 이루는 사람에게 밤이 더욱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갈 길이 더욱 멀다.”는 『법구경』에 있는 말처럼 인생의 도정은 사람에 따라 먼 길이 있고 가까운 길이 있다. 이것은 굳이 거리의 ‘리(里)’ 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거리가 길고 짧은 것이 아니라 삶의 무게에 의해서 길어지고 짧아지는 인생 도정이 다르다는 말이다. 인생이 비록 인연의 길이지만 그 결과는 항상 과보로 나타난다. 인연과 과보는 서로 반대되는 말로 인과의 법칙에 의해 인연이 있으면 과보가 오게 되는 것이다.
태어나고 죽는 생사 역시 인과의 이치로 이루어지지만 윤회의 과정에서 보면 인과는 항상 동시적인 의미를 가진다. 과거의 원인이 현재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원인이 된다는 뜻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해서 인과는 항상 겹으로 붙어 있는 것이다. 이 이중의 겹으로 볼 때 인생은 끝나지 않는 길을 가는 영원한 나그네이다. 바꾸어 말하면 인생은 끝나지 않는 연속극이다. 결코 단막극으로 끝날 수가 없는 것이다.
세세생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의 삶을 가지고 끝나지 않는 길을 가야 하는 유랑의 신세를 면할 수가 없는 것이 중생이다. 그래서 사람은 누구나 먼 길을 가고 있다. 인연이 만들어 주는 과보를 무거운 짐처럼 짊어지고 가고 있는 것이다. 내가 맺은 인연에 좋은 과보가 오도록 응분의 노력을 다하고 인연의 책임을 지고 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한자의 사자성어에 임중도원(任重道遠)이라는 말이 있다. ‘책임이 무거우면 길이 멀다.’는 이 말은 무거운 책임을 진 사람일수록 할 일이 더 많다는 말이다. 내가 맺은 인연에 부여된 책임을 내가 지지 아니하면 멈춰버린 시계처럼 내 인생이 고장 나고 마는 것이다. 초침이 멈춰 가지 않는 시계는 고장 난 시계거나 건전지 떨어진 시계이다. 시계가 가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또 시계는 시간을 정확하게 가리켜 주어야 한다. 틀린 시각을 가리켜 주는 시계라면 그 시계를 보는 사람이 시간을 잘못 알게 되는 것이다. 시각이 틀린 시계를 믿다간 시간의 낭패를 보게 된다. 어쩌면 인생이란 시계처럼 멈추지 말아야 되고 정확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말하자면 인생은 시계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오늘도 내가 맺은 인연의 길을 시계처럼 가야한다. 째깍거리는 초침의 돌아가는 소리가 내 인생행진의 구령이다. 구령에 맞춰 도보 훈련을 하는 것처럼 쉴 새 없는 정진의 마음으로 내 길을 가는 것이다. 내가 하는 일에도 음악의 악보에 나오는 박자처럼 맞춰 가야 할 인생의 박자가 있다. 막자에 맞춰 노래를 부르듯이 내 인생의 템포를 맞춰 오늘의 일을 하고 또 내일의 일을 하는 것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6월 11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