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간의 갈등

요즈음 스님들이나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종교에 좀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라면 한국의 기독교가 왜 자꾸 종교간의 갈등을 야기하는지, 인간사회에서 종교의 역할이 무엇인지 의아해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80년대 들어 신 군부가 반체제 인사들을 찾는다며 군화를 신고 법당에 난입한 ‘법란’과, YS 정권 때 청와대 경내의 불상을 함부로 처리해버린 ‘훼불’사건에 이어, 또 하나의 ‘법란’이라고도 할 ‘봉은사 땅 밟기’는 상식을 벗어난 폭력 행사이기에 아연실색할 정도다.

‘봉은사 땅 밟기’라는 제목의 6분 짜리 동영상은 20~30대로 보이는 남녀들이 대웅전을 비롯하여 봉은사 경내 곳곳에서 기도를 올리는 장면이 들어 있다. ‘너희는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성경 구절로 시작하는 동영상은 ‘불상, 사천왕상, 돌계단, 탱화’ 등을 보여주며 이를 ‘사람들이 만든 우상들…’이라고 지적하면서 두 손을 하늘로 뻗은 채 기도를 하고, 요사채 기둥이나 불경 위에 손을 얹고 기도하는 사진을 담았으며, ‘주님! 우상은 무너지고 주의 나라 되게 하소서!’라는 기도문으로 끝난다고 한다.

도대체 이게 순수한 종교인으로서 올바른 행동인가. 왜 우리 사회가 이처럼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고 자신과 이념이 다르면 배척하는 것인가. 종교 본래의 역할은 망각하고 정복주의적 태도로 무조건 배척하려 하는 것은 폭력이라고 밖에 볼 수 없지 않은가. 인간사회를 사랑과 화합으로 이끌어야 할 종교가 사회를 더 분열시키고 갈등을 조장해서야 되겠는가.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찬양인도자 학교’의 최모 목사도 봉은사에 사과하고 ‘우리도 비상식적이고 무례했던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고 유감을 표했지만 진정성이 담긴 사과이길 바랄 뿐이다. 왜냐하면 대구 ‘동화사’에서도 ‘땅 밟기’가 있었고, 심지어 우리나라 기독교인들이 ‘미얀마’의 한 사찰에서 찬송가를 부르며 예배를 드리는 ‘해외 땅 밟기’도 있었다고 하니 말이다.

기독교 신자들이 봉은사 법당에서 ‘이곳은 하느님의 땅이다’라고 선포하는 ‘땅 밟기’를 하면 이곳이 기독교의 땅이 되는가 하느님의 땅이 되는가. 최근 들어 불교계와 개신교의 갈등은 이것뿐이 아니다. 템플 스테이 사업에 왜 국고를 지원하는가. 대구 팔공산 불교테마공원(초조 대장경 역사 문화공원) 사업은 시행해서는 안 된다. KTX 울산역 명칭에 ‘통도사’를 부기하는 문제도 ‘울산광역시 역명 선정 자문위원회’와 ‘철도공사 역사 명칭 심의위원회’ 등을 거치면서 투표 끝에 ‘울산역(통도사)’가 확정되어 8월 26일 정부 전자 관보를 통해서 공고된 것을 코레일이 갑자기 입장을 번복한 바 있다.

이런 일에 대해 불교계는 언제나(?) 그랬듯이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11월 2일 종교 평화와 갈등 방지를 위해 ‘종교평화윤리법’(가칭) 제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다른 종교에 대한 폄훼행위를 법으로 규제해서 종교간의 갈등을 없애자는 종교인다운(?) 주장을 하면서 앞으로 개신교계의 ‘훼불 행위’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했단다.

우리나라와 같이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에서 특정 종교의 힘이 급속히 팽창하여 권력화하면 대개의 경우 정치 또는 자본권력과 접목되면서 본질을 잃기 쉽다. 자본주의 논리가 종교에도 파급되어 대형화하고 종교의 이념과 무관한 사업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자기 부정과 자기 비움을 통해 남을 사랑하고 섬기는’ 본질에서 멀어질 뿐이다.

