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표현과 남의 이해

인간의 삶은 ‘인간관계’를 벗어날 수 없고, 인간관계의 성패는 어떻게 자기를 표현하고 얼마나 남을 잘 이해하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이 ‘자기표현과 남의 이해’는 내가 수십년 해 온 우리 ‘국어 교육의 목적’이다. 아니 국어뿐 아니라 인간이 ‘언어’를 공부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잘 표현하고 남의 생각과 느낌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국어나 외국어를 배운다는 말이다. 인간이면 누구나 갖게 되는 사상·감정을 얼마나 잘 나타내고 어떻게 잘 받아들이느냐 하는 문제다.

이 ‘자기 표현과 남의 이해’를 위하여 우리는 ‘말하기’와, ‘듣기·쓰기·읽기’등을 배운다. 그러니까 자기를 표현하기 위해 ‘말하기와 쓰기(짓기)’를, 남을 이해하기 위해 ‘듣기와 읽기’를 공부하는 셈이다.

그런데 해방 후에 태어나 철이 들면서부터 국어를 배웠고, 60년대 말부터는 내가 안다고 생각한 알량한 지식을 남에게 가르쳐 왔는데 30년이 지난 지금에야 고개가 갸우뚱거려 지는 게 있다. 사실 ‘말하기나 듣기, 읽기와 쓰기’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어느 것이 덜 중요한 것은 없다. 그런데 교육현장에서는 8·15 광복 후부터는 문자의 이해, 즉 읽고 쓰기를 하는데 급급했기에 ‘읽기와 (짓기 제외) 쓰기’에 우리의 국어교육이 치중했고, 이후 90년대 중반까지는 말하기와 쓰기(짓기 위주)를 강조했다. 초·중등교육을 막론하고 연구학교·시범학교에서는 유행처럼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자신있게 표현하는 문제를 주제로 삼아 연구하고 발표하는 곳이 많았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 와서는 ‘듣기와 읽기’등 남을 이해하기 위한 주제에 관심이 많다. 대학입시를 위한 수학능력시험이나, 일반 평가에서도 ‘듣기’를 강조한다. 국어 뿐아니라 외국어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국어교육의 흐름과 세태를 비교하는 것은 무리일까. 왜 이즈음 사람들은 남의 이야기를 들을려고 하지 않을까. 질문은 해 놓고 답을 들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공격적인 자기 표현은 있는데 상대방의 답이나 변명은 무시해 버린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할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입은 있고 귀는 없는 것 같다. 이러니 화해나 상생은 애당초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세태가 이러니까 늦었지만 남의 이야기를, 상대방의 주장을 끝까지 듣는 태도라도 길러 주기 위해 ‘듣기’ 교육이 강조되는 것 같다.

중생의 삶에서 상대가 없는 경우는 없다. 더불어 살기 위해서는 자기 표현과 남의 이해는 공존해야 한다. 수행자의 삶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자기 속의 또 다른 자기와의 무언의 무한한 대화. 이 대화를 통해 자신을 깨달음의 경지로 승화시키는 것이 아닌지.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1년 11월 (제12호)

입춘대길(立春大吉)

겨울의 모진 추위와 배고픔과 어려움을 견디는 힘은 봄이 오고 있음을 믿기 때문이리라. 봄은 꿈과 희망을 부르는 말이다. 이제 절기가 대한을 지나 입춘으로 가고 있으니 저만치 봄이 오고 있는 것 같다.

입춘은 24절기의 하나로 양력으론 2월 4일 경, 음력으론 대개 정월의 절기(節氣)로(올해는 섣달에 입춘이 들었지만)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 한다. 입춘의 전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철(계절)의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며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첫 5일은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을 녹이고, 다음 5일은 동면(冬眠)하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마지막 5일은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고 하였다. 또한 잡절(雜節)은 입춘 날을 기준으로 하여 시작되는데, 밭에 씨앗을 뿌리기 시작하는 88야(八十八夜), 태풍시기인 210일, 230일 등은 각각 입춘으로부터 88일, 210일, 230일을 가리킨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기록에 대궐에서는 내저 기둥과 난간에다 설날에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 중에서 우수한 것을 가려서 써 붙였는데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 불렀다. 대신과 사대부, 일반 민가와 상점 등에도 춘련(春聯)을 붙이고 축하하였으니 이를 춘축(春祝)이라 하였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도 입춘이 되면 봄에 합당한 문장을 써서 문에다 붙인다 하였다. 지금의 춘련 풍속은 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민속대관」에도 입춘일에는 도시나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는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며 이를 춘축(春祝)이라 한다 하였다.

입춘문은 대개 정해져 있으나 최근 몇 년간 ‘지안(志安)’ 큰스님으로부터 받은 글귀처럼 ‘立春大吉 建陽多慶, 立春大吉 萬事亨通, 立春大吉 萬福雲興’ 등이 있으며, 그밖에 널리 쓰이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國泰民安 家給人足,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天增歲月人增壽 春滿乾坤福萬家, 門迎春夏秋冬福 戶納東西南北財’. 또한 여염집의 기둥이나 문설주에는 다음과 같은 대련(對聯)이 많이 쓰인다고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밝히고 있다. ‘壽如山 富如海, 去千災 來百福, 堯之日月 舜之乾坤, 天下泰平春 四方無一事’. 이처럼 입춘을 축하하는 입춘방(立春傍) 들은 불과 반세기 전만 해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거의 사라졌다가 최근에 아름다운 전통의 재현이라는 이름으로 더러 눈에 띈다.

