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소나무의 철학

내가 사는 반야암 주위에는 아름드리 소나무가 많이 있다. 영축산 정상을 향하여 산등성이를 올라가면서 층층이 서 있는데, 처음 이 암자를 지었을 때 무엇보다도 이들 굵은 소나무들이 주위의 경치를 살려 주는데 매우 만족해했다. 암자 이름을 짓는데도 소나무를 넣어 송진암(松眞庵)이라 부를까 하다가 반야암(般若庵)으로 했다. 옛날 중국 당나라 때 반사정(潘師正)이 소요곡(逍遙谷)에 은거하고 살 때 그의 고준한 인품을 들은 고종이 부른 적이 있었다. 나라의 중요한 소임을 맡겨 중용할 생각으로 왕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때 반사정은 “울창한 소나무와 맑은 샘이 있으면 족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가끔 이 고사를 생각하면서 소나무를 벗하여 사는 내가 무척 행복하다고 스스로 자위한 적이 많았다.

금년 겨울을 지내면서 나는 소나무한테서 새롭게 배운 것이 있다. 소나무가 참으로 훌륭한 나무라는 것을 새삼 느꼈다. 우리는 보통 소나무가 목재의 가치로써 훌륭하거나 정원용 관상수로써 훌륭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알고 있다. 어떤 거사님은 반야암 마당가에 서 있는 우람한 소나무를 보고 “스님. 이 소나무가 부잣집 정원에 서 있는 나무라면 값이 수억 원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한 적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나무의 유용한 상업적 가치를 가지고 소나무를 논한다는 것은 너무 세속적인 이야기 밖에 되지 않는다. 어쩌면 소나무에게 큰 실례가 될 것이다.

내가 소나무에 대해 새로운 것을 발견한 것은 추위가 맹위를 떨치는 한밤중이 넘어선 시간이었다. 나는 가끔 한밤중에 깨어 있으면서 사색을 즐기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하루의 시간은 축시(丑時)의 시간이다. 물론 이 시간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깊은 수면에 빠져 있을 시간이다. 하지만 나는 이 시간에 깨어 책을 보거나 명상 혹은 좌선을 할 때가 자주 있다. 예로부터 하늘과 땅과 사람이 깨어나는 시간이 각각 따로 있다고 하였다. 하늘이 자시(子時)에 깨고, 땅이 축시(丑時)에 깨어나며 사람은 인시(寅時)에 깬다고 하였다. 천(天)·지(地)·인(人)의 삼재(三才)차례로 깨어 세상이 운행된다는 것이다. 당나라 때 고승 규봉(圭峰)스님의 좌우명에도 “인시에 일어나 할 일을 챙긴다(寅時可辦事)”고 하였다.

산에는 밤중에도 산바람이 일어난다. 특히 겨울은 칼날 같은 바람이 산골짜기를 타고 내려올 때가 많다. 우우우 불어오는 바람소리만 들어도 저절로 한기가 느껴진다. 이때 소나무에도 송뢰가 인다. 하지만 소나무 가지를 스치는 이 겨울의 찬바람이 소나무에겐 가장 반가운 소식이 된다.

사실 이 때를 당하여 소나무는 자기의 기상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말하자면 소나무의 몸 단련 운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처음에 나는 소나무가 혹한에 시달리며 우는 줄 알았다. 우우우 가지가 흔들리며 차가운 밤하늘을 향해 함성을 지르는 줄 알았다. 그러나 여러 밤을 지켜본 나는 소나무는 결코 추위에 울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다. 사람의 마음이 추워져서 소나무가 춥다고 생각할 뿐 소나무에겐 추위가 없는 것이다. 또 소나무는 잠이 없이 언제나 깨어 있는 나무라는 사실도 나는 알았다. 삼라만상이 고요해진 정묵(靜默)을 두고 우리는 때로 산이 잠들고 땅이 잠든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산은 잠들 때가 없으며 적어도 소나무는 겨울밤을 자지 않는다. 나무의 생태로 말하면 겨울을 나면서 나이테가 생기니 나무도 동면기가 있다고 식물학적으로는 말하겠지만, 소나무와 같이 살아본 나의 경험으로는 비록 소나무가 선잠을 자는지도 모르지만, 겨울의 밤을 소나무는 자지 않고 새는 산의 불침번이라는 사실을 충분히 알게 되었다. 소유를 떠나 산지기가 산의 주인이라면 소나무는 확실한 산의 주인이다. 소나무가 산림의 왕격이라서 주인이 아니라, 소나무처럼 확실하게 산을 지켜주는 그 무엇도 없다. 소나무를 군자의 절개를 상징하는 나무라고 말해왔듯이, 소나무가 있어서 산이 살아나고 소나무의 정신이 산의 미학을 꾸미는 것이다.

수도자들의 정신을 서리를 견디는 소나무에 비유해서 상송결조(霜松潔操)라 하였다. 서리를 견디는 소나무의 청결한 지조, 이것이야말로 가장 아름다운 정신이다. 이 소나무의 정신을 본받아 소나무처럼 살아가는 철학을 배워야 하겠다. 세상을 지조 있게 살고 고난에 물러나는 약한 의지가 아닌 추위를 모르고 사는 소나무처럼, 강한 정신으로 살아가는 자기 신념을 확실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한 가지 소나무에게도 슬픔이 있다. 지난 20년 동안 우리나라에 소나무가 무려 33%나 줄어들었다고 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곧 아열대성의 기후변화 탓에 침엽수인 소나무가 서서히 줄어들어 소멸될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소나무야! 어떻든 살아남아 이 강산을 끝까지 지켜다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2월 제39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