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장스님─내 마음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내 마음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법장스님

세여청산하자시

춘광무처불개화

방인약문성우사

석녀신중에 겁외가드라 나무아미타불.

안녕하셨어요?

제가 조금 전 읊은 게송은 우리나라 불교가 다 꺼져갈 무렵에 혜연처럼 나타나 한국불교를 중흥하고 선풍을 다시 진작한 경허 스님의 선시입니다.

세여청산하자시 (世與靑山何者是) 세상과 청산이 내 것이냐 네 것이냐? 누구 것이냐 말이에요? 여러분들이 생각할 때는 등기있는 집 하나는 내 집이라고 하겠지요.

그러면 여러분들이 정말로 보고 즐기고 기뻐하는 것은 전부 남의 것이에요.

그런데 저 합천 해인사 가서 경치 좋다하고, 설악산 신흥사 가서 정말 물 좋다고 하면 전부 여러분 것이에요.

보고 즐기는 사람 것입니다.

춘광무처불개화 (春光無處不開花) 봄빛이 비추니 꽃 아니피는 곳 없다.

다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니 내 마음속으로 내 것이라 생각하면 내 것이고 남의 것이라 생각하면 남의 것이다.

생김새는 같은데 쓰이는데 따라 다르더라.

본래는 다 같지만 쓰는 것에 따라서 각각 다르더라.

칼은 본래 칼인데 과일을 깍는데 쓰면 과도라 하고, 식당에서 쓰면 식도요, 살인을 하면 살인도입니다.

쓰는 사람들 마음입니다.

방인약문성우사.

어떤 사람이 만약 경허의 가풍을 묻는다 하거든, 석녀신중에 겁외가 돌계집의 마음 밖에 노래이다.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여러 신도님께서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 갈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뒤에 이어지는 이야기를 몇 마디 할 테니 여러분께서는 소리에 떨어지지 말고, 말에 떨어지지 말고, 글귀에 떨어지지 말고, 생각을 한 번 훌떡 바꿔보십시오.

그러면 석녀신중에 겁외가를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이 일체 근심 걱정을 버리고 호호탕탕 하게 살 수 있는 묘리입니다.

옛날 중국의 불심이 깊은 양무제라는 황제가 달마스님께 물었습니다.

‘어떤 것이 부처님의 거룩한 진리의 묘체입니까?’ 하니까 달마스님께서 말씀하시길 ‘따로 거룩하다고 할 것이 없다.’ 라고 했습니다.

왜 따로 거룩하다고 할 것이 없느냐하면, 두두물물 진겁신이라고 해서 물건마다 전부 다 부처님의 겁신이라고 이야기했으니 묘체라는 것이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평상시의 마음이 거룩한 부처님의 진리의 요체인데 따로 구한다고 구할 수 있겠느냐? 옳지 않다.

이렇게 말씀 하셨씁니다.

그러니까 양무제가 다시 묻기를 ‘그럼 짐 앞에 있는 당신은 누구십니까?’ 하니까 달마스님께서는 ‘부식!’ 나도 모르겠다.

이렇게 소리를 지르고 강을 건너서 숭산 소림사 소림굴에 들어가서 벽을 보고 구년 동안을 정진을 했습니다.

그렇게 정진을 계속하고 있는데 후에 신방이라는 사람이 찾아와서 달마스님에게 법을 구했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달마스님께서 “나한테 법을 묻고자 할 것 같으면 니가 내 말을 진실로 믿을 것인가 안 믿을 것인가하는 마음을 보여라.” 했습니다.

그러자 신방이라는 스님이 단도로 자신의 팔을 툭 쳤어요.

그러니 한 겨울인데도 눈 속에서 새파란 파초가 솟아나와서 팔을 받들어 주었던 것입니다.

달마스님께서 말씀하시되 부처도 당신의 몸을 나투지 않았거늘 너 같으면 능히 내 법을 받을 수 있고 불법을 지킬 수 있겠구나.

하고는 법을 전하면서 법호를 혜가라고 지어줬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조 혜가 대사가 된 것입니다.

제가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하는 것은 여러분들이 글이나 말에 집착하지 않고, 말을 듣고 글을 배우는 마음을 한 번 챙겨보면 코 만지는 것 만큼 쉬운 일이다.

