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와 편견

유난히도 긴 장마에다 국지성 폭우와 폭염으로 올 여름은 세인들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이 여름의 시작을 북위 60도 위 아래로 오르내리면서 러시아와 북유럽에서 10여일을 보냈다. 예비지식을 갖기 위해 미리 70여 쪽의 자료까지 만들어서 일행들에게 나누어주고, 읽어보기도 했건만 이제껏 머리에 남아있는 거라곤 내 알량한 지식에 대한 부끄러움과 마지막 자존심이었던 나름의 이성적 판단에 회의(懷疑)를 느낄 뿐이다.

처음으로 나를 당황하게 한 사건은 바이킹(Viking)족이었다. ‘바이킹’의 의미는 ‘해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란 뜻이라고 하였다. 지금껏 내 상식으로는 ‘스스로 노력하여 생업을 유지하지 않고 이따금씩 바다에 나가서 지나가는 배를 납치하여 재물을 빼앗는 해적’ 정도로 알고 있었기에, 덴마크의 달가스나 그룬트비를 더 존경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말하는 ‘바이킹’은 ‘척박한 땅, 부족한 농지에다 기후마저 고르지 못한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삶의 무대를 밖으로 향하고 보다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취한 점을 높이 평가’하는가 하면, 이들이 ‘획득한 재물을 종족의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공평하게 분배’하여 ‘종족의 화합을 꾀하고’, 아주 ‘근면하였다’고 한다. 어쩌면 우리와는 정반대의 시각이었다.

흔히 우리는 스칸디나비아 3국을 비롯한 북유럽의 나라들이 ‘사회보장제도’가 잘 발달되어 있어 국민들이 일하기를 꺼린다든지, 무료하여 자살률이 높다든지 하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그러나 우리 눈에 비친 모습에서나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확인된 것은 우리의 선입관이나 알고 있는 바와는 거리가 멀었다. 건강한 국민이라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놀고먹는 사람은 없다고 했다. 젊은 부부는 거의가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다.

그렇지만 우리 사회처럼 건강보험, 생명보험, 교육보험, 고용보험, 연금보험 따위의 보험제도는 없었다. 열심히 일하고 세금 잘 내고 하면 다른 고민은 하지 않아도 되니까 말이다. 물론 병원에 가도 돈을 주고받고 계산하는 수납창구는 없단다. 그러면서도 재미가 있었다. 자기의 생일에는 집에 국기(國旗)를 게양하는가 하면, 이웃사람이 죽었다고 마을의 친한 집에서는 조기弔旗를 다는 곳도 있었다. 국기는 나라에 경사스런 날이나 기념일에만 다는 우리로서는 고개가 갸웃거려졌다.

북유럽의 여름은 ‘백야(白夜)’를 빼면 이야기할 게 없다. 북위 62도 정도의 지역에서 ‘하지(夏至)’를 맞았다. 이곳에서는 ‘성탄절’ 축제 다음으로 ‘하지 축제’가 대단하다. ‘하지’가 들어있는 주말에 3일간 열린다고 했다. 북극에 가까워지면 낮의 길이가 대략 22시간 쯤 된다고 하니 밤이 없다는 말이 옳겠다. 그 반대가 ‘흑야(黑夜)’라 하여 겨울 3달은 낮이 거의 없으니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고 했다.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고지에서 하지를 보내고 스톡홀름을 거쳐 헬싱키로 가는 여정은 5성급의 호화여객선 ‘SILJA LINE(실자 또는 실야 라인)’을 이용했다. 발트해Baltic sea의 은빛바다를 백야현상과 함께 하룻밤을 보낼 생각으로 설레는 마음으로 배에 올랐다.

길이 200m, 높이 13층, 2,800명을 수용한다고 하니 그 위용에 우선 놀랐다. 실자라인 그 자체보다 이번 여행을 준비하면서부터 우리 내외는 백야와 함께 꼭 ‘일출(日出)’과 ‘일몰(日沒)’을 보고오리라 계획한 바 있기에 ‘실자라인’ 선상(船上)이 가장 적지라고 생각했다. 계획대로 밤10시 쯤 14층격인 상갑판에 올라가 ‘일몰’을 기다렸다가 10시 반 쯤 일몰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고는 여러 곳을 두루 구경하고 새벽 1시경 잠자리에 들면서 2시쯤은 일어나야 일출을 볼 수 있다고 알람에게 부탁했더니 2시 정각에 깨워주었다.

서둘러 상갑판에 올라가서 어젯밤 일몰과 반대방향으로 달려갔다. 그런데 웬걸. 해뜨기 전의 여명도 아침노을도 보이질 않았다. 다시 또 반대 방향으로 달렸다. 배의 길이가 2백 미터니 얼마나 뛰었을까. 한 바퀴를 돌아 어젯밤 해가 진 곳으로 오니 그곳에서 붉은 여명의 분위기가 보였다. ‘해는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는 내 머리의 한계를 보았다. 분명히 배는 헬싱키가 있는 동쪽으로 향해 가고 있었다.

