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屋上)에 사는 나무

요즈음은 강의 일정 때문에 서울을 자주 다닌다. 울산역이 생기고부터 교통이 편리해져 KTX기차를 타고 가면 반야암에서 봉고나 승용차를 타고 나가는 시간까지 합쳐 3시간이면 서울에 도착한다. 3,4월에는 1주일에 3~4일씩 서울에 묵게 된다.

경복궁 옆에 있는 법련사에서 강의를 하다 가끔 쉬는 시간에 창밖을 내다보면 시야에 들어오는 풍경 속에 옥상에 심어둔 나무가 보이는 집이 있다. 빌딩의 숲을 이루고 있는 도시의 높은 건축 사이에 20여 층이나 되어 보이는 옥상에 누가 플라스틱 통이나 나무 상자 안에 심어둔 것인지 사철나무 한 그루가 푸른 잎을 달고 외롭게 서 있었다.

이 나무를 무심코 바라보다가 ‘왜 하필이면 그 넓은 땅을 두고 고층의 옥상에 너는 심어져 있느냐?’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로 나무가 있어야 할 자리를 잘 못 정해 고층의 옥상에 심어져 있다는 게 나무의 불행처럼 느껴졌다.

물론 인위적으로 누군가 사람의 취향에 의해 옥상에 심어졌을 것이다. 삭막한 도시 공간을 나무 한 그루라도 심어 정서적 분위기를 좋게 하려는 노력의 흔적으로도 볼 수 있는 일이다.

예로부터도 사람 사는 생활공간에 나무를 심어 놓고 살려고 하였다. 정원을 가꾸고 공원을 만들고 시내의 거리를 조경하는 일은 현대사회에 와서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 되었다. 나무가 없는 세상은 곧 자연이 없는 세상처럼 보통 사람들의 생활의 정서를 빼앗아 가는 결과가 될 것이다.

중국 송대(宋代)의 소동파(蘇東坡: 1036~1101)는 “고기는 먹지 않고 살 수 있어도 집 옆에 대나무가 없으면 안 되겠다.” 하였다. 존재의 법칙을 연기법으로 설명하는 불교의 입장으로 말하면 사람과 나무는 동물과 식물의 대칭적 관계로 ‘동물이 없으면 식물이 없고, 식물이 없으면 동물이 없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그래서 사람 사는 장소에 나무가 있게 하고 싶고 숲을 키우고 싶은 것이 인간의 정서적 바람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가 발달 되고부터 사람들의 생활환경이 자연과 멀어지면서 정서적 빈곤증에 시달리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일어난다.

옥상에 심은 나무는 이 정서적 빈곤증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수 있을 것이다. 옥상에 보이는 한 그루의 나무를 통해 자연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도시인의 비애를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

비록 인류의 역사가 문명의 개가를 노래하며 도시의 빌딩이 공중으로 높이 치솟아 올라도 나무 밑에 말없이 앉아 자기 삶의 문제를 생각해 보는 원시적 사색이 사람의 마음속에서 일어나야 인생의 의미가 바르게 살아나지 않을까?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두고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나무 밑에 태어나서, 나무 밑에서 깨달음을 이루고, 나무 밑에서 설법을 하고, 나무 밑에서 돌아가셨다.”

이 말은 곧 나무 밑은 부처님 탄생의 자리며 성도의 자리, 열반의 자리였다는 말이다. 불교에 있어서 나무 밑이 가지는 의미는 이처럼 중요하다. 나무 밑의 사색과 명상이 불교의 정서적 색채가 되었다. 또 초기불교 시절에는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나무 밑에 의지하여 수행할 것을 권하기도 하였다. 말하자면 수행자에게 있어서 나무 밑은 집과 같은 것이었다.

때문에 나무 밑을 좋아하고 즐겨 찾는 사람은 곧 수도자의 자질이 갖추어진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사람과 나무는 불가분리의 관계로 맺어지는 인연이 있음에도 바쁘다는 핑계로 나무를 멀리하고 사는 생활환경이 된다면 그야말로 급한 일 때문에 중요한 것을 놓쳐버리는 결과가 되고 말 것이다.