그러니 여러분들은 꼭 그런 마음을 챙겨서 보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달마스님께서는 “밖으로는 일체의 인연을 다 끊고 안으로는 헐떡거리는 마음을 실어버려라.

부처님께서도 이 마음은 안에 있지도 않고, 밖에 있지도 않고, 중간에 있지도 않다.

그러니 여러분은 그 마음이 어느 곳에 있는지 잘 살펴볼 것이다.” 이렇게 말씀했습니다.

초조인 달마스님의 가풍을 여러분도 바로 알아야 합니다.

마음이 어디에 있는가? 그 마음이 머리에 있는가? 가슴에 있는가? 발바닥에 있나? 아니면 궁둥이에 붙어있는가? 그 마음을 어디에 있나를 잘 살펴봐야 합니다.

이 마음이 어디에 있기에 때에 따라 고통도 되고, 기쁨도 되고, 원망도 내고, 욕심도 내는 것인가.

여러분 잘 살펴보기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육조스님께서는 “나한테 한 물건이 있는데 이 물건은 하늘을 떠받치고 땅을 떠받치고 또한 빛으로 이야기하면 태양보다도 밝고 어둡기로 말하면 그믐달 칡흑 보다도 더 캄캄하다.

이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하고 대중에게 물었습니다.

바로 신혜 대사가 말하길 “불성지 본원이오 신혜지 불성이다.” 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 한 물건이라는 것은 부처님의 근본사상이오, 신혜의(나의) 불성이다.

또 남악 회양 선사가 찾아와 절을 하며서 법을 물으니까, 육조 스님은 물었습니다.

“절하는 그 물건이 무엇이냐?” 지금 절을 하는 너는 도대체 어떤 물건이냐는 물음입니다.

결국 회양 선사는 아무 대답도 못한 채 돌아가서 팔년 동안 용맹 정진을 하고 다시 돌아와 말하길, “한 물건이라고 하면 맞지 않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육조스님께서 묻기를 “그 한물건이라는 것을 니가 얻을 수 있느냐? 나타낼 수 있느냐?” 이렇게 물었습니다.

그러니 남악 회양 선사는 “혹 얻을 수는 있으나 그 뜻이 영원히 변치는 않습니다.” 하고 이야기를 해서 육조스님의 참 제자인 적자가 된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남악 회양 선사의 문하에 유명한 마조스님이 계셨습니다.

마조스님은 밥을 먹고 대소변을 보는 것 말고는 계속 앉아서 정진을 하는 아주 실다운 납자였습니다.

그러나 스승이 보기에는 저 사람이 앉아있기는 잘 앉아있는데 생각이 좀 비뚤어졌다.

제대로 된 생각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정진하고 있는 마조를 찾아가서 귀에 살짝 대고 “자네 뭘 하고 있나?” 물었습니다.

그러자 마조 스님께서는 ” 정진하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정진해서 뭐하려고?” 그러자 마조 스님은 “부처님이 될 것입니다.” 라고 했습니다.

당연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기도 하고, 염불 하고, 경 보는 것은 다 부처되려고 하는 것입니다.

왜? 부처는 자유이고 해탈이기에 근심걱정 없는 행복한 삶이기에 그런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들이 기도할 때는 무슨 아들 잘 되게 해달라, 가정 재앙 없어지게 해달라는 그런 고리탑탑한 기도 보다는 우선

행복을 얻기 위한 기도가 되야 합니다.

행복은 깨달음이고 깨달음이란 부처님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는 근심걱정이 없으니 편안하고 매일 매일 즐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조의 그 말은 들은 회양 선사는 밖으로 나가 마당에서 기와장을 드르륵 갈기 시작합니다.

스승의 이상한 행동에 마조는 물었습니다.

“기왓장을 갈아서 뭐하시려합니까?” “거울을 만들려고 하네.” 그러자 마조는 다시 말했습니다.

“스승님 기왓장을 간다고 어찌 거울이 되겠습니까?” “기왓장 갈아서 거울이 되지 않는다 하면, 그럼 어찌 앉아서 부처가 된다고 하겠는가?” 이 말에 마조 선사는 확연대오 했습니다.

