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덥지근하고 지리한 장마날씨만큼이나 답답한 세태다. 너무나 빠르게 변해서인지, 미래를 향한 변화와 전통을 고수하고자 하는 신구의 갈등이 심해서인지, 도무지 변화가 없는 정체상태여서 그런지 분간할 수가 없다. 조간신문을 읽고 나면 하루종일 머리가 뒤숭숭하고, 석간을 읽고 나면 밤에 꿈자리가 뒤숭숭하다는 말이 실감난다.
물질적인 풍요와 쾌락의 추구이외에는 모든 사람이 한결같이 바라는 가치세계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던가.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홍몽이 이러했던가. 땅은 왜 이렇게 답답하고 뒤숭숭하여 갈피를 잡지 못하는가.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어려움은 있게 마련이지만 흔들리고 방황하지 않는 사람, 고민하고 마음 아파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던가. 가히 중생은 번뇌를 이고 산다는 말이 오늘날을 두고 한 말이리라.
철들고 난 뒤로 아파 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괴로움을 당해 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아프고 괴롭고 외로울 때면 인간은 으레 본래의 그 순수한 모습으로 돌아가서 인간을 그리워하는가 하면, 다른 사람으로부터 참된 위무를 받고싶어 하고, 삶에의 올바른 방향을 찾고자 한다. 그러나 그때마다 우리를 서운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삶을 더불어 의논하고 걱정하고 이끌어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 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이러니 더욱 막연하고 외로와 하고 방황할 수밖에.
뭐가 뭔지 좀 속 시원하게 옳고 그름과, 선하고 악함을, 그리고 아름답고 추함을 분명히 알 수 있게 가르쳐주고 안내해주는 이가 있으면 좋겠다. 우리가 가야할 길을 자신 있게 제시하여 주고 스스로 앞장서 나아가는 믿음직한 그 누가 있으면 좋겠다. 마음에서 우러나 존경하고 믿고 따를 수 있는 선배가 아쉽다. 어려움을 이해하여 주고 갈등을 풀어주며, 방황할 때에 확신과 신뢰를 줄 수 있는 사람이 아쉽다. 참으로 어려울 때에 손길을 뻗쳐볼 데가 없으니 말이다.
이런 선배가 그리웠다. 나에게 만의 선배가 아닌 우리 모두의 멋진 선배를 갖고 싶었다. 공정과 청백을 정치의 요체로 알고 참으로 나라와 겨레를 걱정하며, 매사에 한발 물러서서 한번 더 생각해 보는 여유와 자제를 갖고, 원숙한 언행으로 솔선 수범하는 멋진 정치를 하는 원로 선배를 보고싶었다.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주장할 수 있는 지적인 성실성과 정신적 용기를 가진 지식인을 선배로 때론 스승으로 모시고 싶었다. 진실과 겸손을 바탕으로 대화와 합리를 통한 민주적인 경영으로 봉사하는 자세를 겸비한 기업인에게 내가 가진 모든 재산을 기꺼이 투자하고 싶었다. 남의 것이 아닌 우리의 산하와 전통과 문화유산의 바탕에다 우리의 얼을 아름답게 수놓아, 가장 한국적인 예술이 가장 세계적인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예술을 위해 외길을 걷는 선배와 더불어 취하도록 마시고 지쳐 쓰러질 때까지 춤추고 싶었다.
어쩌면 세상에는 이렇듯 매력 있는 선배들이 많이, 아니면 더러는 있을 법도 한데 제대로 보지도 못하는 눈을 가진 자신의 어리석음을 드러내는 푸념이었을까. 그런데 최근 나의 이 생각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물론 어제오늘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나의 이력서의 종교 난에 확실히 ‘불교’라고 쓰기 시작한지가 20여 년이 지난 지금에야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다는 게 부끄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적어도 예전에 나는 ‘극락과 천당과 하늘나라의 벽을 허물고 지고의 선을 추구하면서 배타와 질시와 반목을 없애고, 인간에 대한 믿음과 사랑과 구원에 전념하는 종교인에게 신이 아니라도 좋으니 귀의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졌었다. 그러면서도 종교는 ‘맹신(盲信)’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 같기에 무작정 절을 찾고 절을 하고 스님의 말씀을 새겨듣길 4반세기. 이순(耳順)에 이르러서야 ‘탐욕’과 바른 ‘원(願)’을 구별할 수 있을 것 같고, 화를 낼 때와 냉정해질 때를 구분할 수 있을 것 같고, 지식과 지혜 중 어느 것이 더 소중한 지를 조금은 알 것 같다.
참으로 어려울 때에 내 손길을 잡아줄 선배 없음을 아쉬워했던 자신이 스스로 부끄러워진다. 이렇게 가까이에 정신적인 안식처가 있었고, 이끌어 주시는 스승이 계셨는데. 역시 속인의 눈은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나무관세음보살.
김형춘 (반야거사회 회장, 창원전문대교수) 글. 월간반야 2006년 8월 제6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