라즈니쉬는 “종교를 믿는 것이 숲속의 오솔길을 찾는데서 시작되는 마음이다.” 하였다. 사람의 주변에 나무가 많이 있으면 분명히 정서적 환경이 좋아질 것이다. 새봄을 맞아 올해도 나무를 심어야 하겠다.

해마다 반야암 주위에 나무를 사다 심곤 한다. 며칠 전에도 언양 장에 가 비싼 금송을 사오고 주목과 라일락을 사다 심었다. 나무를 심는 것은 내 꿈을 심고 희망을 심고, 식물에 대한 사랑을 심는 일이다. 또 아무도 모르는 내 인생의 슬픔을 묻어버리는 일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1년 4월 125호

오솔길을 걷는 마음

우리가 사는 사회가 과거에는 농경사회였는데 어느새 산업사회로 바뀌고 이제 또 정보사회라는 말이 나온지도 이미 오래 되었다. 발달된 현대문명을 수용하면서 생활패턴이 많이 바뀌어졌다. 의·식·주가 고급화되고 이어 행문화(行文化)가 급속히 발달하였다. 사회 발전단계가 의식주 3건이 갖춰지면 다음은 행(行)이라고 중국의 손문도 말한 바가 있다.

행문화란 가고 오는 교통문화를 말한다. 사회활동을 하면서 오고 가는 공간이동의 반경이 점점 넓어지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관광이나 여행을 하면서 길 위에서 보내는 시간도 옛날에 비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선진국일수록 국토 가운데 도로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고 한다. 고속도로나 철도 등 도로망이 좋아야 국토관리가 효율적으로 된다고도 한다. 우리나라도 전국이 고속도로로 연결되었다.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하더니 남해안 서해안 고속도로도 등장하였다.

고속도로는 차가 많이 다니는 큰 길이며 속력을 내어 빨리 갈 수 있는 길이다. 수많은 물동량들도 이 길을 통해 수송이 되며, 산업의 동맥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속도로가 많다는 건 그 나라의 경제지수가 높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국력신장이 도로와도 관계가 있는 모양이다.

마이카 시대 라는 말은 이미 퇴조된 말이지만 주말이 되면 자가용 승용차들이 산골짜기 마다 들어와 장사진을 이룬다. 이제 산중의 암자들도 차가 들어올 수 있는 길이 나 있어야 한다. 찻길이 없으면 일부 등산객을 제외하고 찾아오는 사람이 없다. 큰절에 무슨 행사가 있을 때마다 차량이 밀려 교통이 혼잡하다. 하도 많이 밀려오는 차량들을 감당하기 위하여 산중에도 주차공간을 확보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세계 유수의 자동차 공업국으로 부상한 우리나라는 국토는 좁은데 차량은 날로 증가해, 도시 뿐 아니라 시골에도 주차문제가 골칫거리가 되어간다고 한다. 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치고 주차 위반에 걸려 보지 않은 사람이 별로 없다고 한다. 차를 타고 가기는 가는데 내려 일을 보아야 할 때 차를 주차하기 위해 요금을 또 내어야 하는, 어찌 보면 매우 넌센스 같은 이야기로 들린다. 그러나 이것이 현대의 문화풍속이다. 몇 년 전 미국 뉴욕에 갔을 때 맨해턴의 어느 주차장에는 1시간 주차료가 100불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차를 이용하는 건 빠른 이동을 통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라고 할 것이지만, 한편 힘 안들이고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할 것이다. 차를 타고 가면서 음악도 듣고 TV도 본다. 시청각 문화가 사람의 이목을 어지럽게 하는 시대가 아닌가? 보아야 할 게 많고 들어야 할 게 많다는 것은 오관의 신경이 감지하는 대상이 많아 신경이 푹 쉴 겨를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문제는 이러한 바깥 경계를 향해서 달려가는 외부지향적 신경발사가 곧잘 내면의 건조를 가져와 버린다는 것이다. 창밖으로만 보내려고 하는 시선이 때로는 내부의 안정을 잃어버린다. 보지 않고 듣지 않을 때는 갑자기 공허해진 마음이 정서적 불안을 유발하는 것이다. 오관에 의한 감각적 자극이 감정의 충동도 가져온다. 엉뚱한 느낌이 일어나 우발적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수도 있다. 여과되지 못한 감정이 절제되지 못한 행동을 일으킨다.