제가 오늘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것은, 초조의 달마대사, 이조의 혜가, 삼조의 승찬, 사조의 도신, 오조 홍인, 육조 혜능에 이르기까지 글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 말로도 가르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정말로 어떻게 그 마음을 바꿔 줄 수 있겠느냐는 사고를 가지고 제자를 가르쳤고, 그러한 제자에게 전수를 한 것입니다.

오늘 불자 여러분드께 제가 이렇게 듣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얘기를 새롭게 하는 이유는 여러분께서 그동안 많은 기도를 하셨고, 심지어 오십년을 기도 한 분도 있어요.

그런데 내 마음은 항상 허전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무언가 잡히질 않아서 허전한 그 마음을 나한테 다 가져오십시오.

시기하는 마음 있으면 다 가져와요.

내가 다 해결해 드릴겠습니다.

저는 말쟁이가 아닙니다.

저는 글로써 여러분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가 아니예요.

저는 정말로 오늘 죽어도 한이 없습니다.

여러분들만 모두 소원성취 시켜주고 근심걱정을 모두 제가 안아 가져갈 수 있다면 더 이상도 이하도 아무 것도 필요 없습니다.

바로 그런 허전한 마음을 저한테 다 주었으니 이제 여러분 즐겁게 살아야 할 것 아니예요.

마음을 한 번 바꾸고 생각을 한 번 바꾸지 못한다면 죽을 때까지 절에 와서 기도하고 과일 같다 놓는다 해도 평생 고통스러울 것입니다.

생각한번 바뀌면 쌀 열가마 같다놓아도 아깝지 않고, 고통스러워도 원망스럽지 않습니다.

그것은 바로 마음 바꾸는 것입니다.

기도 성취는 마음 바꾸는 것입니다.

생전예수제도 마음 바꾸는 것입니다.

바로 여러분들은 정말로 마음 한번 훌떡 바꾸면 그때부터 걸음마다 즐겁고 먹는 것 마다 소화 잘되고 기분 좋습니다.

다 잘됩니다.

그렇게 되실 것을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해마다 꽃은 그 꽃인데 내 얼굴은 같지가 않다.

개나리는 노랗고 진달래는 붉고 해마다 봐도 그 꽃은 그 꽃 모양입니다.

그런데 내 얼굴은 같지 않다.

내 작년의 얼굴은 도 대체 어디로 갔느냐? 찾아봐야 됩니다.

복숭아꽃이 봄바람에 흐느적 휘날리고 떨어지는 이치를 알고자 하면 여러분 얼굴을 찾을 수 있습니다.

꼭 찾아보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면서 마치겠습니다.

법장스님─끝없는 광명 영원한 생명

끝없는 광명 영원한 생명

-법장스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한 순간이라도 청정한 마음으로 ‘나무아미타불’을 염(念)하면 한 보리도량(菩提道場)이 이루어지니 칠보(七寶)로 보배탑을 조성하는 것보다 그 공덕이 더욱 수승합니다.

보배탑은 마침내 부서져 티끌이 되지만 한 순간 염불하면 아미타불의 원력으로 정각(正覺)을 이루게 되고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왕생(往生)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나무아미타불’이라는 육자(六字)의 뜻을 설명드리자면, 우선 나무는 범어(梵語)로 나모(Namo), 나마스(Namas)이며 귀의(歸依), 귀명(歸命)으로 목숨을 바쳐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귀의의 뜻을 세부적으로 나누어보면, 첫째, 나의 신명(身命)을 바쳐서 부처님께 돌아간다.

둘째, 나의 신명을 바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른다.

셋째, 나의 신명을 바쳐서 생명의 근원에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또 아미타불에는 두 가지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데, 첫째, 아미타바(Amitaba)로 무한한 광명의 바다, 즉 무량광(無量光)이고, 둘째, 아미타유스(Amitayus)로 영원한 생명의 바다, 즉 무량수(無量壽)이니 아미타불이라는 무량광으로 끝없는 우주 공간과 지혜, 무량수로 영원한 시간과 자비의 상징인 부처님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아미타 부처님은 모든 부처님의 마음이시며 청정한 불성이시며, 진리의 본성이시며, 생명의 실상인 것입니다.

