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고 이름 붙인 산

이도명산의욕관 爾名山意欲觀 도라고 이름 붙인 산을 보고 싶어서

 

 

장려종일고제반 杖藜終日苦 攀 지팡이 짚고 온종일 고생고생 올라갔었지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배불정책을 쓴 조선시대는 불교의 암흑기였다 .

 

억불숭유(抑佛崇儒)가 국시가 되어 불교의 박해와 멸시는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많은 스님들이 수모를 겪어야 했다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배불정책을 쓴 조선시대는 불교의 암흑기였다 .

 

억불숭유(抑佛崇儒)가 국시가 되어 불교의 박해와 멸시는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많은 스님들이 수모를 겪어야 했다 .

 

 .

 

그러나 이 수난기에도 불교는 그 명맥을 잘 이어 왔다 .

 

온갖 억압 속에서도 강인한 생명력이 남아 있었던 것이다 .

 

이는 여러 고승들의 수행과 선근 깊은 사람들에 의해 도태의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배불정책을 쓴 조선시대는 불교의 암흑기였다 .

 

억불숭유(抑佛崇儒)가 국시가 되어 불교의 박해와 멸시는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많은 스님들이 수모를 겪어야 했다 .

 

 .

 

그러나 이 수난기에도 불교는 그 명맥을 잘 이어 왔다 .

 

온갖 억압 속에서도 강인한 생명력이 남아 있었던 것이다 .

 

이는 여러 고승들의 수행과 선근 깊은 사람들에 의해 도태의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

 

허응당(虛應堂) 보우(普雨1515-1565) 선사는 조선조 불교를 위해 순교한 고승이었다 .

 

명종 때 문정대비(文正大妃)의 신임을 받아 봉은사의 주지에 임명된 후 승과제도의 부활 등 불교중흥에 안간힘을 쓰다가 끝내 문정대비가 죽자 유생들의 시기와 모함을 받아 제주도에 귀양을 갔다가 타살을 당하고 만다 .

 

율곡(栗谷) 이이(李珥)까지 논요승보우소(論妖僧普雨疏)라는 상소를 올려 보우의 논죄를 주장했고, 마침내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 목사 변협(邊協)에 의해 죽음을 당하였다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배불정책을 쓴 조선시대는 불교의 암흑기였다 .

 

억불숭유(抑佛崇儒)가 국시가 되어 불교의 박해와 멸시는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많은 스님들이 수모를 겪어야 했다 .

 

 .

 

그러나 이 수난기에도 불교는 그 명맥을 잘 이어 왔다 .

 

온갖 억압 속에서도 강인한 생명력이 남아 있었던 것이다 .

 

이는 여러 고승들의 수행과 선근 깊은 사람들에 의해 도태의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

 

허응당(虛應堂) 보우(普雨1515-1565) 선사는 조선조 불교를 위해 순교한 고승이었다 .

 

명종 때 문정대비(文正大妃)의 신임을 받아 봉은사의 주지에 임명된 후 승과제도의 부활 등 불교중흥에 안간힘을 쓰다가 끝내 문정대비가 죽자 유생들의 시기와 모함을 받아 제주도에 귀양을 갔다가 타살을 당하고 만다 .

 

율곡(栗谷) 이이(李珥)까지 논요승보우소(論妖僧普雨疏)라는 상소를 올려 보우의 논죄를 주장했고, 마침내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 목사 변협(邊協)에 의해 죽음을 당하였다 .

 

 .

 

이 시는 보우 스님의 탁월한 문재와 오도관이 엿보이는 시이다 .

 

원제목은 오도산에 올라서(登悟道山)이다 .

 

수도의 세계를 등산에 비유하여 담담히 읊은 시다 .

 

 .

 

 

 

 

 

 

 

행행홀견산진면 行行忽見山眞面 가고가다 홀연히 산의 참 모습을 보았네 .

 

 .

 

운자고비수자원 雲自高飛水自湲 구름은 절로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흘러가더군 .

 

 .

 

배불정책을 쓴 조선시대는 불교의 암흑기였다 .

 

억불숭유(抑佛崇儒)가 국시가 되어 불교의 박해와 멸시는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많은 스님들이 수모를 겪어야 했다 .

 

 .

 

그러나 이 수난기에도 불교는 그 명맥을 잘 이어 왔다 .

 

온갖 억압 속에서도 강인한 생명력이 남아 있었던 것이다 .

 

이는 여러 고승들의 수행과 선근 깊은 사람들에 의해 도태의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

 

허응당(虛應堂) 보우(普雨1515-1565) 선사는 조선조 불교를 위해 순교한 고승이었다 .

 

명종 때 문정대비(文正大妃)의 신임을 받아 봉은사의 주지에 임명된 후 승과제도의 부활 등 불교중흥에 안간힘을 쓰다가 끝내 문정대비가 죽자 유생들의 시기와 모함을 받아 제주도에 귀양을 갔다가 타살을 당하고 만다 .

 

율곡(栗谷) 이이(李珥)까지 논요승보우소(論妖僧普雨疏)라는 상소를 올려 보우의 논죄를 주장했고, 마침내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 목사 변협(邊協)에 의해 죽음을 당하였다 .

 

 .

 

이 시는 보우 스님의 탁월한 문재와 오도관이 엿보이는 시이다 .

 

원제목은 오도산에 올라서(登悟道山)이다 .

 

수도의 세계를 등산에 비유하여 담담히 읊은 시다 .

 

 .

 

지안큰스님 글 .

 

월간반야 2008년 6월 제91호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