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의 예방

서울 가는 비행기 안에서 신문을 보다가 안타까운 기사 하나를 읽었다. 노부부가 말다툼을 하다 76세의 할머니가 83세의 할아버지를 각목으로 때려죽인 사건이었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할아버지가 치료를 거부하고 병원을 나와 버리자 ‘고집부리지 말고 제발 치료 좀 받으라’는 할머니의 말이 듣기 싫다고 역정을 내다가 할머니가 계속 치료 받기를 종용하자 화가 난 할아버지가 먼저 주먹으로 할머니를 때렸다. 이때 할머니는 자신이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며 이 나이 들도록 맞고 살아온 과거의 행적들이 떠올라 갑자기 치가 떨렸다. 방을 뛰쳐나간 할머니는 헛간에서 기다란 나무 막대기 하나를 들고 들어와 사정없이 할아버지를 마구 두들겨 패었다. 얼마 사이에 일어난 우발적인 일로 할아버지는 그만 절명하고 말았다.

경찰서에 잡혀간 할머니는 하염없는 눈물을 흘리며 울고 또 울었다. 졸지에 영감을 죽인 살부殺夫의 아낙이 되어 자신도 죽고 싶은 심정뿐이었다. 20살에 시집을 왔던 이 할머니는 결혼 초기부터 맞고 살았다. 남편이 술만 먹으면 폭력을 행사해 어떤 때는 이웃집으로 도망을 가, 피해 숨어있기도 하였다. 딸을 일곱이나 낳은 할머니는 아들을 못 낳고 딸만 낳는다고 구박을 받으며 맞고 살았다. 그러다 늦둥이 아들 하나를 낳았으나 그렇다고 남편의 폭력은 없어지지 않았다. 걸핏하면 부인을 북처럼 생각하는 남편을 그래도 섬기고 살아왔다.

그런데 일흔 여섯의 나이에 또 맞았다. 이렇게 평생을 남편의 폭력에 시달려온 할머니가 드디어 자신도 모르게 맞고 살아온데 대한, 뭉쳐 있던 한이 폭탄처럼 터져버린 것이다. 할머니의 독백은 “이 나이에도 내가 맞고 살아야 하나?”였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폭탄을 하나씩 안고 산다. 맺혀 있는 한(恨), 증오, 부아가 폭탄이 되어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불안한 존재가 되어 살고 있다. 비록 성품이 온순하고 착한 사람이 있다 하여도 그에게도 폭탄은 있다. 중생의 마음속에 선과 악의 업인이 동시에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폭탄이 터지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핀은 없을까? ‘참으면 되지.’ 하는 책임성 없는 상투적인 말 외에는 없는 것일까?

배고프면 밥을 먹듯이 목마르면 물을 마시듯이 이젠 사람이 생리적으로 해야 할 게 하나 있다. ‘남을 화나게 하지 말라.’ 이것이 우리 사회의 제일의 계율 조목이 되어야 할 때가 되었다.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자존심을 건드려 기분이 나쁘게 해 화를 내게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이 가정생활이나 직장생활 나아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생활 헌법(?) 제1조다. 바야흐로 폭탄의 시대에 있어서는 사람을 폭탄처럼 조심해 상대해야 한다.

얼마 전 뉴스에서는 아버지의 권위로 아들을 꾸짖던 어느 가정에 방화사건이 일어나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다 죽은 일이 보도되었다. 이제는 부모가 자식을 대할 때도 어떤 면에서는 폭탄을 다루듯 해야 한다. 잘못 건드리면 터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고함을 지르거나 야단을 치던 시대는 끝났다. 차근차근 설득하고 타이르는 시대가 되었다. 아니 그 보다도 귓속말로 속삭이듯이 대화를 나누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어느 시대이건 인생살이는 ‘역경계’와 ‘순경계’가 있다. 다시 말해 내 기분에 맞고 안 맞는 좋고 싫은 게 있다. 내가 좋아한다고 남이 따라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내가 싫어한다고 남도 그런 것은 아니다. 남을 대할 때는 남이 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남의 마음에 있는 기분은 전혀 내 기분과는 다르다는 것, 이것을 미리 알고 남을 대해야 한다. 내 기분대로 일방적으로 하는 시대는 이제 끝났다. 생존의 무게만 더해가는 메마른 시대를 살다보면 나도 모르게 내가 폭탄을 품고 있는 터지지 않은 화약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현대의 삶의 비극이다.

