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경스님─수행은 거문고 줄을 다루듯이

수행은 거문고 줄을 다루듯이

-보경스님-

道, 속도보다 진솔한 자세 중시 한 사문이 어느 날 밤에 가섭부처님의 (유교경)을 외우는 중이었는데, 그 소리가 슬프면서도 급하고 회한에 가득 차 물러서려는 것처럼 들렸다.

부처님께서 사문에게 물으셨다.

“너는 출가하기 전에 집에 있을 때는 무슨 일을 하였느냐?” 사문이 대답했다.

“저는 거문고를 즐겨 탔습니다.” “거문고 줄이 느슨하면 어떻게 되는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거문고 줄이 너무 팽팽하면 어떻던가.” “줄이 끊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팽팽하지도 느슨하지도 않으면 어떤가.” “모든 소리가 제대로 나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문이 도를 배우는 것도 이와 같다.

마음이 적절하고 조화로우면 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도에 대하여 너무 급한 생각을 내면 몸이 피로해지고, 몸이 피로해 지면 마음에도 싫증이 나고, 생각에 싫증이 나면 번뇌가 일어나 수행에 퇴굴심이 생기게 된다.

수행에 퇴보가 일어나면 죄업만 더하게 된다.

마음이 항상 청정하고 즐거워야 도를 잃지 않을 것이다.” 너무 급하면 몸이 피로해져 싫증나고 퇴굴심 생기게 돼 삶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가 가진 재능은 천차 만별이어서 일정한 척도를 가지고 말하기도 어렵다.

일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느냐의 관건은 첫째가 재능 이라면 둘째는 그 일에 대한 집중력의 여부일 것이다.

이는 선천적인 면과 후천적인 면에서 가장 우선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수행도 마찬가지어서 사람의 근기가 있고 원하는 수행방법에도 편차를 보인다.

여러 사람이 길을 나서도 빨리 가고 싶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느리게 가고 싶은 사람이 있다.

그런데 누가 멀리 갈 수 있는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우리 몸은 자신이 겪어내는 환경에 따라 단련되어진다.

트레이닝에 있어서 기본적인 규칙은 절대적인 연습량은 줄이더라도, 휴식은 이틀 이상 넘기지 않는 것이라 한다.

근육은 잘 길들여진 소나 말 같은 사역동물과 비슷하여 주의 깊게 단계적으로 부담을 늘려 나가면 그 훈련에 견딜 수 있도록 적응해가는 이치이다.

수행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극복해가는 먼 과정이다.

최근에 내가 좋아하는 무라카미 하루끼의 산문집을 즐겁게 읽었다.

아마추어 마라토너이자 마니아인 그가 올림픽 마라토너인 1980년대 세계 마라톤의 영웅이었던 세코 도시히코(보스턴 마라톤 2회, 런던 및 시카고 마라톤 대회우승 등)에게 달리고 싶지 않을 때, 달리기를 그만 두고 집에서 잠이나 자고 싶어지는 때는 없는지 물었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당연하지 않습니까, 늘 그렇습니다!” 인간의 불행은 모두 중심을 벗어난 데서 비롯된다.

밸런스와 규칙을 어기고서 삶을 도모할 수 있던가.

삶은 실재의 다른 말이다.

우린 어차피 살아가야하고, 그 가운데서 절절할 수만 있다면 즐거움이 일어난다.

즐거움은 조화로운 삶의 자세가 가져오는 축복이다.

이도 하나의 도이다.

불행은 지옥 같은 삶이다.

지옥은 우리를 지치게 하고 좌절하게 만든다.

지옥은 불균형의 상태이다.

따라서 지옥은 정상에서 가장 멀리 벗어난 세계이고 극락정토는 가장 조화롭고 정상적인 세계라 할 수 있다.

어디를 가고 오며, 무엇을 얻고 잃으며, 어떤 삶을 영위하느냐의 문제는 균형감각에서 기인함을 잊지 말라.

