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히 잘하는 것도 내세울 것도 가진 것도 변변찮은 어중간한 보통사람이다. 뚜렷한 목표도 없고, 특별한 의욕도 없고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고민만 하면서 산다. 그냥 하루 하루를 어영부영 살아가다 무슨 일이 닥치면 또 적당히 헤쳐 가면 될 테니까. 성인 공자님도 ‘시중지도(時中之道)’라고 했다지 않은가. 그러다가 또 누가 문제를 제기하면 그때 적당히 구슬려서 넘어가고, 명쾌하게 잘라 놓으면 어느 한쪽에서 이의를 제기하면 곤란하니까. 딴은 자기 합리화를 위해서 잘 쓰는 변명의 말투인즉 ꡐ시공을 뛰어 넘는 사고를 하는 천재는 항상 외롭고 간혹은 만년을 정신병원에서 보내는 예가 많다ꡑ는 것이다. 보통의 범주 속에 사는 게 별난 사람보다는 남에게 경쟁의 대상도 안 되고 모나지 않아서 오히려 편하다. 그렇다고 남의 발길에 채이거나 따돌림을 받는 것은 보기 흉하니까 싫다.
세상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볼 때 그 사람 자체의 됨됨이만으로 평가하지 못하고 하는 일이나 가정환경, 사회적 지위나 외모와 차림새 등을 보고 자기 사고의 틀에 맞춰서 자기가 끼고 있는 색안경을 통해 그 사람을 평가한다. 또는 그 사람을 대하기 전에 갖고 있던 선입관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나는 그런 위인도 못된다. 미운 사람보고도 반가운 척 웃고, 하고 싶지 않는 말도 꼭 해야 할 때도 있고, 지키지 못할 약속인 줄 뻔히 알면서 면전에서 거절을 못해 그렇게 하마고 약속도 남발한다. 누군가의 하찮은 말에도 상처받아 속상해 하면서도 나도 누군가에게 그냥 나오는 대로 생각 없이 지껄인다. 상대에게 상처를 준 줄도 모르고 살다가 뒷날 우연히 알고는 별수 없이 후회하며 산다. 여전히 자기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남의 눈치를 보면서 알량한 체면 때문에 적당히 살아간다.
남들은 불혹(不惑)의 나이를 지나면 바깥세상에서 보고 듣는 것에 유혹 받지 않고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데 나는 불혹을 지난 지 스무 해가 다 되었는데도 오히려 더 흔들리는 것 같다. 이맘때면 이제껏 맺었던 인연도 정리해야 할 텐데 갈수록 산이다. 왜 이리도 옆을 돌아보아야 될 일도 많고 계산을 대야 할 일도 많은가. 이게 중생의 한계인가. 부처가 될 팔자는 아예 아니던가. 벌써 치열한 삶의 무대에서 내려와 그저 다른 사람의 삶을 관조하는 구경꾼으로 전락한 것일까. 그러나 어쩌랴. 이순(耳順)을 바라보면서 크게 이룬 것도 없지만 크게 후회하고 한탄할 일도 없으니 그저 인생이란 ‘그러려니’ 하며 살뿐이다.
헨리 제임스의 소설에 나오는 ‘불운을 깨울까 무서워 발끝으로 살짝 살짝 걸으며 살아 왔다’고 한 말은 나를 두고 한 것 같다. 하루하루를 보내면서 느끼는 감정은 그저 안도감과 허탈감뿐이랄까. 그나마 커다란 실수 없이, 별다른 사고 없이 또 하루를 마무리했다는 안도감이 앞선다. 그에 뒤 따라 오늘 또 아무것도 제대로 한 것 없이 내 인생의 소중한 남은 하루를 무의미하게 허비했다는 허탈감이다. 그러나 어쩌랴. 내일은 좀 달라지겠지. 달이 바뀌면 변하겠지. 해가 바뀌면 철이 들겠지.
김형춘 香岩(반야거사회 회장) 글. 월간반야 2005년 8월 제5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