농가에서는 입춘 날이 되면 보리의 뿌리를 캐어보고 그 해의 농사를 점치기도 한다. 보리의 뿌리가 세 개 이상이면 풍년이 들 징조이고, 두 개이면 평년작이요, 한 개이면 흉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또 함경도에서는 이 날이 되면 나무로 만든 소를 관청으로부터 민가의 마을로 끌고 나와 돌아다녔다고 한다. 소는 농사의 상징으로 관리들이 농민들로 하여금 농사에 열중하도록 독려하는 의미를 지닌 것 같다.

입춘의 세시풍속 속에 담겨진 의미들은 예나 지금이나 산업(농업)이 융성하고 나라가 편안하며 집안에 재물을 비롯한 복을 받기를 기원하는 소박한 기원들이 담겨져 있다. 복을 기다리고 복 받기를 좋아하면서도 복 짓는 데는 좀 소홀(?)했던 것이 아닐까.

언제나 우리 나름의 인사말대로 “새해에는 복 많이 지으십시오.”

김형춘 香岩 (반야거사회 회장, 창원전문대 교수)글. 월간반야 2008년 2월 제87호

임오년의 서원

‘올해는 복 많으라 뜻대로 살아지라/ 남북에 나뉜 형제 얼싸안고 일어서라/ 향 피워 두손 모으며 하늘 우러 고하네/ …’ 월하 (月下) 이태극 님의 새해맞이 시조 ‘영신부(迎新賦)’의 일부다. 이 글이 쓰여진 지가 얼마나 되었을까. 그래도 이 원을 이루지 못함은 무슨 연유일까. 또 해가 바뀌어 이 시를 되뇌어본다. 앞으로도 또 얼마나 긴 세월동안 이 시가 생명력을 지닐지 걱정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시간에 쫓기고, 일에 밀리고, 돈에 쪼들리며 산다. 사람을 만나려고, 사람을 피하려고 정신 없이 뛴다. 피로회복제를 마셔가며, 보약을 달여먹으면서, 심지어 자기 팔에다 스스로 영양제를 주사하면서 말이다. 이렇게 살다보니 정말 꽃향기를 맡아본 적도, 누구를 사랑해 본 적도, 밤하늘의 별을 바라볼 여유도 갖지 못한다.

그러다 해가 바뀌어 ‘입춘대길 여의(立春大吉 如意), 건양다경 형통(建陽多慶 亨通)’ 등 입춘방이 나붙으면 다시 정신을 가다듬고 새해의 원을 세우고 성취를 빈다. 제발 이 해에는 보통사람들의 소박한 기원이 외면당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는 ‘하심(下心)의 중도(中道)’를, 가정적으로는 ‘건강한 화목’을, 직장에서는 ‘화합의 바탕 위에 변화를 통한 창조’의 원을 세웠지만, 그보다 나라와 우리 사회가 더 걱정되는 것은 비단 나 혼자만의 기우일까.

최근 노동계나 정치계의 불안한 모습을 보면서, 지방선거ㆍ국회의원 보궐선거ㆍ교육위원 선거ㆍ연말의 대통령 선거 등의 즐비한 선거에다, 월드컵ㆍ아시안게임 등 국제행사 까지 겹쳤으니 이 해를 무사히 넘겨야 할텐데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엎드려 바라건대 정치하는 사람들은 ‘원칙 있는 정치’를 하여 보통사람이 수긍할 수 있도록 해 주길 빈다. 나라의 백년대계를 맡고 있는 교육부 장관이 4년에 7명이나 바뀌어 평균수명이 8개월이란 기록을 부끄럽게 여겨야 한다. 가장 국민이 우려하는 경제도 ‘도덕성’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최근엔 경제계 일각에서 참회론 까지 나오는 걸 보면 기대해 봄직도 하다.

특히 우리 교육은 ‘인격 있는 교육’으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 교육현장이 난장판이니, 놀자판이니, 죽을판이니, 미칠판이니 하여 총체적으로 ‘깽판’이라는 비아냥거림을 들을 때는 당장이라도 교단을 떠나고 싶지만, 그대로 두면 국가와 국민만 ‘죽을판’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끝으로 우리 종교계도 세속화를 막아야 한다. ‘희생이 있는 종교’가 되어야 한다. 옛 어른의 말에 ‘월계부족(月計否足) 세계유여(歲計有餘)’란 말이 있다. 당장 눈앞의 현실적인 계산으로는 부족하고 손해가 될지 모르지만, 멀리 앞을 내다보면 득이 되고 이익이 된다는 뜻이리라. 조금은 여유를 갖고 손익을 따지지 않는 보시하는 삶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말이다. 더불어 올해엔 우리 종단에서도 진정 나라와 겨레의 사표가 될 새 종정이 탄생하실 것을 기대해 본다.

넉두리가 길어지면서 욕심이 묻어 나온다. 무명의 업보 속에서 생사에 유전하고 있는 중생의 고통과 슬픔을 부처님의 대자대비한 본원력을 의지해 치유하고 나아가 불국정토의 이상이 실현되도록 하는 간절한 염원이나 가슴깊이 새기련다.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2년 3월 (제1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