일찍이 ‘사무엘 헌팅턴’은 「문명의 충돌」에서 문명사적 관점에서 국제질서의 변화를 예견하였지만 그 문명의 배후에는 항상 ‘종교’가 자리잡고 있었다는 점은 부인하기 힘든다. 이는 역사적으로 커다란 전쟁 뒤에는 반드시 ‘종교’가 있었다는 점과, 작금의 지구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분쟁만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라건대 개인이나 사회, 국가, 종교도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면서 존중해 줄 때 비로소 공존의 길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특히 종교 지도자들은 자중자애 해야 할 것이다.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12월 121호

조화와 순리

가을을 제대로 확인하기도 전에 초겨울의 스산함이 온몸을 움츠리게 한다. 이렇게 몸도 마음도 추위를 심하게 타는 것은 날씨 탓만은 아닌 듯싶다. 이즈음의 세태를 보면서 차라리 현실을 떠나고 싶은 충동마저 든다. 구제불능 상태까지 간 정치판, 조간신문의 사회면을 도배한 사건사고, 간밤의 사건 사고 소식을 전하는 아침뉴스를 보면 정말로 참담한 심경과 자괴감을 금할 수 없다. 특히 이 시대 이 땅의 젊은이들의 교육에 일익을 맡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 아찔한 현기증을 느낀다.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그렇다고 늘상 이런 생각에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지 않는가. 이처럼 천박하고 우울한 분위기 속에서도 분명 밝고 따스한 인정과 희망의 삶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곳곳에서 묵묵히 땀을 흘리고 있지 않는가. 역사는 짧게는 요란하게 요동치고 있는 것 같지만 길게 보면 언제나 조화를 이루고 중심을 잡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인류역사에 나타난 숱한 영웅들의 일대기를 보면 더 잘 증명된다. 한때 유라시아 대륙을 휩쓸었던 알렉산더나 나폴레옹, 그리고 몽고의 징기스칸 같은 영웅들도 그 힘의 한계가 반세기도 채 가지 못했지 않는가. 그들의 말발굽이 한번 지나가면 어떤 민족 어떤 국가도 맥없이 무너지고 말았지만 그들의 힘의 논리는 역사 앞에서 무력하기 그지없었다. 그러나 좀더 가까이 다가가 보면 그처럼 한 시대를 풍미했던 영웅도 조화와 순리를 소중히 여겼고 그에 따르려고 애썼던 흔적은 많다.

우리가 겉으로 보기에 몽고의 징기스칸은 서구에서는 야만족이니 악마의 군대니 귀축(鬼畜)같으니 하면서 경멸하면서도 두려워 했지만 실제로 국내 정치에서는 가장 애민적(愛民的) 전략관을 실천했던 왕도 전략가였다. 최근 몽골에서는 유라시아 대륙을 제패한 징기스칸의 경영전략과 웅혼한 정신력을 본받아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고 한다. 그는 백성들에게는 젖을 주는 양처럼 대하라고 했는데 대외적으로 전쟁에서 패도(覇道)를 걸었으나, 내정에서는 장수들의 맹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도주의자인 야율초재(耶律楚材)를 대몽고제국의 내치일체를 총괄하는 수상으로 임명하고 전적으로 그를 신임하였다. 야울초재는 처음에는 금나라 포로였고, 반전주의자였으며 반무단통치주의자였다고 한다.

어떤 면에서는 징기스칸 자신과 정 반대되는 전략관을 가진 사람을 수상에 임명해 놓고 내정에 대해서는 거의 일체를 맡겼을 정도라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자신은 군사적 전략적 천재였고, 야율초재는 정치적 행정적 천재였다. 징기스칸의 위대함은 바로 이 점에 있었던 것이다. 내외치의 조화, 왕도와 패도의 조화를 실현하기 위해 야율초재와 같은 인재를 발탁 기용하여 몽고고원을 통일한 후에는 요순의 치세와 비견될만한 정치를 하여 어린 소녀가 밤중에 금붙이를 들고 길을 가도 안전할 정도로 몽고의 치안은 훌륭했고 그 만큼 경제력도 높았다고 한다.

