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는 어김이 없고 자연의 섭리가 오묘함을 다시금 느낀다. 지루하던 장마도, 뜨겁기만 하던 여름 햇볕도 백로(白露)를 지나면서 찬이슬로 맺혀지고, 추분(秋分)을 지나면서 완연한 가을이 되었다. 여름 내내 텃밭에서 베어 놓고 돌아서면 자라던 풀도 이제 올해의 자람을 마무리하는 시점이 된 것 같다.
해마다 이맘때면 산야에 모셔진 조상들의 무덤과 묘역에 1년 간 자란 풀을 베어내는 벌초(伐草) 행사가 대대적으로 벌어진다. 아무리 바빠도 선조의 산소에 풀을 베지 않으면 ‘무후장(無後葬)’이라 여기기 때문에 만사를 제쳐두고 벌초를 한다. 예전에는 좀 산다는 집안에서는 산소 관리를 ‘묘지기’에게 맡기고 얼마간의 ‘묘답(墓畓)’을 마련해 주었지만 요즈음은 자기 집안 묘 관리도 어려운데 남의 집안 묘 관리를 맡아줄 사람은 더욱 없다. 그러나 객지에 나가서 특별히 바쁜 경우엔 농협 등을 통해 벌초를 대행해 주는 제도도 있는 모양이다.
우리 민족 전래의 조상 숭배 사상은 상례(喪禮)와 제례(祭禮)에 이어 선조의 무덤을 관리하는 것으로 잘 나타난다. 해가 바뀌고 긴 겨울을 지나 해동하면 찬밥을 먹으면서 조상의 산소를 살핀다는 ‘한식(寒食)’ 성묘를 하고, 4대 명절의 하나인 ‘단오(端午)’ 성묘에 이어, 음력 7월 말쯤이면 벌초를 하고 8월 초순에 이를 확인하는 성묘를 한다. 설날과 추석 명절엔 객지에 나가 살던 자손들이 고향에 돌아와 차례를 지내고는 으레 성묘를 하는가 하면, 음력 10월이면 ‘4대 봉제사’가 끝나고 고손(高孫) – 현손(玄孫) – 이 제주가 되면 묘사(墓祀) – 시제(時祭), 시사(時祀) -를 지내면서 또 한번 산소를 찾을 기회가 있다. 오늘날에 와서는 예전의 풍습들이 많이 변질되고 사라졌지만, ‘벌초’ 후의 성묘와 음력 10월의 시제(時祭)를 지내지 않는 집안은 드문 것 같다.
벌초의 문화도 최근 반세기 동안 많이 변한 것 같다. 50, 60년대까지는 예전의 그 모습대로 낫으로 풀을 베었는데, 70년대와 80년대 초반까지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젊은 세대 또는 전 가족이 도회지로 이주하면서 벌초와 성묘를 하는 사람이 적어졌고, 때맞추어 산림녹화사업의 성공으로 산에 숲이 우거져 몇 년간 방치해 둔 무덤은 찾기가 어려워 이른바 ‘실묘(失墓)’한 경우도 많아서 마을의 노인들을 찾아 하소연하는 진풍경도 더러 볼 수 있었다. 이런 현상을 두고 혹시나 우리 민족의 조상 숭배 사상이 퇴색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현상도 잠깐. 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소득 수준도 높아지고 다시 생활의 안정을 되찾은 사람들이 자동차에 ‘예초기(銳草機)’를 싣고 고향을 찾아 직접 벌초하고 성묘하는 모습으로 바뀌게 되었다.
요즈음은 벌초와 성묘를 하기 위해 고향을 찾는 사람들로 주말이나 공휴일이면 고속도로를 비롯한 전국의 도로가 정체 현상을 빚는 것은 일반화되었으니 다른 사람들도 이런 현상을 염두에 두고 나들이 계획을 한다. 국도를 타고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면서 특히 익어가는 벼가 장관을 이루는 황금 들녘을 끼고 다니다 보면 도로변 곳곳에 자동차들이 줄지어 서 있건만, 누구하나 불법 주정차 시비하는 사람도 없을 뿐 아니라, 주변 산의 곳곳에서 벌초하는 기계소리를 듣는 것도 지극히 자연스럽다. 이뿐인가. 돌아오는 길의 정체 현상은 더하여 여느 때보다 서너 배 더 긴 시간을 차안에서 시달려도 누구하나 불평하거나 짜증스런 얼굴이 아니다. 차안에서 잠들어 있는 어린 아이들의 얼굴도 평화스럽고, 정체 구간에서 부부나 가족들이 번갈아 운전석에 오르는 모습도 정겨워 보인다. 차창을 열어놓고 고향에서 가져오는 밤이나 옥수수, 고구마 등 음식을 먹는 모습들도 계절의 별미답게 구미가 당긴다. 좀은 피로하고 시간에 쫓길 법도 하건만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길 비는 마음이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도 변하지 말았으면 하는 것들이 많다. 어쩌면 가장 인간적인 사상에 바탕을 둔 우리의 미풍양속은 바로 그런 것이 아닐까. 그러나 세태는 우리의 아름다운 추억을 언제까지나 간직해 두도록 그다지 너그럽지는 않을 것이다.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09년 10월 10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