신라시대에 의상 스님(義湘 大師)께서는 아미타 부처님을 원불(願佛)로 모시고 늘 정토발원(淨土發願: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함)을 하시면서 서방정토에 아미타 부처님께서 상주하심을 믿고 의지하여 항상 어디서든 서방을 등지고 서거나 앉거나 누운 적이 없었습니다.

한번은 의상 스님의 문도(門徒) 중에서 계(戒)를 범한 제자가 있어서 산문에서 쫓겨났습니다.

그는 세속에 살면서도 스승인 의상 스님을 흠모하여 스님의 목상(木像)을 조성하고 조석으로 문안을 지성껏 드렸는데 하루는 스님께서 그 소식을 접하시고 제자에게 이르시기를 “네가 진실한 마음으로 나를 섬겼다면 나는 일생 동안 아미타 부처님께서 계시는 서쪽을 등지지 않고 살아왔으니 목상이라도 그리 할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이에 제자가 의상 스님의 상을 움직여 서쪽을 등지게 돌려보시니 목상이 스스로 움직여서 다시 서쪽을 향했습니다.

의상 스님과 대중스님들은 그 제자의 정성을 가상하게 여겨서 죄를 용서하고 다시 산문에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의상 스님께서 그토록 그리워하시던 극락정토가 어떤 곳인지 박(薄)한 수준이지만 아는 대로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극락정토는 아미타 부처님의 본원(本願)으로 건립된 정토인데 불법(佛法)이 수승하고 안락한 국토로서 탁(濁)하고 괴로운 것이 없는 맑고 즐거움만 있는 세계로 영원한 낙토(樂土)입니다.

때로는 안양(安養), 안락(安樂), 안온(安穩), 묘락(妙樂), 무위(無爲), 청정토(淸淨土), 서방정토(西方淨土), 불회(佛會), 열반성(涅槃城), 진여문(眞如門), 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 밀엄국(密嚴國),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라고도 하는데 사바세계에서 서쪽으로 십만 억 국토를 지나가면 있는 불국정토입니다.

또한 유심정토(唯心淨土) 유심미타(唯心彌陀)라 하여 정토가 다 이 마음 안에 있는 것으로 일 체만유(一切萬有)가 모두 일심(一心)이 지어낸 것이라고 하는데 특히 선종(禪宗)에서 강조하는 이법(理法)입니다.

원효 스님(元曉 大師)께서는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에서 “중생의 심성(心性)은 융통자재하여 장애가 없고 허공과 같이 태연하고 대해(大海)와 같이 심연(深淵)하다.

그러므로 본체(本體)가 평등하고 본성(本性)이 윤활하여 별상(別相)이 없고 동정(動靜)도 없다.

혹 진풍(盡風)으로 오탁(五濁)이 생긴다 하여도 각(覺)으로써 말할 때는 예토(穢土)와 정토, 생사와 열반이 모두 일심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다시 말씀드려 극락세계는 마음 쓰기에 따라서 지금 이곳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요즈음 우리 나라는 선종의 영향력으로 유심정토사상을 중요시하여 정토수행의 요지(要旨)로 삼는 데 비하여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던 가야시대나 삼국시대에는 서방의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해서 염불을 했던 기록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일연 스님(一然 大師)께서 쓰신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신라 경덕왕 때 욱면(勖面)이라는 귀진(貴珍)의 여자 노비가 있었는데 욱면은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에 동참한 귀진을 따라서 미타사(彌陀寺)에 다니면서 졸리면 손바닥에 구멍을 뚫고 실을 걸어서 나무에 매놓고 지성껏 ‘아미타불’을 염했다.

그런데 하루는 기도 도중에 욱면의 몸이 솟구쳐 법당 지붕을 뚫고 서쪽 하늘로 올라가다 소백산에 이르러 신 한 짝을 떨어뜨리고 그 산기슭에 육신을 남기고 왕생극락하였다.

후에 사람들이 신이 떨어진 자리에 보리사(菩提寺)를 짓고 육신을 남긴 자리에 제 2보리사를 짓고 법당의 이름을 욱면등천지전(勖面登天之殿)이라 하였는데, 욱면이 날아가면서 뚫린 열 아름이나 되는 미타사 법당의 구멍은 눈비가 내려도 젖지 않았다.”고 적혀 있습니다.

