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스님─팔만 사천의 병을 가진 것이 중생

“팔만 사천의 병을 가진 것이 중생”

해안스님

부처란 무엇을 가리킨 말인가.

부처란 형상이 있는 것도 아니요 형상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부처란 영혼이 있는 것도 아니요 영혼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부처란 아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요 아닌 것 없는 것도 아닙니다.

공한 것이 부처가 아니요 공한 것 아닌 것도 부처가 아닙니다.

부처란 사람도 아니요 신도 아니요 범천도 아니요 성현도 아니요 각(覺)도 아니요, 부처란 실로 부처도 아닌 것이 ‘부처’입니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일체 모든 상(相)을 여의어사 본 이름이 부처’라고 하였고, 또 법성게에도 ‘구래(久來)로 등하지 않는 것이 이름이 부처’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부처가 어떻게 설법을 하였을까하고 의심을 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부처는 설법을 할 줄 모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만약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면 곧 그 부처를 비방한 것이요 능히 나의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하는 소리’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여러분은 석가여래가 사십구 년 설법하신 것은 천하가 공지(共知)하는 바요, 팔만 사천 대장경이 증명하는 바요, 불교 역사가 뚜렷이 입증하고 있거늘 이것이 부처의 설법이 아니면 누구의 설법이냐고 반문하실 것입니다.

물론 그렇습니다.

이것은 석가세존의 설법입니다.

석가가 인간의 한 사람으로서 생.노.병.사의 무상을 느끼고 이것을 초탈하기 위해서 육년간 설산에서 수도하신 끝에 마침내 정각을 이루어 부처가 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부처가 되신 석가는 부처의 자리에 주(住)하여 있지 않고 다시 중생의 세계로 발길을 돌이켜 중생의 몸으로 중생과 함께 괴로워하고 중생과 함께 울고 함께 밥을 먹고 중생과 함께 옷을 입고 하였습니다.

부처는 가고 오고 앉고 눕는 것이 아니거늘 석가는 중생과 같이 가고 오고 앉고 눕고 하였습니다.

부처는 입이 없는 것이거늘 석가는 사십구 년이나 장광설로 사자후의 무진(無盡) 법문을 설하였으니 이것은 오직 환(幻)과 같은 대비(大悲)의 지혜로써 괴로워하는 모든 중생을 건지기 위하여 고뇌 망상의 탈을 쓰고 일대극을 연출하신 석가 세존의 설법이지 부처의 설법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이 점에서 우리는 석가 세존 앞에 더욱 뼈저리게 감사하고 머리 숙여 경찬하고 싶고 그 위대한 덕상(德相)을 앙모(仰慕)하는 바이며 그 넓으신 대원의 바다에 들어가 목욕하고 싶은 것입니다.

다음에 중생이란 무엇인가.

중생이란 한마디로 병든 사람을 가리킨 말입니다.

어째서 중생이란 모두 병든 사람이란 말인가.

중생이란 모두 체(滯)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어째서 중생은 모두 체한 사람이냐 하면 중생은 보면 보는대로 보는 병에 걸리고 들으면 듣느대로 들리는 병에 걸리고 육진 경계(六塵境界)에 부딪치면 부딪치는대로 모두 병을 이루고 말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산을 보면 산에 걸리고 물을 보면 물에 걸리고 종소리를 들으면 종소리에 걸리고 북소리를 들으면 북소리에 걸려서 통하지 못하고 막히기 때문에 천차 만별의 전도(顚倒)되는 병을 이루어서 하나도 병 아닌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뿐만 아니라 큰 것은 커서 병이요, 작은 것은 작아서 병, 긴 것은 길어서 병이요, 짧은 것은 짧아서 병, 유(柔)한 것은 유해서 병이요, 강한 것은 강해서 병, 미련한 놈은 미련해서 병이요, 영리한 놈은 영리해서 병, 낳은 놈은 낳아서 병이요, 죽은 놈은 죽어서 병, 이와 같이 팔만 사천의 병을 가진 것이 중생의 병이라는 말입니다.

이리하여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이 무량무수의 많은 중생들이 하나도 병 없는 놈이 없다는 말입니다.

어째서 이런 것들을 모두 병이라고 하는가 하면 큰 것은 크기만 하기 때문에 작게 쓸 수가 없고 작은 것은 작기만 하기 때문에 크게 쓸 수가 없고 강한 것은 강하기만 하기 때문에 유하게 쓸 수 없고 유한 것은 유하기만 하기 때문에 강하게 쓸 수 없고, 미련한 놈은 미련해서 답답하고, 영리한 놈은 영리하기 때문에 너무 지나치고, 있는 놈은 있기 때문에 도둑이 두렵고 없는 놈은 없어서 구차하고, 낳은 놈은 낳기 때문에 죽음의 고가 있고 죽는 놈은 죽기 때문에 또 다시 생의 고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한량없는 병들을 가진 중생이기 때문에 중생이란 말은 병든 사람이란 말입니다.

다음으로 설법이란 무엇인가.

설법이란 한 말로 해서 의사가 약을 쓰는 것과 동일한 것입니다.

의사가 약을 쓰는 방법이란 눈 아픈 사람에게는 안약을 쓰고 체한 사람에게는 소화제를 주고 머리 아픈 사람에게는 진통제를 주듯이 병에 따라 각각 약이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석가 세존의 설법도 일정하지 않습니다.

