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지금이나 인간사회에서의 삶의 성패는 이승에 와서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 하는 것과, 이 사람들과의 만남을 ‘어떤 관계로 승화시키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원만하게 이어주는데는 그 도구라 할 수 있는 말이 주된 역할을 하는데, 이 말은 사람뿐만 아니라 주문(呪文, 呪術文)을 통해 신과도 관계를 맺게 하였고 이것이 발달하여 문학의 기원이 되었다는 학설도 있다.
이러한 말[言語]을 잘 이용하는 사람들은 종종 남의 마음을 움직여서 그 집단의 지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아니 대개의 경우 큰 조직의 지도자들은 말로써 그 구성원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물론 그 말의 이면에는 생각이 깃들어 있으니까 내면의 뜻이 말을 통해 상대방에 전달되어 공감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그러니까 지도자와 말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고, 한 사회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말을 잘 해야 되고 그러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기도 한다.
요즈음 한국사회도 지도자의 말 때문에 말이 많다. 한때는 대통령의 말이 너무 솔직하고 간단명료하여 지도자로서의 말이 ‘정제(精製)’되지 않았다고 시비를 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쉬운 말과 꾸미지 않은 말이 특징이었다. 쉬운 말과 진솔한 표현이 대통령의 화법의 중심이었다. 가성을 쓰지 않고 구어체(말하듯이)로 연설하여 한글세대다운 대통령이라는 평도 있었다.
사실 말하기에서 가장 주요한 요체는 맞춤법과 표준어에 맞게 ‘바른말을 쓰는 것’과, 난해한 한자어나 외국어 외래어보다는 ‘쉬운 우리말을 찾아 쓰는 것’과, 은어나 속어 비어 등을 버리고 ‘곱고 아름다운 토박이말을 가려 쓰는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본다면 우리의 지도자는 말하기에서는 별로 나무랄 데가 없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우리 대통령의 화법이 달라졌다. 갑자기 말이 어려워졌다. 간단명료하던 화법이 복잡 다기해 지고,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말을 계속하고 있다. ‘권력을 통째로 내놓는 것도 검토하겠다’는 등 보통사람의 상식적인 수준으로 이해가 안가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수십 년 한국어를 강의해 온 필자도 그 말의 참뜻을 이해할 수 없으니 답답하다.
말하기의 기본은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보다 잘 표현하여 듣는 이로 하여금 보다 잘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쉬운 말은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고, 진실을 바탕으로 하여 설득력을 가진다. 듣는 이로 하여금 탈 권위적이어서 친밀감을 느끼는가 하면 생산적이고 경쟁력을 높여준다. 그러나 어려운 말은 말에 복선이 깔려 있고 다른 노림수가 있을 수 있다. 권위적이고 고압적이며, 가식적이고 독선적이어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개를 돌리게 한다.
이제 돌려진 고개가 다시 바로 돌아오도록 대통령의 화법이 본래대로 돌아오면 어떨까.
김형춘 (반야거사회 회장 /창원 문성고 교장) 글. 월간반야 2005년 10월 제 5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