크건 작건, 도는 진솔한 자세를 중시한다.

속도를 잊으라.

혜남스님─본분 잃지 말고 주인으로 살라

‘적멸’에서 오신 부처님 싯달타 태자의 몸으로 이 땅에 오신지 80년, 깨달음을 이루고 45년간 중생 교화에 나섰던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기원전 544년 2월15일 열반에 들었다.

슬픔에 젖은 아누룻다가 게송을 읊었다.

‘무위(無爲)에 머무시는 부처님 / 나고 드는 숨결 멈추시도다 / 본래 적멸에서 오신 부처님 / 신비로운 광채 이곳에서 거두시도다’ 사진은 인도 아잔타 석굴 제26굴의 열반상.

불교신문 자료사진

***“본분 잃지 말고 주인으로 살라” *** 열반재일 특별기고 / ‘마음은 항상 열반에 두고’

3월7일은 음력 2월 보름으로 부처님의 열반 2556주기를 맞는 날이다.

열반(涅槃)이란 범어 ‘니르바나’를 발음대로 번역한 말로서 멸(滅) 적멸(寂滅) 멸도(滅度)등 으로 번역하는데 본래의 뜻은 ‘불어끈다’는 뜻으로 ‘취멸(吹滅)’이라고도 한다.

즉 타오르는 번뇌의 불길을 끄고 위없는 깨달음의 경지 즉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한 상태를 말한다.

불교의 4대명절의 의미를 북방불교의 전통에 따라서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음력 4월8일은 인간 싯다르타의 탄신일이고 2월8일은 출가하여 ‘구담’이라는 사문이 된 날이며 12월8일은 도(道)를 이루어 깨달은, 즉 부처님이 된 날이다.

부처님은 태어남도 열반도 오직 중생을 위한 것… ‘청정한 법신’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지만 대자비 원력으로 시현해 보이는 것… 그러나 소승불교의 교리로 보면 비록 부처님 이라고 하더라도 완전히 번뇌의 불길을 다 끄지는 못했음으로 아직 유여열반(裕餘涅槃)의 상태이고 이 육신까지 버림으로서 비로소 미세한 번뇌까지도 완전히 소멸한 무여열반(無餘涅槃)을 성취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의미에서 열반을 불자들이 가장 이상적인 최고의 경지로 여기는 것이다.

불교의 기원은 그리스도교와 같이 교조의 탄생일을 기원으로 삼지 않는다.

또 이슬람교가 그들의 메카에 들어간 날을 기념하여 기원으로 삼듯이 성도하신 날이나 전도 선언을 하신 날을 기원으로 삼지도 않고 열반하신 날을 기원으로 삼는다.

후대에 중국의 선사들이 이해하는 열반이란 부처님의 입장에서는 열반이라는 것이 고요하고 적멸하여 아무 것에도 머물지 아니하지만 인연 따라 중생을 구제함으로 “생사(生死)에도 머물지 아니하고 열반에도 머물지 아니한다” 고 한다.

하지만 중생의 눈으로 보면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이후에 그 모습을 다시 볼 수 없음으로 현대어로 번역할 적에 일부의 학자들은 “거룩한 죽음”이라고 표현하고 큰스님들의 죽음을 ‘원적(圓寂)’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열반의 한 뜻이다.

탐진치 삼독심 번뇌망상 놓아버리고 이웃위해 열심히 노력하되 마음은 열반에 있어야 한다 혹은 ‘시적(示寂)’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본래 부처님은 생사를 초월하신 분이지만 중생을 교화하시기 위하여 세상에 출현하는 모습을 나타내 보이고, 중생들에게 그리워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그 자취를 감추는 모습을 보인다는 뜻이다.

즉 ‘부처님은 태어나심도 열반에 드심도 오직 중생을 위함’이라고 했다.