그대의 가슴에 폭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부에서 인생관의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내가 바라는 내 행복이 불행일 수 있고 내가 당한 불행이 행복일 수 있다는 행복과 불행을 등치시키는 일이다. 어디 인생이 웃으면서만 살아질 수 있던가? 웃는 때가 있으면 우는 때도 있다. 웃다가 울고 울다가 웃는 것이 인생이다.

기쁜 것도 내 마음이요, 슬픈 것도 내 마음이다. 슬픔을 느끼는 마음이나 기쁨을 느끼는 마음이나 그 마음이 똑같다는 사실을 알라.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올 줄 알면 되는 것이다. 본래의 마음은 어떤 마음인가? 기쁘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는 마음이다. 행복하지도 않고 불행하지도 않는 마음이다. 이 마음을 선수행에서는 ‘무심(無心)’이라 한다. 범부의 감정을 두고 말할 때 이 마음은 ‘잠자는 마음’이다. 화가 날 땐 차라리 마음을 잠재우라. 이것이 폭탄을 제거하는 안전핀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11월 120호

호랑이 계곡에서 세 사람이 웃다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남쪽에 여산(廬山)이라는 산이 있다. 이 산은 경관이 수려한 명산으로 알려져 역대의 많은 시인과 묵객(墨客)들이 찾아와 시를 읊고 그림을 그린 곳이다.

향로봉, 오로봉, 자소봉, 철선봉 등 40여개의 봉우리가 있어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였다. 당대(唐代)의 시선(詩仙) 이백(李白)이 이곳을 드나들며 시를 지었으며 백낙천(白樂天) 역시 유애사(遺愛寺) 부근에 초당(草堂)을 지어 머물기도 하였고, 송대(宋代)에도 소동파(蘇東坡)가 여산을 소재로 오도송(悟道頌)라 칭송된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廬山煙雨浙江潮(여산연우정강조) 여산의 실안개 비 정강의 물결이여

未到千般恨不消(미도천반한불소) 와 보지 못했을 땐 온갖 한이 남더니만

到得還來無別事(도득환래무별사) 와서 보고 나니 아무 별것 없고서

廬山煙雨浙江潮(여산연우절강조) 여산의 실안개 비 절강의 물결이네.

여산에 안개비 내리는 풍경과 절강의 강물을 읊은 이 시가 선을 참구하여 체험한 도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묘사한 오도의 경지를 읊었다고 찬탄 받은 시이다. 여산의 경치를 소문만 들었을 적에 가보고 싶어, 가보지 못한 것을 탄식했는데 가서 보고 나니 별것 아니더라는 말로, 굳이 덧붙이자면 깨닫고 나면 깨달은 것이 별 거 아니란 뜻이다.

보기 전이나 보고 난 후의 여산의 경치가 그대로이듯이 깨닫기 전이나 깨달은 후의 나의 정체도 아무 변화가 없는 그대로라는 것이다.

여산은 동진(東晋) 시대부터 불교와 깊은 인연이 있던 곳이다. 동림사를 위시해서 서림사, 천불사, 개선사, 만장사 등 산속에 70여개의 사찰이 있어 명실공이 강남 불교의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불교의 역사에서 보면 일찍이 안세고(安世高)가 이곳에 머문 적이 있으며, 그후 도안(道安)법사가 머물었고 그의 문인 혜영(慧永)이 이곳에 와 서림사(西林寺)를 짓고는 혜원을 청해 오게 해 혜원이 당시 자사 환이桓伊의 도움을 받아 산의 동쪽에 동림사(東林寺)를 지었다. 이 두 절을 여산 이림(二林)이라 했는데 이 절들에 얽힌 많은 설화가 전해지게 되었다.