어린이들의 경우는 정서적 성장 환경이 크게 달라졌다. 산과 강이나 들판, 또는 나무들을 보고 정서적 성장을 하던 시대가 아니다. 도화지에 자연을 보고 산을 그리며 하늘의 구름을 그리고 혹은 바다를 그리고 갈매기를 그리며 자라는 시대가 아니다. 매일 TV를 보아야 하고 컴퓨터로 오락게임을 해야 하는 환경이 되어버렸다. 그림을 그리라면 로봇과 인형을 그리는 아이들이 되었다. 나무를 그리고 하늘과 구름을 그리며, 바다를 그리는 아이들이 없어졌다. 이 모두 문화의 변화라고 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이른바 도시문화를 시멘트 문화, 아스팔트 문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층으로 지어진 즐비한 아파트 단지가 시멘트 문화이고 사통팔달로 이어지는 거리의 길이 아스팔트나 시멘트 길이다. 포장이 되지 않은 흙길을 걸어 보기가 어렵게 되었다. 흙길은 차가 다니기가 매우 불편하여 차를 쓰려면 길부터 포장해야 한다. 과학문명이 길을 탄탄하게 만들어주고 차를 타고 다니게 해 주었다. 집값 보다 비싼 차를 타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질 좋은 물질의 소유가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행복지수인 것처럼 여겨지는 시대다.

그러나 사람의 심성은 물질적 고급에 포장되지 않는다. 순수한 정서적 자연이 천연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의 마음에는 오솔길을 다니는 사색의 길이 있어야 하고 숲속의 옹달샘 같은 가슴 속의 샘물이 있어야 한다. 사랑이라 해도 좋고 지혜라고 해도 좋은, 맑은 물이 솟아나는 심천(心泉)이 있어야 한다. 숲속의 오솔길을 걸으며 고독한 산보자(散步者)가 되어보는 것도 자신의 정서를 순화하는 일이 될 것이다.

라즈니쉬는 종교에 귀의하는 마음을 오솔길을 찾는 마음이라고 하였다. 사색의 원천을 놓고 말할 때 인생은 확실히 오솔길 인생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6월 제 91호

오늘 하루가 내 일생이라면

하루살이란 벌레가 있다. 수명이 하루밖에 되지 않는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장 짧은 수명을 누리는 것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말이지만 사실은 초명이라는 벌레는 소가 눈을 한번 감았다 뜨는 사이에 일생을 마친다 하여 하루살이보다 더 짧은 생애를 누린다는 이야기도 있다. 짧은 생애를 누리는 미충들의 이야기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면 아무리 긴 수명을 누린다 해도 죽음의 순간에는 지나온 생애가 하루살이의 생애인 것이다. 일기무상(一期無常)이라는 말처럼 일정한 기간을 존재하는 시간전체가 바로 무상한 것이어서 찰나와 같다고 한다.

사람이 하루살이를 보고 이렇게 말을 했다.

“너는 하루밖에 못사는 목숨을 가지고 무엇 하러 태어났느냐?”

사람의 생애가 하루살이에 비해 길다는 것을 은근히 자랑하면서 하는 말이었다. 이때 청산(靑山)이 사람을 보고 핀잔을 주면서 말했다.

“야, 이 인간아, 네 목숨인들 하루살이와 다를 게 뭣이 있나? 나와 네 수명을 비교해 보자.”