또 “혜공왕 때에는 금강산 건봉사에서 만일회를 열어 2백여 대중이 모여서 ‘나무아미타불’을 염하다 그 중 31명의 스님께서 기도 회향일에 서방의 극락세계를 향하고 앉아서 합장한 채 열반에 드셨다.” 고 적혀 있습니다.

그 후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분들이 아미타 부처님을 의지해서 편안하게 살다 편안하게 가셨으니 염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급한 것이 또 무엇이 있겠습니까? 이 좋은 염불을 누가 말린다고 안 할 것입니까? 그저 부지런히 최선을 다해서 염불할 뿐입니다.

염불만 열심히 하면 업장도 소멸되고 복도 자라고 도(道)도 통하게 됩니다.

부처님께서도 “나는 일찍이 수행할 때에 염불로써 무생법인(無生法忍)에 들었다.”라고 능엄경(楞嚴經)에서 말씀하셨습니다.

부디 대중들께서는 일념으로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셔서 세상 가운데 밝은 빛이 되고 모든 생명들 가운데서 향기로운 연꽃으로 피어나십시오.항상 염불하는 이 몸이 연화대가 되어서 아미타 부처님을 모시고 다니겠다는 서원을 세우고 영원히 서방정토를 향해 정진하십시오.

법장스님─깨달음을 향하여

깨달음을 향하여

법장스님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법문(法門)을 많이 들으라고 권하셨으니 잡아함경(雜阿含經)에 “많이 들은 거룩한 제자가 부처님에 대하여 무너지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성취하였다면 지옥이나 축생, 아귀에 떨어지는 일이 없다.

또 많이 들은 거룩한 제자들은 남의 믿음이나 욕심, 남의 지식을 따르지 않고 남의 뜻을 취하거나 남의 생각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진실하게 보고 아는 지혜를 가진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부지런히 배워서 바른 견해로 스스로 다짐하고 노력하기를 부처님의 행적만을 따라가고, 부처님의 말씀만을 따라하고, 부처님의 마음만을 따라가야 하는데 오늘날 신도님들이 체계적으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의 말씀을 배울 교육기관이 부족하므로 금번 본사에서 신도님들의 교육을 위한 불교대학을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우리 불교는 철학적(哲學的)인 내용이 기본으로 이루어진 교리가 많아서 무조건적으로 신앙심만을 가지고 이해할 수가 없고 철저히 과학적이고 이지적(理智的)이라 일정한 교육을 받지 않으면 그 기본정신과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불교역사에서 초기 교단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당시 대표적인 제자들이 거의 부처님보다 연장자로서 넓은 지역에서 존경받았던 종교인, 정치인 철학자였습니다.

이분들은 적게는 수십 명에서 많게는 천여 명의 출가집단을 지도하던 이교도의 지도자였으나 부처님을 뵌 후 부처님의 신통력과 자비하신 마음과 대상에 따라 방편으로 지도하시는 지혜로움과 논리 정연하신 이론, 막힘없으신 말씀에 감동을 받아 자신은 물론 가까이는 처자, 제자, 친지, 친척들을 비롯하여 이웃나라 사람까지 교화해서 함께 출가하거나 재가신도로서 부처님을 신봉하며 가르침에 따라 수행을 하였습니다.

실로 불교뿐만 아니라 고금을 통해 한 종교가 성립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믿음과 교육, 수행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지난 사십여 년의 출가 생활을 조용히 돌이켜보면 처음 부처님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아무 것도 모르면서 승가(僧伽)에 들어온 것만으로도 좋아서 살 때보다 선지식을 만나서 배우면 배울수록 알면 알수록 더욱 구도심과 선심(善心)이 깊어짐을 느낍니다.

저의 마음이 이러하니 부처님의 은혜를 갚는 일은 자신의 출가수행만을 기쁘게 생각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만심과 아만심(我慢心)을 버리고 오직 정성으로 후학을 가르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법화경(法華經)에서 이르시기를, “나는 여래(如來)응공(應供)정변지(正徧知)명행족(明行足) 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 조어장부(調御丈夫)천인사(天人師)불(佛)세존(世尊)이다.

나는 괴로운 사람을 기쁘게 하며, 알지 못하는 사람을 알게 하며, 불안한 사람을 편안하게 하며, 중생들을 해탈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

나는 모든 것을 알며 모든 것을 보고 있다.