큰 놈은 큰 것이 병이기 때문에 작게 만들고 작은 것은 작은 것이 병이기 때문에 크게 만들고, 어두운 놈은 어두운 것이 병이기 때문에 밝게 만들고 굽은 놈은 굽은 것이 병이기 때문에 곧게 만들고 낳은 놈에게는 무상을 일러주고 죽은 놈에게는 불멸을 깨치도록 하는 등 하나도 일정한 설법이 없는 것이 석가 세존의 사십구 년간 설법이란 말입니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정한 법없는 것이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 가장 잘 사는 법’이라 하였고, 또한 ‘가히 설할 바 정한 법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불법은 중도(中道)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중도라고 하는 것은 상.중.하의 숫자에 떨어지는 중이 아닌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한 가지 알아 두어야 할 것은 백천 강하(百千江河)가 바다에 들어가면 짜고 싱겁고 맑고 탁하고 깨끗하고 더러운 차별이 없이 오직 바닷물 하나가 되어 버리고 마는 것과 같이 팔만 사천의 무량법문도 정각의 적멸바다에 들어가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 하나가 되고 만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또 이 하나라는 것도 일, 이, 삼, 사의 숫자가 아닌 것을 아시기 바랍니다.

이것으로 부처는 무엇이고 중생은 무엇이고 설법이란 무엇인가를 아시리라 믿습니다.

월호스님─ 발원 중의 발원 ‘법륜을 굴리겠습니다_’

발원 중의 발원, ‘법륜을 굴리겠습니다.’

-월호스님-

불교는 자각의 종교이다.

자각에 이르기 위해서 자력과 타력을 함께 쓴다.

자력과 타력을 함께 쓰는 비결이 있다.

그것은 바로 발원이라고 한다.

발원 중의 발원이 바로, ‘법륜을 굴리겠습니다.’이다.

‘법륜을 굴리겠습니다.’라는 발원을 세우면 5가지 공덕이 있다.

첫째는 인생의 목표가 바로 선다.

능동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구걸형에서 벗어나서 능동적인 삶을 살게 되는 비결 ! 둘째는 가피를 흠뻑 받는다.

셋째는 공부가 잘 된다.

넷째는 가족이 잘 된다.

다섯째는 열심히 살되 애착이 없게 된다.

열심히 살되 애착하지 않을 수 있는 비결이 여기서 나오는 것이다.

불교는 중도 사상이다.

그래서 누구나 자기의 가능성을 무한히 활용해서 써 나가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열심히 살되 애착하지 않는다.

야~~~ 이거 쉽지 않을 것 같죠? 어떻게 열심히 살지만 애착하지 않을 수가 있느냐? 바로 법륜을 굴리겠다는 발원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왜냐? 일반적으로 사는 사람들은 나를 위해서, 내 가족을 위해서 열심히 산다.

그러나 이 발원을 세우면 열심히 살지만,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열심히 살기 때문에 저절로 무아법에 통달하게 되는 것이다.

나를 위해서 열심히 사는 것이 아니라,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열심히 사는 것이다.

밥을 먹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잠을 자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돈을 버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일을 하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이렇게 하다 보면, 저절로 무아법에 통달해진 참다운 보살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능허스님─ 천수경은 관음신앙의 핵심

천수경은 관음신앙의 핵심/능허 스님⊙ 부처님은 빛으로 오시지만, 보살은 음성 즉 파장으로 우리 곁에 오신다고 했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들의 할머니, 어머니들은 큰 어려움이 있든, 없든 간에 “관세음보살”이라는 명호를 불러왔으며, 우리들도 언제부턴가 무의식중에 되뇌곤 합니다.

그만큼 친숙한 신앙의 대상이며 또한 그 만큼 가피를 입어왔다는 증거일 것입니다.

어느 곳 어떤 상황이든 소리로서 부르기만 하면 언제든지 다가와 구호의 손길을 뻗어 고뇌로부터 건져주시는 분! {보왕경}에 이르시기를 “이 법계에 한 사람이라도 불행과 고뇌에 빠져있는 한 나는 결코 열반의 문에 들지 않으리라”고 하였습니다.

불교신자라면 누구나 가장 가까이서 가장 친숙하게 정신을 모아 올리는 기도가 관음기도이며 의례히 읊조리는 경이 천수경입니다.

가장 가까이서 가장 흔히 읊조리는 이 경의 내용이어떠한지를 알고 독경한다면 기도하는 마음가짐이 더욱 경건할 것이며, 가피 또한 더욱 빠를 것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을 것입니다.

나아가서 우리는 이 경에서 마땅히 대자비심을 배우고 무상보리심을 배우며 보살도를 닦아 일체 중생을 구호하는 큰 지혜와 힘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이 경을 배우는 사람은 분명히 수승한 인연을 성취한 분이십니다.

이 경에서 부디 대비대원 무애위신력을 성취하시어 대보살로서 정법의 구현자가 되기를 발원합시다.

“盲龜遇木(눈먼 거북이가 나무판자를 만남)”이라 했던가? 불법과 인연을 맺음이 얼마나 만나기 어렵고 소중한지를 여러분들과 함께 귀한 시간을 만들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