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이 땅은 ‘금수강산(錦繡江山)’도 ‘삼천리 화려강산(華麗江山)’도 아니다. 농사짓기에 좋은 비옥하고 넓은 평야도 아니고, 경제성이 높은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된 땅도 아니다. 일본인들은 일찍이 우리나라를 식민지로 삼기 위해 적당한 구실을 찾다가 반도라는 지정학적인 조건을 제시하였다. 조선은 대륙과 해양의 강대국 사이에 놓여 양쪽 강국의 눈치를 보면서 가늘고 길게 역사를 유지해 오는 동안 대외적으로는 사대(事大)를 하고, 안으로는 당파성(黨派性)을 갖게 되었으니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이끌어 갈 능력이 없으므로 일본과 합병하는 것이 지극히 타당하다는 논리였다.
참으로 궤변 중의 궤변이다. 사실 우리의 여건은 이처럼 좋은 조건은 아니다. 철저하게 착취당하고 빈손으로 맞은 해방 앞에는 이념의 갈등과 외세의 놀음에 동족상잔의 처참한 비극을 겪고도 우리는 이처럼 일어섰다. 어디서 이런 힘이 나왔을까. 이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이점 나는 주저 않고 ‘이 땅의 어버이들의 교육열’이라고 생각한다.
나라가 어려워도, 집안이 어려워 끼니를 걸러도 자식 공부는 시켜야 한다는 어버이들의 갸륵한 정신이 이 땅밖에 또 어디서 찾을 것인가. 그렇게 공부시켜 놓은 인재들이 근대화의 역군이 되었고, 온 세계시장을 누비며 우리 물건을 팔았고, 유학이나 이민을 가서 세계 도처에서 한국인의 우수성을 과시하였는가 하면, 수 차례의 정치적ㆍ경제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는데 주역이 되지 않았던가. 때로는 그 열의가 지나쳐 부작용을 낳는 경우가 없지 않았지만 순기능에 비할 바가 못된다고 본다.
이러한 우리민족의 교육열은 어제오늘에 생긴 것이 아닌 것 같다. 근세 한국의 실학(實學)과 경학(經學)의 대가였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28세에 급제하여 벼슬살이를 하다가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40세 때부터 무려 18년 간 귀양살이를 하면서 5백 여권의 방대한 실학관계 저작과, 2백 여권의 경학관계 연구서를 비롯하여 시문집 등을 남겼는데, 수시로 두 아들 학연(學淵), 학유(學游)에게 편지를 써서 수신(修身), 제가(齊家), 학문(學問) 등을 지도하고 때로는 꾸짖고 독려하곤 하였다.
유배지에서 그 자신의 생활도 힘들었을 텐데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제자들을 가르치고, 저술에 힘쓰면서 두고온 가족걱정은 물론 두 아들에게 읽을 책의 선정, 책의 편찬 방법, 시 짓는 법, 효도하는 법, 남을 도우는 태도, 과수 재배법, 진실에 관한 것 등을 일일이 가르치고 과제를 주어 확인하기까지 하였으니 다산의 교육열이 과연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이 간다. 비록 아비가 죄인이 되어 유배된 폐족이라 벼슬길은 막혔어도 성인이나 문장가는 될 수 있다며 두 아들을 다그치고 직접 유배지로 불러내려 가르치기도 하였으니 초연하게 처세하면서도 아들 교육에는 대단한 집념을 보였던 것 같다.
이즈음 교육 일선에서 가장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는 자녀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지 않은 관심, 즉 교육열이다. 인간에 대한 이해, 자녀에 대한 이해, 교육에 대한 이해, 미래 사회에 대한 이해와 부모의 교육열이 조화를 이루었으면 좋겠다.
겨울에 얼어붙은 보리밭을 밟아주는 농부의 심경을 아는가. 얼어서 서릿발이 솟아 보리의 뿌리가 떠 있는 것을 밟아서 제대로 자라게 해주기 위함이다. 너무 힘주어 밟으면 보리가 상처를 입고, 너무 약하게 밟으면 그대로 뿌리가 들떠서 보리가 말라죽게 된다. 너무 세게 밟아도 너무 여리게 밟아도 안 된다. 농부가 보리를 밟는 심경으로 자녀 교육에 관심을 가지면 어떨까.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2년 4월 (제1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