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덕굴 (普德窟)

(1) 경상북도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 대아산에 있는 절. 석천암에 딸린 암자. (2)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장연리 금강산에 있는 절. 627년(신라 진평왕 49) 보덕 창건. 1115년(고려 의종 10) 회정(懷正) 중창. 1540년(조선 중종 36) 나라에서 중수. 1808년(순조 8)에 율봉 중수. 표훈사에 딸린 암자.

십구장원통기 (十句章圓通記)

2권. K-1507, · . 고려(高麗)시대에 균여(均如: 923-973)가 저술하였다. 그 후 천기(天其)가 1226년 봄에 계룡산(鷄龍山) 갑사(岬寺)에서 찾아내었으며, 1250년에 판각하였다. 줄여서 『십구장기』라고 한다. 중국 화엄종의 제2조인 지엄이 『소요의(疏要意)』 5권을 짓고 그 첫머리에 10구(句)를 적어 놓았는데, 신라의 법융(法融)이 이것을 가지고 『십구장』을 지었다. 그리고 이 『십구장』을 주석한 것이 균여의 『십구장원통기』이다. 균여는 이 책에서 『십구장』의 본문을 ‘장왈(章曰)’이라 하여 그대로 인용한… 십구장원통기 (十句章圓通記) 계속 읽기

공처 (空處)

(1) 무색계는 순 정신적인 세계이고, 물질적 존재의 세계가 아니므로 공처라 하고, 4처의 구별이 있으므로 공처라 함. (2) 공무변처(空無邊處)의 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