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대사의 무공덕

중국 선종(禪宗)의 창시자인 보리달마(bodhi-dharma)는 남인도 향지국(香至國)의 셋째 왕자입니다. 그는 520년경 깨달음의 원력으로 중국 광주 남해군에 이르게 되는데, 『전등록』 제3권 보리달마전에 전하고 있는 보리달마와 불법천자였던 양무제의 첫 만남은 다음과 같이 시작됩니다.

양무제(梁武帝)가 달마 대사에게 질문했습니다.

“짐이 왕위에 오른 이래로 절을 짓고, 불상을 조성하고, 탑을 세우고, 사경(寫經)하고, 승려들을 출가시키는 일을 수없이 했는데, 어떤 공덕이 있습니까?”

달마대사가 대답했습니다. “아무런 공덕이 없습니다(無功德).”

우리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이 일화는 『벽암록』 제1칙과 『종용록』 제2칙 등에도 나옵니다. 달마에 의해 시작되는 새로운 실천적 불교의 특성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일화입니다.

양 무제는 황제로서 평생 수많은 절을 짓고, 탑을 세우고, 사경을 하고, 승려들을 출가시켜서 불법을 옹호하고 홍포한 불법천자(佛法天子)로 잘 알려진 사람입니다. 그런데 불법을 위해 평생을 받친 양 무제의 업적을 보리달마는 한마디로 ꡐ무공덕ꡑ이라고 단언해 버렸습니다.

왜, 그는 공덕이 없다고 했을까요?

여기서 ꡐ공덕ꡑ이란 말은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복전과는 구별이 되는 것입니다.

『육조단경』에서는 ꡒ절을 짓고, 보시하고 공양 올리는 것은 복을 닦는 것일 뿐이다. 복전(福田)을 가지고 공덕이라고 착각하지 말라. 공덕(功德)은 법신(法身)에 있으며, 복전(福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자기의 법성(法性)에 공덕이 있는 것이요, 견성이 바로 공(功)이요, 평등함이 곧 덕(德)이다ꡓ라고 했고, 『유마경』에는 “깊은 깨달음의 마음(深心)이 곧 진실된 도량이니, 공덕을 증익(增益)하기 때문이다. 심심(深心)이 시도량(是道場)이니 증익공득고(增益功德故)”라고 설하고 있으며, 『위산경책』에서도 ꡒ안으로 깨달음의 마음을 이루는 것을 공(功)이라 하고, 밖으로 편안함을 넓히는 것을 덕(內勤剋念之功 外弘不諍之德)이라고 한다ꡓ고 하였습니다. 즉 불교를 위하고, 혹은 남을 위해서 재물이나 마음으로 베푼다는 것은 복전은 될 수 있어도 공덕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달마는 양무제에게 선불교의 올바른 실천 정신을 제시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참된 공덕이란 바로 우리 각자가 불법의 참된 도리를 깨닫고, 깨달음의 지혜로 일체 중생에게 진실된 불법을 회향하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인해스님 (동국대강사) 글. 월간반야 2005년 6월 제55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