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지화상은 마조도일 문하의 대매법상(大梅法常, 752~839)의 법과 항주의 천룡(天龍)선사의 법을 이어받은 사람으로, 무주 금화산의 작은 암자에 살면서 매일 구지불모준제다라니를 독송하고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구지화상이 머물고 있는 작은 암자에 어느 날 실제(實際)라는 비구니 스님이 찾아왔습니다.
그 비구니 스님은 방안으로 들어오더니 머리에 삿갓도 벗지 않은 채 구지화상의 주변을 세 번 빙빙 돌더니 이윽고 말을 했습니다. “ 한마디 일러 주시면 갓을 벗지요.”
이렇게 세 번이나 반복하는데도 구지화상은 한마디도 대꾸를 못했습니다. 선사가 대답을 하지 못했으므로 비구니 스님이 그냥 떠나려고 하자 구지 선사는 “날이 이미 저물었으니 묵었다 가시지요” 하고 만류를 하니 비구니 스님이 말했습니다.
“제 질문에 대답을 하시면 묵어가겠습니다.”
결국 말문이 막혀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하자 스님은 그길로 바로 떠나 버리고 말았습니다. 구지화상은 멀어져가는 비구니의 뒷모습을 바라보면서 스스로 탄식하기를 “나는 비록 대장부의 모습을 갖추었으나 대장부의 기개가 없도다” 하고는 암자를 버리고 제방으로 다니면서 선지식을 두루 친견할 것을 결심했는데, 그날 밤 꿈에 어떤 신인(神人)이 나타나 이르되 “스님은 여기를 떠나지 마십시오. 머지않아 큰 보살이 오셔서 화상께 설법해주실 것입니다”고 하더니, 과연 열흘이 지나지 않아 천룡선사가 찾아왔습니다. 구지화상은 정성을 다해 스님을 모시고 앞에 일어났던 일을 자세히 사뢰니, 천룡선사는 말없이 손가락 하나를 우뚝 세워 보였습니다. 구지화상은 그 손가락을 보는 순간 크게 깨달아 버렸습니다.
이로부터 구지화상은 누가 찾아와 무슨 질문을 해도 손가락 하나를 세울 뿐이니, 마침내 그의 일지두선(一指頭禪)은 온 선객들 사이에 유명하게 되었습니다.
뒷날 구지화상을 시봉하는 동자가 한 명 있었는데, 구지화상이 외출하였을 때에 어떤 사람이 찾아와서 “구지화상께서는 어떤 법문을 설하는가?”라고 묻자, 동자는 자기의 스님이 하듯 손가락 하나를 세워 보였습니다. 그리고는 상대가 놀라워하는 것을 보고 재미있어서, 스님이 돌아오자 그 이야기 했습니다. 그러자 구지화상은 동자에게 물었습니다. “아까 너는 손가락을 어떻게 세웠느냐?”
그래서 동자가 손가락을 세우는 순간, 구지선사는 칼로 잽싸게 손가락을 잘라버렸고, 동자는 아픔을 참지 못해 울부짖으며 내달렸습니다.
이때 구지선사는 “동자야!” 하고 불렀습니다.
동자는 얼떨결에 머리를 돌려 화상을 쳐다보았더니, 구지화상은 손가락을 들어 보였습니다. 바로 그때 동자는 홀연히 크게 깨닫게 되었습니다.
구지선사가 언제나 사람들이 불법에 대하여 물어오면 단지 손가락만을 세워 자신의 선의 경지를 나타내 보였다는 것은 선의 경험경지를 개념적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나타내 보이려 했던 것입니다.
참선은 실참실오(實參實悟)하여 불법을 자기 자신의 지혜로 만들어 자기의 불법을 펼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지 부처님의 말씀이나 선사들의 언어문자를 알음알이로 흉내 내는 중생심의 입장의 차원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기에 구지화상이나 동자가 손가락 세우는 법문을 듣고 불법의 대의를 깨달았다는 것은 진실로 깨달음이 손가락에 있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은 방편으로 제시되었을 뿐, 손가락을 세운 일지두선(一指頭禪)의 참된 법문을 깨달은 것입니다. 다시 말해 깨달음이란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닌 우리의 본래면목을 바로 아는 것입니다. 구지화상의 이야기는 『벽암록』, 『무문관』, 『종용록』 등의 선적에 나오는 친숙한 이야기로서 그에 대한 생몰 연대나 속성 등은 잘 알 수가 없습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7월 제5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