예나 지금이나 안정되고 부강한 국가를 이룸에는 조화와 순리를 소중히 여기는 탁월한 정치지도자가 있었다. 징기스칸을 도와 왕도정치를 실현한 야율초재 같은 정치가가 이 땅에는 없을까.

김형춘 (반야거사회 회장 / 창원전문대 교수) 글. 월간반야 2006년 9월 제70호

조류독감의 나라

최근엔 광우병과 조류독감에 대한 공포가 온 나라 사람에게 번지고 있다. 경제적·사회적으로 그 파장이 확산되고 있는 것도 문제지만 우리의 의식에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흔히들 말하는 ‘냄비 근성’인가, 아니면 우리에게 뿌리 깊이 박혀 있는 의식이 문제인가. 과학적 지식이나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일부 언론이나 소수의 견해를 과장하고 왜곡하는 설들이 확산되어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하는 것도 같다. 주범이 어디에 있던 무엇이든간에 이번 조류독감 사태로 우리는 발생과 확산단계에서부터 대처하는 정부정책이나 뒤늦게 불을 끄려고 알량한 애국심에 호소하여 축산농가나 농민을 위해서, 국가경제를 위해서 안심하고 먹으라고 쇼를 하니 분명히 문제는 있다.

조류독감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단 먹거리에 대한 불안이나 공포가 확산되는 것은 사실이다. 음식이나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일차적 조건이기 때문에 그 불안의 정도는 실제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광우병 소식이 전해지면서 푸줏간이 문을 닫고, 비브리오 소식이 들려오면 횟집이 휴업을 하고, 구제역이나 돼지콜레라가 발생하면 돼지고기 집이 문을 닫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연중행사처럼 반복되는 일이건만 터졌다 하면 언론은 무자비하게 실상을 파헤쳐 보도하고, 정부와 방역당국이 두들겨 맞고, 농어민이 목을 매고, 뒷북치는 조치가 취해지고, 정치인이나 유명인사, 심지어 개그맨까지 동원하여 먹어도 괜찮다고 쇼를 하는 것으로 끝낸다.

이런 사건이 생겼다 하면 으레 외국산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하고 중국산 깨에 콜타르를 칠해 국내산 검은깨가 되는 등 농산물 유통에 대한 불신이 따르고, 단속하는 공무원들이 뇌물을 받고 눈을 감는가 하면, 제나라 농산물을 지켜야 할 농협이 외국산 농산물을 국내산으로 속여 팔고, 정치는 제 밥그릇 챙긴다고 눈이 멀어 있다고 믿으니, 우리가 경험하는 불안의 원인은 이런 불신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번 기회에 우리가 꼭 짚고 갔으면 하는 건 우리의 의식중 지나치게 감성적(感性的)이고 정적(情的)인 태도다. 매사를 좀 신중하게 이성적(異性的)으로 합리적(合理的)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감정(感情)이 앞서는게 문제다. 하나의 사건이 터지면 좀 신중하게 대처하여 사건의 전개나 그 파장을 생각하고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 할지를 고민한 연후에 터뜨리고 대처를 했으면 한다.

다음으로는 우리의 문명, 지식의 토대가 그리 튼튼하다고는 믿지 않지만 그래도 이제는 사회 어느 분야에서든 전문가들이 산재해 있고, 정보도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러니 어떤 사태든지 발생하면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전문가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섣부른 판단이나 소수의 견해가 왜곡 과장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무작정 터뜨려 놓고 나서 감당할 수 없어 코미디언 등을 동원해서 알량한 애국심에 호소하는 쇼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

굳이 ‘인연과오’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사람의 입으로 들어 갈 식품을 두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죄악을 저지르는 일은 없어야 한다. 아무리 피할려고 해도 결국 그 자신도 그 음식을 직간접으로 먹게 될 것이니까.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