나는 진리를 알고 진리를 말한다.

그대들은 다 나에게 와서 나의 설법을 들으라.

여래의 설법은 하나의 진리를 가르친다.

그것은 해탈 열반의 진리이다.”라고 하셨습니다.

해탈과 열반에 궁극의 목적을 두고 수행을 하고자 원을 세웠다면 부처님 당시처럼 부처님의 설법을 부지런히 들어야 합니다.

또 부처님께서는 “여래가 법을 설하는 것은 대지 위에 비를 내리는 것과 같고, 중생이 여래의 설법을 듣고 각자 자기에게 알맞은 길을 찾아서 실천하는 것은 비를 맞고 초목이 자라는 것과 같다.”라고 말씀하시며 설법 듣는 중생을 세 종류의 약초로 구분하시어 비교하시니, “중생들이 나의 설법을 듣고, 자기의 역량을 따라서 기쁨과 만족을 구하되 세상의 영광을 얻고자 하는 이는 소약초요, 열반과 신통을 얻고 홀로 깊은 산 속에서 선정(禪定)을 닦는 이는 중약초요, 최고의 성불을 위해서 늘 정진하는 사람은 상약초이다.”라고 하셨습니다.

이와 같은 부처님의 설법은 누구에게나 평등하여 하늘에서 고르게 내리는 비와 같거늘 중생의 근성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것이 같지 않음이 같은 비를 맞고도 자라는 형태가 다른 초목과 같은 것이니 이왕이면 우리도 큰 나무같이 불도에 전심해서 신통으로 많은 중생들을 제도하는 보살이 되어야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오늘 신심을 발해서 정법을 배우려고 입학하신 불자님들은 우선 부처님과 보살님의 지혜와 자비를 흠모하고 가르침을 굳게 믿어서 겨자씨만큼도 의심이 없어야 하며 한 구절의 법문을 더 듣기 위해서 나찰(羅刹 : 아귀)에게 몸을 던졌던 설산동자(雪山童子)와 같은 용맹심을 발휘하여 열심히 배우고 한편으로는 계행(戒行)을 잘 지키고 삼매(三昧)를 잘 닦아서 온갖 선행을 베풀어 중생을 제도하여야겠습니다.

대승보살(大乘菩薩)의 원력이 자리이타 (自利利他 : 자신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함.)에 있으니 어찌 스스로의 배움에 게을리하겠습니까? 오나가나 간절한 마음으로 법문을 듣고 자신의 죄업과 어리석음을 깨치고 낱낱이 실천에 옮기는 노력을 해야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이르시기를, “널리 듣는 것만으로 도를 사랑하면 도는 알기 어렵고 뜻을 지키어 도를 받들면 그 도는 크고 큰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우리가 참다운 수행인이 되고자 하면 널리 가르침을 듣고(聞) 그 가르침의 뜻을 사유하여(思) 가르침대로 실천할 때(修) 도를 이룰 수 있으니 이 문사수삼혜(聞思修三慧)의 방편을 잘 익혀야 합니다.

제가 이 자리에서 입학생 여러분들께 특히 부탁드리고 싶은 말씀은 공부를 하시다가 모르는 내용이 있어도 오늘의 용기를 잃지 마시고 편안한 마음으로 팔만사천 경전의 내용이 다 내 마음속 경장(經藏)안에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노력하십시오.

대방광여래장경(大方廣如來藏經)에서도 부처님께서 “불자들아! 일심으로 들어라.

내가 불안 (佛眼: 부처님의 지혜의 눈)으로 일체 중생을 보건대 욕심, 성냄, 어리석음 등 여러 번외 가운데 여래의 지혜(如來智), 여래의 눈(如來眼), 여래의 몸(如來身)이 있어서 염연히 부동하니라.

일체 중생은 그 몸에 여러 번뇌가 있어도 여래장(如來藏)이 있어 항상 때 묻거나 물듦이 없고 덕상(德相)이 원만하게 갖추어 있어 나와 다를 바가 없느니라.” 하시지 않으셨습니까? 오늘의 발심(發心)이 부디 성불(成佛)로 열매를 맺으십시오.

사바세계의 연꽃은 진흙에 뿌리를 두었습니다.

성불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