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 (餓鬼)

범어 폐례다(preta, ??多)를 뜻으로 번역한 것. 폐려다(閉戾多 · 閉黎多) · 비례다(?禮多 · ?禮多) · 비리다(卑利多) · 피례다(??多) · 미례다(彌?多) · 폐례(??)라 음역. 파리어로 폐다(閉多, peta). 티베트어로 이다구(yidwage). 폐례다는 죽은 이란 뜻인데, 귀(鬼)라 번역한 것은 중국에서 죽은 이의 영을 귀신이라 한 까닭. 또 비제리(卑帝梨)라 함은 아버지 · 할아버지라는 뜻인데, 인도에서는 선조의 영혼을 봉사하지 않으면 그 영혼은… 아귀 (餓鬼) 계속 읽기

바수밀 (婆須蜜)

ⓢ Vasumitra 화수밀(和須蜜) · 바수밀다(婆須蜜多) · 바수밀다라(婆須蜜多羅) · 벌소밀달라(筏蘇蜜?羅)라 음역. 천우(天友) · 세우(世友)라 번역. 북인도 건타라국 사람. 불멸 후 600년(56) 가니색가왕 때에 가습미라국에서 『대비바사론』을 편찬하던 제4 결집 때에 상좌(上座)로 활약하였다. 학식이 풍부하여 당시에 존중히 여기던 법구 · 묘음 · 각천과 함께 바사사대론사(婆沙四大論師)의 하나. 저서 『이부종윤론』 1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