그래서 옛 어른들이 “청정한 법신(法身)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지만 대자비 원력으로서 생사(生死)를 시현하여 보인다” 고 말씀했다.

그렇다면 진정한 의미에서 부처님의 출가절에서 열반절까지를 뜻있게 보내기 위해서는 경건한 마음으로 마음속의 탐진치 삼독심을 버리고 일체의 번뇌망상을 놓아버리고 각자가 처한 장소에서 자기의 본분을 잃지 않고 주인으로 살면서 불교를 위하여 이웃을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되 마음은 항상 열반에 머물러야 할 것이다.

[불교신문]

혜국스님─“오직 자기 자신만이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있지 않은가”

“오직 자기 자신만이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있지 않은가”

-혜국스님-

“불호노신(不好勞神)커든 하용소친(何用疎親)가”, 정신을 괴롭힘이 좋지 않거늘 어찌 성기고 친함을 쓸 것인가, 친하고 멀리함이 있어서 정신을 괴롭힌다는 이 말은 평등성인 우리 본마음을 모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평생 동안 자기 스스로 정신을 괴롭힙니다.

거의 혹사시키는 정도입니다.

몸은 피곤하면 쉬어주기도 하고 아프면 치료받기도 하지 않습니까? 그러나 우리 정신은 몸이 쉬는 휴식시간에도 계속 괴롭힘을 당합니다.

그런데 정신은 다른 사람이 괴롭힐 수가 없는 겁니다.

오직 자기 자신만이 괴롭힐 수가 있는 것이지요.

그러니 정신을 괴롭히고 괴롭히지 않는 것은 남의 탓이 아니고 순전히 내 탓입니다.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를 가슴에 부여잡고 놓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수시로 다시 생각하고 반복하면서 정신을 괴롭히는데 주로 인간과의 관계에서만 그렇습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어렸을 적 한반도를 지나간 ‘사라호’라는 태풍이나 몇 년 전 ‘매미’라는 큰 태풍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입힌 피해는 대단했습니다.

그러나 그 태풍을 상대로, 태풍을 부여잡고 소송을 하거나 다투느라고 정신을 괴롭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 말은 지나간 태풍은 이미 지나갔기 때문에 마음에 붙들고 있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생각에서 내려놓았다는 말이지요.

생각에서 놓아 버리면 정신을 괴롭힐 일이 없습니다.

내 마음의 상처로 남아 있어서 정신을 괴롭히고 있다는 얘기는 내 자신이 과거를 붙들고 있으면서 놓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내 마음의 상처나 분노는 모두가 내 자신이 붙들고 놓지 못하는 내 감정이라는 말입니다.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사를 붙들고 환영과 싸우고 있는 것이지요.

한번 지나가 버린 강물에 두 번 다시 손을 씻을 수 없다는 말과 같이 이미 지나간 일은, 사실은 현재에 없는 일인데 우리가 환영에 속는 것입니다.

태양 빛이나 대지는 악한 사람이나 선한 사람이나 친하고 성긴 게 없습니다.

텅빈 상태로 좋다, 나쁘다는 분별이 없는 것이지요.

그런 까닭에 허공은 믿음 그 자체라 좋다, 나쁘다 하는 생각자체가 아예 일어나지 않는 겁니다.

무심(無心) 상태이니 이렇게 믿는 게 참 신뢰요, 참 믿음입니다.

우리 마음도 이와 같이 된다면 친하고 성김만 없는 게 아니라 정신을 괴롭힐 생각 자체가 없어진다는 진리의 말씀입니다.

이런 가르침은 우리에게 있는 소중한 보배를 보여주는 길이요, 언제 깨달아도 깨달아야 할 내 본래 고향소식입니다.

그 다음으로 “욕취일승(慾趣一乘)이어든 물오육진(勿惡六塵)하라”, 일승(一乘)으로 나아가고자 하거든 육진(六塵)을 싫어하지 말라, 정신을 괴롭히는 원인은 육진을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일승과 육진은 경계가 없습니다.