동림사는 향로봉 아래에 위치해 주변 경치가 뛰어났으며, 근처에 폭포가 있는 계곡이 있었다. 이 계곡에 자주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렸으므로 호계(虎溪)라 불렀다. 혜원은 이 절에 선림을 세우고 서역지방에 있는 불영굴(佛影窟)을 모방해 불영당(佛影堂)을 조성하였다.

그 뒤 이곳에서 염불 삼매를 닦는 모임을 만들어 염불 수행에 힘썼다. 이를 후대에 벽련사(白蓮社), 혹은 백련결사(白蓮結社)라 불렀다. 이는 사영운(謝靈運)이 이곳에 와서 연못을 파고 흰 연꽃을 심었기 때문에 불러진 말이라고 한다. 이후부터 동림사는 정토종의 발원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당나라 때에 와서 무종때 회창법란(會昌法難)을 만나 절이 황폐화 되었다가 선종(宣宗) 때 다시 복원이 된다. 당의 선도(善導) 대사가 이곳에 와 혜원의 유적을 찾기도 했으며, 지순(智舜)은 이곳에서 정토삼부경의 하나인 [관무량수경]을 강의 하였다.

원나라 때는 보도(普度)가 이곳에서 [여산연종보감(廬山蓮宗寶鑑)]을 저술하였으며, 일본에 정토종의 교의를 전한 감진(鑑眞)이 일본에 가기 전에 여기서 연종 교의를 연구하였다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토의 사적이 동림사에 남아 있는 것은 혜원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혜원은 당시의 명사들의 내방을 맞이하여 숱한 일화를 남기기도 했는데 한 번은 시인 도연명(陶淵明)과 도사(道士) 육수정(陸修靜)이 찾아와 담론을 나누었는데 혜원이 이들을 배웅을 하다가 절 앞의 호계에 있는 다리를 넘지 않기로 서원을 세웠는데 배웅하면서도 이야기에 팔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만 다리를 건너버렸다.

이때 계곡 안 쪽 산에서 우는 호랑이 울음소리에 정신이 들어 다리를 건너버린 줄을 알고 혜원이 웃자 세 사람이 함께 크게 웃었다는 고사가 있는데 이를 두고 호계삼소(虎溪三咲)라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나중에 이 말은 선가의 공안(公案)이 되어 여러 사람들에게 회자되었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2년 4월 137호

혀없는 사람만 와서 살아라

불교에서는 사바세계를 음성교체(音聲敎體)라 하면서 말로써 부처님 가르침의 바탕을 삼는다고 한다. 교법의 체를 음성으로 하여 법을 설한다는 뜻이다.