그렇다면 어제 해가 진 곳은 어디란 말인가? 분명히 북쪽이었다. 그럼 이 아침에 해가 뜬 곳은 또 어디란 말인가? 역시 북쪽이었다. 해는 동에서 떠서 서로 지는 게 아니라 북쪽에서 떠서 북쪽으로 졌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북극 가까이 와 있다는 것을 비로소 실감했다. 그믐이 가까운 하현은 뱃머리 위에서 나를 향해 씩 웃고 있었다. 인생이란 살아갈수록 무지와 편견을 더욱 실감하게 되는가 보다.

김형춘 창원문성대학 교수, 문학박사, 월간 반야 2011년 8월 129호

세상을 보는 원근법(遠近法)

어떤 때는 보지 말아야 될 것을 보았다는 생각과 듣지 말아야 될 것을 들었다는 생각이 일어날 때가 있다. 보고 들은 어떤 일들이 마음을 언짢게 하고 안타깝게 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사람 사는 생활경계가 참 묘하다. 보고 들은 것이 후회가 되기도 하니 말이다. 그래서 중국 요나라 때의 허유(許由)는 들어서는 안 될 말을 들었다고 강물에 귀를 씻었다는 고사까지 나왔을까?

매일 접하는 뉴스만 하더라도 그렇다. 부패와 비리에 연루된 각종 소식들을 TV 등 언론 매체를 통해 접했을 때도 안보고 안 들었으면 좋았을 걸 괜히 듣고 보았다는 자책심이 일어날 정도이니 말이다. 하기야 정보사회에 있어서 홍수처럼 터져 나오는 각종 보도들을 일일이 대응하면서 굳이 좋지 않은 뉴스에 속상해 할 필요 없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못 보고 못 들은 체 하고 지내면 그만이지 않느냐 생각할 수 있겠지만, 보고 듣는 것이 여과가 잘 안 될 때가 많다. 어떤 사람으로부터 TV를 보다가 하도 식상한 소식이 계속 나와 TV를 꺼버린다는 말을 들은 적도 있다.

보고 듣는 경계에 대해서도 이것들을 여과시키는 여유가 있어야 할 판이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의 소식들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개인이 갖는 관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것 같다. 또 시선의 방향에 따라 관심도의 차이도 있을 것이다. 복잡하게 일어나는 사회적 문제도 내 시선이 부딪치지 않으면 무관심 속으로 사라지기도 한다. 달리 말해 시선을 줌으로써 시야에 들어온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시선이란 눈동자가 대상의 사물과 항상 직선을 이루는 것이므로 시선이 닿는 것은 자의적인 선택이 되며 이것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것이 생각의 문제가 된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이 있다. 눈이 보는 시력이 미치는 공간적 거리의 시야처럼 마음이 보는 정신 공간의 시야가 마음속에 들어있는 법이다. 그래서 이 관점을 가지고 세상을 보는데 만화경속에 나타나는 모습처럼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또 다른 관점이 생기어 서로 다른 관점 때문에 때로는 의견 대립이나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내 자신의 마음속에 갈등이나 허탈이 일어나는 것도 관점의 차이로 인한 소통 부재에서 오는 경우일 수 있다.

사진을 찍을 때 줌(zoom)을 이용하여 물체의 크기를 적당하게 맞추는 것처럼 관점에 있어서도 멀리 보고 가까이 보는 원근법이 있는 것 같다. 멀리 보아야 할 것과 가까이 보아야 할 것에 대한 거리 조정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멀리서 보면 괜찮을 일이 너무 접근해 보기 때문에 마음이 상하여 불평과 불만이 커지는 수가 있으며, 가까이서 보면 분명히 알 수 있는 일이 멀리서 보았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을 모르고 어떤 오해를 본의 아니게 하는 수도 있는 것 같다.

사람의 마음에는 감정의 샘이 있다. 희‧노‧애‧락이 흘러나오는 감정이 객관 경계를 대하는 원근법의 적용으로 조절될 수 있다면 화나고 속상하는 일도 달래지게 되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멀리보고 가까이 보는 것은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양면에서 다 같이 적용된다. 시간적으로 길게 보는 것과 공간적으로 좀 더 떨어진 먼 거리에서 객관경계를 대하는 것이 순간의 감정을 이기고 마음의 평화를 이루는 데는 매우 유익하다. 멀리서 보면 감정을 자극하는 일은 줄어들게 된다. 아무리 뾰족한 모가 나 있는 것도 멀리서 보면 둥글게 보인다.