상대적인 개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먼저 육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 태어날 때 눈과 귀, 코와 입, 몸과 의식 이렇게 여섯 가지 육근(六根)을 구비하고 나옵니다.

이 가운데 몸에는 팔, 다리 육체적인 모든 부분이 포함되어 있겠지요.

이 여섯 가지를 육근이라고 하고 육근에서 작용이 일어나면 눈(眼)은 색(色) 즉 경계를 보고, 귀(耳)는 소리를 듣고, 코(鼻)는 향기를 맡고, 입(舌)은 맛을 보며, 몸(身)은 촉감을 느끼고, 의식(意)은 온갖 생각을 일으키게 합니다.

주관인 육근이 만나는 객관 즉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 여섯가지 상대를 육진(六塵)이라고 합니다.

사족을 붙여 설명하자면 육근이란 외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눈과 귀, 코와 입, 몸까지 다섯 가지와 내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의식(意識)으로서, 이 여섯 가지 주관을 육근(六根)이라고 하는 겁니다.

이렇게 외부에서 받아들이는 정보 즉 다섯 가지 오근은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으로 이렇게 다섯 가지 경계로 받아들이고 내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의식은 온갖 삼라만상이라는 현상계 즉 일체 세상법으로 받아들여서 판단하고 정리하는 겁니다.

그런데 판단하는 의식이 사실 있는 그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과거에 자기가 축적해 놓은 경험 즉 업(業)에 의해서 판단하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그 판단이 자기 중심적으로 되는 것이 문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외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눈과 귀, 코와 입, 몸 다섯가지 오근(五根)이 받아들이는 정보를, 내부의 식(識)인 의근(意根)은 과거의 습관화된 잠재의식에 의해서 판단하고 결정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자기가 익힌 습관 즉 업(業)에 의해 판단하기 때문에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이 되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육근(六根)이란 업(業)의 그림자요, 육진(六塵)이란 육근(六根)의 그림자입니다.

거기에서 더 나아가 주관인 눈(眼)이 객관인 색(色)을 만나면 좋다, 나쁘다 하는 분별을 일으킵니다.

또는 ‘저산에 핀 들국화가 흰색이다, 보라색이다’ 라고 분별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귀(耳)로 음악을 듣고 있다고 할 때 그냥 듣기만 한다면 귀는 이근(耳根)이요, 소리는 성진(聲塵)인데 거기에서 이 음악소리는 클래식이다, 이 소리는 판소리다, 아니면 흥타령이다 하고 분별하는 식(識)이 나오게 되는 겁니다.

이러한 분별이 내 잠재의식에 익힌 습관에 따라 좋다, 나쁘다 하는 분별식을 만들고 나아가서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따른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이러한 육식(六識)이 생기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육근(六根), 육진(六塵), 육식(六識)을 합해서 십팔계(十八界)라고 하는데 우리가 보고 듣는 모든 세계가 이 십팔계 안에 포함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 몸을 자동차라고 한다면 자동차가 달리는 것도, ‘빵빵’하며 소리를 내는 것도, 자동차를 정차해서 세우는 것도 모두 운전수가 하는 것이다, 운전수가 모든 걸 움직이니 운전수는 일승(一乘)이라고 생각하고 자동차는 육근(六根) 육진(六塵)이구나, 이렇게 생각하면 이미 알음알이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운전수와 자동차가 하나가 되어야 속도를 내고 달리는 자동차가 되는데 이때는 자동차와 운전수가 둘이 아닙니다.

운전수와 자동차가 하나로 되어 속력이 나오는 겁니다.

그러니 말을 하는 내 입장에서는 설근(舌根)인데 듣는 상대방 입장에서는 이근(耳根)이라고 하니, 이름만 다를 뿐 육근(六根)의 체(體)는 같을 수밖에 없는 겁니다.