지구상에 있는 수많은 언어들이 사람과 함께 태어나 말이 있음으로 살아있는 사람들의 힘을 느끼게 한다고 말한 사람도 있다. 우리가 사회에서 사람의 힘을 느끼는 것은 일차적으로 언어를 통해서라고 한다. 더욱이 현대사회에서는 방송매체 등 각종 매스컴이 발달하여 매일 같이 전해지는 소식중 하나가 누가 무슨 말을 하였나하는 것이다. 말을 하고, 그 말을 듣고 또 말을 하고…. 말이 끊어지면 아마 블랙홀 같은 데로 빠져 들어가 버릴지 모른다. 그래서 말이 있어야 하고 말로 살아가는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말은 결국 뜻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하는 것인데 말 속에는 많은 비밀이 들어 있어 말을 듣고도 숨어 있는 뜻을 찾을 수가 없어 의아스럽고 고민스러울 때가 있는 것이다. 말의 혼란 때문에 정신이 어지러울 때가 많다는 것이다. 또 공연히 말의 함정에 빠져 낭패를 당하는 수도 있다. 말하자면 말이 동물을 잡기 위해 쳐놓은 덫처럼 함정을 만들어 말에 걸려드는 사람에게 피해를 입게 하는 것이다. 또 말이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사적인 이기심에서 터무니없는 주장을 내세우기 위해 나오는 수도 많다. 그리하여 말씨름으로 승부를 가르려고 덤비는 사람들도 있고 말로써 사람을 현혹시키는 경우도 허다하다. 업으로 보면 말은 구업인데 이 업이 바르지 못하여 망어(妄語)가 되고 악어(惡語)가 되고 기어(綺語)가 되어 반도덕적이고 반윤리적인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말도 병이 든다. 생각이 병이 드는 것처럼 말이 병이 들어 건강하지 못할 때가 있다. 병든 말에는 믿음이 따르지 못한다. 이른바 불신을 조장하는 것이 말에서 시작된다. 말이 거짓이 되거나 말과 행동이 전혀 일치가 되지 않을 때 말로만 저러는구나 하고 상대가 그 사람의 말을 믿어주지 않게 된다. 가짜를 가장 손쉽게 만드는 것은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물론 말에도 짝퉁이 있다. 명언이 아닌 가짜 명언을 명품을 사칭하는 것처럼 사람들은 자신을 치장하는 액세서리로 도용하는 것이다.

세상에는 하고 싶은 말이 많은 사람들이 많다. 절절한 비원을 가슴에 품고 살다보면 누구에게 자기 심정을 터놓고 하소연하고 싶을 때도 있다. 그런가 하면 세상에 대한 울분과 원망을 삭이지 못하여 고함이라도 질러 세상을 저주하고 싶을 때도 있다. 다시 말하면 세상을 향하여 할 말이 가슴 속에 남아 있어 그 말을 언젠가 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말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 이들에게는 아직도 먼 생사윤회의 길이 남아 있을 것이다. 수도자들의 세계에서는 말을 하지 않고 침묵을 지키는 묵언으로 도를 닦는 사람들도 있다. 달이가고 해가 가는 수많은 세월을 묵언으로 정진한다. 그들은 왜 말을 하지 않을까? 말없는 세계, 윤회가 끝난 세계가 그립기 때문이다.

어느 산중에 작은 암자가 하나 있었다. 참선수행을 하는 납자가 이 암자에 혼자 살면서 정진을 하였다. 여름 결제를 하여 한철을 정진하고 있었는데 마침 장마가 져 비가 자주 내렸다. 지붕이 새어 빗물이 천정에 스며들어 방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었다. 불편함을 참고 견뎌 장마가 끝났을 때 이 스님이 다음에 이 암자에 와 공부할 사람을 위해 비가 새지 않도록 지붕의 기와를 갈아 다시 덮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지붕을 고치다가 대들보 속에 들어 있던 상량문을 발견하게 되었다. 펼쳐보니 상량문의 내용이 이상하였다. 암자를 지은 때나 유래를 밝히지 않고 납자를 경책하는 경구(警句)가 적혀 있는 것이었다.

구무설자당주(口無舌者當住) 야유몽자불입(夜有夢者不入)

“입에 혀가 없는 사람만 와 살아야 하며 밤에 꿈이 꾸이는 자는 들어와서는 안 된다.”

무슨 뜻이냐 하면 이 암자에 와 혼자 공부를 할 수 있는 사람은 혀가 없는 사람, 곧 세상을 향해 할 말이 없는 사람이어야 하고 잠잘 때 꿈이 꾸이지 않는 정신이 맑아진 사람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세속에서도 때로는 할 말을 줄이고 사는 말을 절약하는 생활도 필요할 것 같다. 불필요한 말을 너무 많이 하여 남을 귀찮게 하는 것은 말하는 자는 인격의 허물이다. 말이 많고 지나치면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 소음이 되고 말 것이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8월 제8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