또 마음은 공간적으로 가까이 있는 것을 얼마든지 멀리 할 수가 있으며, 멀리 있는 것을 얼마든지 가까이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마음속에 일어나는 감정의 바람을 쉬게 하여 흔들리지 않는 고요한 마음이 되도록 멀리하고 가까이 하는 마음의 기술을 배워야 하겠다.

프랑스의 르낭은 “별의 세계에서 지상의 사물을 관찰하라.”는 말을 남겼다. 때로는 별이나 달에 가서 인간세상의 현실 문제를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이는 문제를 떠나자는 도피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게 나타난 어떤 문제를 여과된 감정으로 다시 생각해 보자는 뜻이다. 똑같은 문제를 거듭 생각해 봄으로써 간혹 생각의 전환을 가져올 수도 있다.

어떤 문제의식 속에 들어 있는 뜻이 첫 번째 생각에서는 잘 느껴지지 않다가 두 번 세 번 거듭 생각함으로써 비로소 느껴질 때가 있는 것이다. 깊이 생각하고 얕게 생각하는 것도 생각의 원근법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1년 11월 132호

무얼 먹고 살지

잊을 만 하면 터지는 중국산 유해 음식 파동은 언제쯤 끝이 날까. 냉동 꽃게에서 납덩이가 나오더니 찐쌀에서 표백제 주성분인 이산화황이 나오질 않나, 장어에서 발암물질인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되더니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나왔고, 중국 농심공장에서 들여온 노래방 새우깡에서 생쥐머리가 나오더니 이번에는 급기야 유제품이 들어있는 수입과자 등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어 온 세계가 벌집을 쑤셔놓은 듯하다.

이처럼 중국 발 멜라민 공포가 온 세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일반 식품 전반에 걸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식품첨가물 때문이다. 식품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멜라민이 들어있는 식품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이 경계심을 늦추지 않지만 일반 식품에는 별로 의심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식품 첨가물의 위해성에 대해서는 둔감하다. 적어도 합법적으로 사용이 허가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을 해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비록 건강을 해한다고 할지라도 짧은 기간에 그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이들의 위해성을 증명할 방법도 어렵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이 허가된 식품 첨가물에는 살균제나 일정기간 보존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조미료, 감미료, 향료 등 6백여 종에 달한다고 한다. 그 중 대표적인 식품 첨가물이 당류(糖類)와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즉 방부제가 있다. 이와 함께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향료와 색소도 유해성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딸기와 바나나 사과 등의 주스 종류에도 맛과 향을 내는데는 화학물질을 쓰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색소도 최근에는 천연색소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널리 사용되는 식용색소는 거의100%가 화학물질이란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맛과 향은 화학물질로 만들어 낼 수 있다니 참 신기하기까지 하다. 앞으로 얼마나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 유해한 화학물질로 만들어지는 당류나 보존제, 향료, 색소 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지금처럼 식품첨가물을 사용한다면 당장 우리의 혀는 속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우리의 건강은 속일 수 없을 것이다.

정말 무얼 먹고 살아야 할지 불안하다. 당을 과잉 섭취하면 영양불균형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 암, 당뇨병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는가 하면 비만과 각종 암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방부제 등에 사용되는 ‘안식항산나트륨’은 DNA를 손상시켜 간경변이나 파킨슨병을 유발한다고도 한다. 우리네 일반 소비자들은 물질의 성분은 물론 그로부터 야기되는 병명도 모른다. 국민소득 2만 불 시대에 살면서도 우리는 아직도 불량식품이나 부정식품, 위해식품을 모르고 산다. 단지 식품은 100% 안전하고 완전한 것이 없을 것이니까 적당히 따지고 그러려니 생각하고 먹는다.

바라건대 현재의 과학적 기술을 통해 최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식품제조업자나 연구자, 식품위생법을 집행하고 있는 관계기관은 가공식품을 개발ㆍ생산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소비자의 무지를 악용하는 악덕업자, 적어도 국민의 먹거리를 가지고 장난치는(?) 자는 법 가운데서도 가장 엄한 법의 심판을 받게 해야 한다. 말만 화려한 식품안전 대책이 아닌 겉으로 드러난 전시행정이 아닌 진심으로 국민의 건강을 걱정하는 조치가 나와야 한다.

일찍이 세존께서는 ‘파바’ 마을에서 대장장이 ‘춘다’의 공양을 받아 ‘스카라 맛다바’란 요리를 드신 것이 발병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열반하셨지만 입멸 직전 아난다를 통하여 ‘춘다’를 위로하게 하셨지 않은가. 춘다의 마지막 공양으로 ‘남김 없는 완전한 열반의 세계에 드셨다’는 것이 세존께서 부여하신 의미이니 그 정성과 의도를 높이 평가한 것이리라.

香岩 김 형 춘 (반야거사회 회장․창원전문대교수) 글. 월간반야 2008년 11월. 제9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