이에 인간이 대꾸를 못하고 기가 죽고 말았다고 한다.

우리는 짧은 시간에 대해서 그것이 무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긴 시간에 대해서는 오히려 지루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 그런데 이 시간의 장단이라는 것이 사람의 의식에 의해서 느껴지는 관념의 생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생각이 움직이는 것을 생멸심이라 하는데 이 생멸심에 의해 시간의 장단이 느껴질 뿐 생멸심을 여읜 선정을 이루고 있는 마음에서는 시간의 장단은 없다. 다시 말하면 번뇌가 있는 마음에서는 길고 짧음의 시간의식이 일어나지만 삼매에 든 상태에서는 시간을 느끼는 의식이 없어져 시간을 초월하게 된다는 말이다. 마치 잠을 자는 사람이 잠 속에서는 시간 가는 줄을 모르다가 깨어나서 내가 얼마만큼 잤구나 하고 인식하는 것과 같다.

‘한 생각이 만년’(一念萬年)이라는 선어록(禪語錄)에 나오는 말이 있는가 하면 ‘일념이 곧 무량겁’이라는 법성게(法性偈)의 구절도 있다. 순간이 영원이고 영원이 순간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이치에서 보면 하루살이나 초명의 생애가 사람의 일생과 같은 것이며 나아가 천년만년의 수를 누리며 장수하는 목숨과 다른 게 없다는 의미가 되어버린다. 다만 업식(業識)이 일어나는 상태에 따라서 시간의 차원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남가일몽(南柯一夢)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듯이 꿈속에서 오랫동안 부귀영화를 누렸는데 깨어보니 부엌에서 짓고 있던 조밥이 아직 다 익지 않은 시간이었다는 것이다. 정신 분석가들은 사람이 잠을 자다 꿈을 꾸는 것은 실제로 몇 초 사이에서도 일어난다고 한다. 몇 초 사이에 꿈이 꾸이면서도 몽경(夢境)에서는 하루가 지나는 긴 시간의 일들이 보인다는 것이다.

사바세계에서의 시간은 중생들의 업보가 들어있어 겁탁(劫濁)이 되어버린다. 이 겁탁 때문에 불행한 일들이 생긴다고 한다. 예를 들면 전쟁이 일어나고 전염병이 돌며 천재지변에 의한 재앙이 일어나는 이유가 겁탁 때문이라는 것이다. 개인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사고와 사회적 물의를 빚는 일들, 또는 세계적인 재해 등이 시간이 오염된 결과라는 것이다. 반면에 이 시간의 오염을 해소하는 일은 무상(無常)을 깨닫고 한 생각 시간의식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무상을 깨닫는다는 것은 단순히 세월의 덧없음을 느끼는 감상적인 생각이 아니다. 친한 친구의 죽음을 보고 받는 충격이 무상을 느끼는 계기는 될 수 있지만 무상을 깨닫기 위해서는 내 한 평생의 생애가 설사 100년이 된다 하여도 하루살이의 하루생애와 같다는 이치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찰나무상(刹那無常)을 통해 일념의 망심을 벗어나 생멸심에서 진여심(眞如心)으로 돌아가는 것이 자신을 제도하는 것이 된다고 한다.

내 생애가 하루살이와 같은 하루의 시간 밖에 되지 않는다고 가정을 한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쓰레기를 버리듯이 자신을 포기하고 팽개쳐버리면 되는 것일까? 죽음의 공포에 사로잡혀 전전긍긍하고 있으면 되는 것인가? 모르긴 해도 아무튼 지금 우리가 생각하고 지내는 하루의 의미보다 생애 전체가 하루뿐이라면 그 하루는 대단히 소중하게 여기는 가장 의미 깊은 최고의 하루가 되어야 할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무렇게나 보내버리는 무의미한 시간이 되도록 놔두어서는 안 될 것이란 말이다. 한 번 뿐인 마지막 하루를 통해 내 일생의 가장 높은 행복의 가치를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11월 제7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