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간 생활에서 가장 지내기 좋은 계절은 여름이다. 날씨가 더워도 계곡에 물이 흐르고 산의 숲이 짙은 녹음을 드러내어 싱싱하기만 한 모습만 바라봐도 더위가 잊어지기 때문이다. 봄과 가을보다 여름이 좋은 것은 한더위가 계속될 무렵에는 인적이 드물어 산속의 고요를 더 즐길 수 있어서다. 공산무인(空山無人)이라는 말처럼 인파가 밀려든 산은 제격이 아니다. 야호! 야호! 질러대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릴 때 아마 산은 제일 피곤할 것이다. 산은 원래 말없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바람소리 물소리도 때로는 크게 들리는 것을 싫어한다. 가끔 밤에 짐승들의 울음소리가 들려 고요를 깨뜨리는 때도 있으나 간헐적으로 들리는 이 소리는 산의 분위기를 해치지는 않는다.
여름으로는 낮에 매미가 운다. 이 매미소리는 숲의 왕음악이다. 얼핏 파정(破靜)의 방해군 같기도 하지만 매미들은 파한(破閑)을 알리는 여름 특유의 전령사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수년 전에 중국에 가 우리나라 스님들이 과거 신라나 고려 때에 머물었던 선종사찰을 답사한 적이 있었다. 그때 우연히 어느 사찰 근처에 있는 기념품 가게에서 붓으로 쓴 글씨를 포구한 족자가 눈에 띄어 이를 사왔다. 가게 주인은 이 글씨가 중국에서 제법 이름난 서예가의 글씨라 하면서 값을 꽤 비싸게 달라하여 주저하다가 보시하는 셈 치고 사자하여 사왔는데 지금도 은해사의 내 방에 걸려 있다. 대구(對句)로 되어 있는 오언절구인데 “용등해랑고(龍騰海浪高) 선조임유정(蟬噪林猶靜)”라고 쓰여 있다. “용이 오르니 바다 물결이 높고 매미가 우니 숲이 더욱 고요하다” 는 뜻이다. 글씨가 품격이 있고 뜻도 마음에 들어 사왔던 것이다.
이제 매미소리를 들을 때마다 뒤의 구절을 음미하는 습관이 생겼다. 떠드는 것이 조용하다는 건 상식을 무시하는 말이지만 한더위가 느껴지는 여름의 정서로는 매미소리가 시끄러운 것이 아니라 여름 숲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는 매체가 된다. 그렇다면 짙푸른 녹음 그늘 속에 긴긴 여름날의 전체 분위기는 매미소리 하나로 더욱 살아나고, 산은 깊어지며 숲은 고요해져 버리는 것이다.
흔히 정중동(靜中動)이니 동중정(動中靜)이니 하면서 고요함 속에 움직임이 있고 움직임 속에 고요함이 있다는 사물의 본체와 작용을 동시에 드러내는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상대적 차별 경계에 있는 두 가지 상황을 하나로 일치시켜 전체적인 묘(妙)를 살리는 이야기이다. 중도로 회통하는 본질적 이치는 어느 한쪽의 극단에 치우쳐서는 얻어지지 않는다.
옛날 어느 선사에게 어떤 사람이 물었다.
“날씨가 이렇게 더운데 어떻게 하면 더위를 이길 수 있습니까?”
선사의 대답은 이랬다.
“벌겋게 달아 있는 난로 속으로 들어가면 될 거야.”
추우면 따뜻한 곳을 찾고 더우면 시원한 곳을 찾는데 더워 죽겠다는 사람에게 불을 활활 지펴 벌겋게 달아 있는 난로 속으로 들어가라니 피서법 치고는 상식에 맞지 않는 말이다. 그러나 격외담(格外談)으로 통하는 선의 경지에서는 오히려 이것이 상식이 된다. 물론 30 도의 더위도 못이기는 사람이 어떻게 40도의 더위를 감당하겠는가 하고 이론을 달겠지만 더 큰 더위를 감당할 수 있는 힘이 있다면 작은 더위쯤은 수월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마음을 크게 먹는다는 말이 있다. 불행한 일을 당한 사람에게 위로를 할 때도 ‘마음 크게 먹어라’ 고 말한다. 사실 마음을 크게 먹고 살면 괴로움과 슬픔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이다. 또 우리의 본래 마음은 모든 것을 이기는 마음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본래 마음에는 아무런 감정이 없었다. 다시 말해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번뇌나 망상의 마음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우리의 본래 마음은 무심했었고 아무렇지도 않았다. 이 마음으로 돌아가 살려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고 선수행의 가르침이다. 하기야 정의(情誼)에 사는 사람의 마음이 어떻게 아무렇지 않는 무심이 될 수 있으랴. 하지만 마음의 병을 이기게 하는 것은 분명 무심의 약 뿐인 줄도 알아야 한다.
시집간 딸이 아직 나이가 20대인데 갑자기 죽었다. 죽은 딸의 어머니가 절에 재를 붙여 놓고 매일 눈물을 흘리며 울고 있다. 어떤 때는 북받치는 설움을 견디지 못해 통곡을 한다. 49재 날이 다가와서 이제 딸을 잊어라 했더니 “내가 어떻게 내 딸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또 울었다. 그러나 잊어도 잊지 않는 것이고 잊지 않아도 잊는 것이 있다. 이 속에서 딸을 잊어야 한다. 이 묘법을 쓰고 살줄 알아야 한다. 섣달 부채가 필요하다는 말이 있듯이 때로는 여름 추위가 있고 겨울 더위도 있는 수가 있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7월 제9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