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마산 포교당 정법사에 있을 때 교도소에 가서 재소자들을 모아 놓고 그들을 위한 법문을 한 적이 있었다. 약 200여명의 재소자들이 강당에 모여 있었는데 불우한 재소자들에게 무슨 말을 해 주어야 될지 설법을 하기가 상당히 부담스러웠다. 말을 시작한다는 게 대뜸 여러분들이 왜 여기에 오게 되었냐고 질문을 던졌다. 이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연의 실마리를 묻고자 하는 질문이 아니고 이들에게 좀 더 강한 자기반성을 유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꺼낸 말이었다. 그들의 대답을 듣고자 한 말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답을 대신할 수 있는 한마디를 던지고자 하여서였다.
나는 이들에게 “여러분들은 순간의 한 생각을 이기지 못하였기 때문에 여기 와서 교도소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가령 폭력을 휘둘렀다가 남에게 상해를 입혀 폭행죄로 온 사람이 있다면 조금만 참고 화를 삭였더라면 좋았을 것이고 절도죄나 강도짓을 하다가 온 사람의 경우는 그도 분명히 탐욕의 충동을 자제하고, 순간의 한 생각을 비웠더라면 죄를 범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중에 재소자 중의 한 사람은 이 말을 듣고 너무 가슴에 와 닿는 감동을 받았다면서 교도소 소장실로 찾아와 일부러 인사를 하는 사람도 있었다.
사람의 행위는 순간의 그릇된 생각 하나 때문에 일어나 평생을 후회하는 일이 되고 마는 경우가 참으로 많다. 때문에 순간의 감정을 극복하는 자제력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없으면 자신을 돌이킬 수 없는 후회의 늪으로 빠져 들어가게 하거나 어처구니없는 비극을 초래하는 수도 있다.
얼마 전 한 연예인의 죽음이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던 미모의 여성 연예인이 충동적인 자살을 감행하여 그 여파가 나라 안에 파급되어 자살문제가 언론마다 거론되었다. 방송보도에 의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자살자의 수효가 한 해에 1만3천명에 육박한다고 한다. 하루 평균 35명이 자살을 한다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자살자의 대부분이 순간적 충동에 의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자기고민이 가슴을 답답하게 하고 풀리지 않는 현실의 문제가 죽고 싶은 심정을 안겨 줄 때가 누구에게나 있다. 그러나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고민이 영원히 나를 절망시키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한 때의 고통일 뿐 참고 견디고 나면 그렇게 나를 괴롭히던 것도 사라져 없어진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마음 자체가 본래는 비어 있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공적지심(空寂之心)이라는 말이 있다. 아무 것도 담겨 있지 않은 빈 그릇처럼 마음의 본체는 생각이 일어나기 이전으로 돌아가면 비어 고요할 뿐이라는 것이다. 괴로움을 느끼고 절망을 느껴 죽고 싶은 이 마음이 본래 내 마음이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 비워 고요한 본래 마음을 지키면서 객진번뇌를 이겨, 손님처럼 찾아와 내 마음 속에 들어와 있는 슬픔이나 괴로움을 스스로 달래가면서 살아야 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중생의 번뇌를 객진번뇌(客塵煩惱)라 한다. 본래 없었던 번뇌가 내 집에 찾아온 손님처럼 내 마음에 들어와 있다는 것이다. 불자들이 가장 많이 외우고 있는 반야심경에는 오온(五蘊)이 모두 공하다고 하였다. 오온이란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이다. 육체 자체는 물질적 요소인 색(色)이고 정신작용에 감수, 표상 생각의 움직임, 그리고 주관이 객관을 대하여 최종 인식하는 네 가지를 수(受)․상(想)․행(行)․식(識)이라 한다. 이는 마음의 심리적 환경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오온이 공하다는 것은 내 자신의 실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른바 무아(無我) 혹은 아공(我空)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내가 갖고 있는 고민을 이 무아나 아공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이렇게 하면 확실히 내 고민의 무게가 줄어들 것이다.
문둥병에 걸린 불우한 청년이 있었다. 부모 형제도 없는 천애의 고아였다. 자신의 처지가 한탄스러워 비관하다가 자살을 결심해 산으로 들어갔다. 절벽에서 뛰어내리든지 나무에 목을 매어 죽기로 마음먹었다. 산속으로 들어갔더니 바위 밑에 굴이 하나 있었다. 들여다보았더니 사람이 한 사람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었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뭐하는 사람인지 궁금한 생각을 하였다. 그랬더니 굴속의 사람이 밖으로 나왔다. 혼자 굴속에서 좌선을 하던 스님이었다. 그는 문둥병 청년을 보고 “여기 어떻게 왔느냐”고 물었다. 청년은 자신의 처지를 말하고 사실은 마음이 괴로워 살 수가 없어 죽으려고 왔다고 하였다. 스님은 내가 그대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줄 테니 마음을 내게 보여 달라 하였다. 청년은 마음을 어떻게 보이느냐고 되물었다. 마음은 호주머니에 들어 있는 물건 같은 것이 아니므로 마음을 꺼내 줄 수가 없다고 하였다. 스님은 마음을 꺼내 줄 수가 없다면 괴로움도 꺼내 줄 수가 없는 것이라 고 하였다. 문둥병 청년은 괴로워 죽고 싶어 산으로 갔다가 괴로움도 찾을 수 없는 것이라는 말을 듣고 크게 느낀 바 있어 스님을 의지해 출가를 하였다.
중국 선종사에 나오는 일화의 한 토막이다. 지금 우리는 순간의 한 생각을 이기고 사는 지혜가 필요한 시대를 살고 있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11월. 제9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