신심명에서는 이 모든 말과 생각에서 이름이 끊어지고 마음길이 멸(滅)한 자리를 보여주시려고 이렇게 고구정녕(苦口丁寧) 가르치고 있는 겁니다.

오직 일승(一乘)의 세계를 깨닫게 하려고요.

“육진불오(六塵不惡)하면 환동정각(還同正覺)이라”, 육진을 싫어하지 않으면 도리어 정각과 같음이라 하는 이 말은 육진이 정각에서 나오고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귀(耳)라는 근(根)으로 누가 엄청나게 모함하는 소리를 들었다거나 아니면 눈(眼)이라는 근(根)으로 남이 토해놓은 오물이 내 옷을 더럽혔다고 해도 내 본질(本質), 내 근본(根本) 마음에는 모함당하거나 더럽혀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역력하게 보고 감정에 끌려가지 않는다면 바로 모든 육진은 육진이 아니라 깨달음의 작용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육진은 본인을 어떻게 할 수가 없는 겁니다.

이러한 이치를 성성적적(惺惺寂寂)이라고 합니다.

마치 바다에서 물거품이 천번만번 일어났다 꺼졌다 하더라도 바닷물 자체는 일어났다 꺼졌다하는 일이 본래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물거품 자체가 바닷물이라는 사실을 알면 생(生)하고 멸(滅)하는 사실 자체가 그림자임을 깨닫게 된다는 가르침입니다.

그렇게 볼 때 내안에서 육근, 육진을 통하여 일어나는 일체의 생각인 좋다, 싫다, 밉다, 곱다, 너다, 나다 하는 모든 분별은 바닷물에서 일어나는 물거품과 같다는 얘기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육진불오(六塵不惡)를 우리 삶에서 살펴보면 내 단점, 내 못된 성질이라는 물거품을 어떻게 다스려나가야 하는가 길이 보이게 됩니다.

각자 자기 자신의 단점이나 모자라다고 느끼는 그 생각을 자신의 본질이라는 바닷물에서 일어나는 물거품으로 보고 연기공성(緣起空性)을 깨달으면 그 길이 곧 길 없는 길입니다.

길 없는 길이란 말길이 끊어진 길입니다.

생각의 한계를 벗어난 길, 대자유의 길입니다.

그러나 대자유니, 생각의 한계니 말의 흔적이 있으면 이미 길 없는 길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옛 스승들은 말길을 끊어주고 마음길이 멸(滅)하게 하기 위하여 길 없는 길을 할(喝)과 방(棒)으로 보여주신 겁니다.

본 마음에서 보면 나의 모든 단점과 못된 성질까지도 모두 내 마음 본질에서 일어나는 파장일 뿐이요, 습관 일뿐입니다.

자기단점이라는 물거품은 싫어할수록 더 강해집니다.

바닷물을 휘저으면 물거품이 더 일어나는 이치와 같습니다.

자기단점을 사랑하도록 해보십시오.

누가 뭐라 해도 지금 이 성질이 나를 있도록 만들어준 소중한 나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 있을 수 있도록 나를 유지시켜 왔기에, 있는 그대로인 오늘의 나를 고맙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런 뒤 내 못된 성질이 일어나는 근본을 자세히 관(觀)해 보십시오.

바로 내 못된 성질이 내 본마음에서 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한 이치를 바로 보면 제법무아(諸法無我) 연기공성(緣起空性)인 참 나를 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옛 스승들은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본시 산에 사는 사람이라 산중이야기를 즐겨 나눈다.

5월에 솔바람 팔고 싶으나 그대들 값 모를까 그게 두렵네.” 여기서 산이 과연 어떤 산인가, 산중이야기가 어떠한 이야기인가? 한번 깊이 생각해 볼 일입니다.

그리고 5월에 솔바람 팔고 싶으나 모든 중생들이 믿지 못하는 게 참으로 안타깝다는 스승들의 대자대비를 느낄 수 있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그 느낌이 발심(發心)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