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은 어떤 좌석에서 어떤 주제의 이야기가 나와도 허술한 사람을 보기가 힘들다. 다들 한마디씩 거들지 않는 사람이 없다. 정치든 경제든 사회든 교육이든 국제정세든 간에 저마다 전문가처럼 말한다. 다들 자기 나름의 주장이 분명하다. 여기엔 기본적으로 교육의 영향도 있겠지만 매스컴의 영향도 크다고 본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는 다른 매스컴보다 인터넷의 영향이 그 무엇보다 큰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일컬어 ‘인터넷에 길들여졌다’ 또는 ‘인터넷에 중독되었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러다 보니 크게 깊이 있고 체계적인 지식은 아니지만 간단히 한마디씩 던지는 말로서는 일견 전문가와 구분이 힘들 수도 있다.
인터넷의 위력은 지난 날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문’ 때 우리가 직접 경험하지 않았는가. 순기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역기능도 또한 만만찮다. 지난 달 중순 모 일간지의 기사에서 읽은 이야기다. 미국 미시간대학 의과대학 교수이자 블로거(blogger)인 ‘브루스 프리드먼’은 이제 더 이상 톨스토이의 장편소설 「전쟁과 평화」는 못 읽겠다고 털어놨는데, 이유인즉 ‘인터넷에서 수많은 단문(短文) 자료들을 훑다보니 생각하는 것도 스타카토(staccato)형이 되었다’며, 블로거에서도 3~4단 정도의 단락이 넘는 글은 이제 부담스러워 건너뛰게 된다고 하소연하였다는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에 중독되다시피 한 사람들은 인터넷의 여러 기능 중에서도 수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찾아주는 검색기능에의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때는 우리가 일상의 문제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화두가 ‘Know how(어떻게 해야 하지?)’였는데, 작금의 정보화사회에서는 ‘Know where(지식 정보가 어디에 있지?)’로 바뀌었으니까 그 정보를 찾기 위하여 책을 뒤질 필요도 없고 얻은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애쓸 필요도 없이 인터넷에 들어가면 모든 것이 한꺼번에 해결된다. 요즈음 우리 사회에서도 검색엔진이나 웹사이트가 다른 정보채널과 마찰을 일으키는 일이 허다하다. 그러나 이들의 목표는 분명하다.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 ‘구글(google)’의 창업자인 세르게이 브린은 ’세계의 모든 정보를 우리의 뇌 혹은 그보다 더 영리한 인공두뇌에 직접 연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
문제는 이렇게 해서 인터넷에 중독된 인간의 두뇌가 ‘생각하고 고뇌하고 사색하는 인간의 기능’을 앗아간다는 사실이다. 골치 아프게 생각하고 책을 뒤지고 선지식에게 물어보고는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인간 본래의 모습과 사유방식을 변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시체말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가 아닌 ‘나는 검색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인간의 두뇌작용과 사유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려고 하는 IT혁명은 지금까지의 깊이 있고 폭넓은 사고를 통한 인간 대신 어쩌면 사유공간이 좁아진 얄팍한 인간형을 새로이 탄생시키지나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최근 학생들의 과제물이나 취업 때의 자기소개서도 고민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 들어가 이미 다양하게 만들어진 것 가운데서 자기 기호에 맞는 것을 고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현대와 같이 속도 개념 즉 촌각을 다투는 시간을 생명으로 하는 시대에선 누가 더 빨리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활용하는가 하는 것도 삶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다 보니 사람의 성격도 경박하고 조급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 ‘참고 견디며 기다릴(堪忍待)’ 줄 아는 인간의 미덕이 사라질까 두렵다. ‘대집경(大集經)’에서 부처님께서는 ‘인욕(忍辱)은 세상에서 가장 으뜸가는 것이니 안락에 이르는 길이다. 인욕은 몸을 지켜주니 성자의 기뻐하는 바다….’ 라고 하셨으니 인터넷을 통해 조금 빨리 이루고 남보다 앞서 가려고 하는 것이 오히려 영원한 안락과 깨달음을 저해한다면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
김형춘 香岩(반야거사회장, 창원전문대 교수) 글. 월간반야 2008년 8월 제9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