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탑스님─소원성취의 참뜻

소원성취의 참뜻

-한탑스님-

법장비구의 48대원 중 앞부분을 보면 아미타부처님이 소원을 세우시기를 ‘내가 세우는 세계는 원래 부처님생명을 살고 있으니 거기에는 삼악도가 없어지리다.’ 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삼악도는 남이 만들어준 것이 아니고, 우리들 마음에 있는 탐·진·치가 만드는 것이므로, ‘내가 있는 세계에는 삼악도가 없도록 하겠다.’ 는 말은 어떤 뜻이겠습니까? 바로 욕심을 버리라는 말입니다.

부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법문은 『너는 본래 부처님 생명을 살고 있어서 네 생명이나 내 생명이나 본래 아무런 차이가 없는데, 그만 ‘나는 중생이요.’ 라는 착각을 일으켰을 뿐이다.

그 마음과 그 착각하는 생각, 그리고 세상을 잘못 보고 있는 그 눈을 바꿔라.』라고 하십니다.

그러기 전에는 삼악도가 우리 앞에서 없어질 수가 없습니다.

삼악도가 없어진다는 말은 바로 내 마음이 바뀐다는 뜻입니다.

내가 욕심을 내고 성을 내고 남을 원망하는 마음으로 살더라도, 나는 극락에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착각입니다.

욕심을 내는 마음,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은 어두움인데, 그 어두움은 광명세계에 가면 없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어두움이 없어지는 것이지 광명세계에 갔는데 그 어두움에서 비롯된 소원이 성취되는 일은 있을 수 없습니다.

옛날 조사님들은 극락세계에 간다는 것을 ‘대혹왕생(帶惑往生)’ 이라고 했습니다.

‘대(帶)’ 라는 것은 휴대한다는 뜻이고, ‘혹(惑)’ 이라는 것은 번뇌 망상이니까, 번뇌 망상을 가진 채로 극락왕생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내가 번뇌 망상을 버리지 못해도 나무아미타불 부르면 극락에 갈 수 있다.’ 고 이렇게 해석들을 하지요.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극락세계는 광명의 세계입니다.

온 천지가 진리일원인 광명뿐인 세계입니다.

우리가 가지고 가는 번뇌는 바로 어두움입니다.

어두움을 가지고 극락을 갑니다.

부처님의 원력으로 극락까지 갑니다.

하지만 가기가 무섭게 그 어두움은 없어져버리는 것입니다.

“그래 너 여기까지 오느라고 애썼으니까, 네가 가지고 있는 소원이 뭐지? 아! 좋은 자동차를 사고 싶었구나! 그래 그 소원을 성취시켜주마!” 이렇게 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불교를 믿는 많은 분들이 ‘불교를 믿으면 소원 성취한다.’ 는 그 참뜻이 무엇인지를 모릅니다.

어떤 분은 저에게 “문사수법회는 내용이 참 좋은데, 왜 세상 살면서 좀 편하게 복을 받고 모든 소원을 성취하면서 사는 그런 기도는 안 해주십니까?” 라고 하시는 분이 간혹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법장비구 48대원은 부처님이 우리를 위해서 기도해 주신 내용의 총망라입니다.

말 그대로 본원(本願)인 것입니다.

이 본원이 바로 부처님이 우리에게 끊임없이 해주고 계신 기도입니다.

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항상 하고 계신 기도를 한 마디로 표현하면 ‘자타일시성불도(自他一時成佛道)’ 입니다.

『나와 남이 함께 부처되어지리다.』 이것이 바로 부처님이 세우신 발원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그런 원을 세워서 기도를 하시고 성불하셨습니다.

성불하셨다는 말은 그 소원이 모두 성취되었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다시 한 번 잘 생각해 보세요.

그 분께서 항상 기도하셨던 게 『이 세상의 모든 중생들과 더불어 부처되겠습니다.』라는 원을 가지고 수행 하신 결과로 부처가 되셨는데, 그러면 그분이 부처 됐을 적에 당신 혼자만 부처되셨다는 이야기입니까? 요새 정치하는 사람들이 선거 때 하듯이, 공약을 걸었다가 나중에 당선되고 나서는 ‘공약이라는 건 그때 표 얻으려고 그런 거지, 나하고 관계없어! 당선 됐으면 그만이다.’ 식으로 그렇게 하시는 부처님은 아니시겠지요? 그 분의 기도 원력으로 우리 모두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부처되실 때, 모두 이미 부처가 된 겁니다.

그러므로 우리 불제자들은 ‘나의 참생명은 부처님생명!’ 이라고 용기 있게 내세우고 사는 사람입니다.

부처님께서 우리를 향해 하고 계신 기도는 새삼스럽게 추구해야 하는 기도가 아닙니다.

부처님이 나를 위해서 일체 모든 소원을 성취시켜 주시는 기도인 것입니다.

이 성취된 기도를 그냥 우리가 받아들이는 게 바로 ‘나무아미타불’ 입니다.

‘나무아미타불!’ 을 부르는 것은 내가 먼저 부처님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이 나를 불러주고 계시는 소리를 듣는 것’ 이라고 누누이 말씀드렸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부르는 그 명호 속에 부처님의 광명이 끊임없이 비추어지고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하늘에 달이 떴는데 달이 보기 싫어서 한 십리쯤 뛰어서 도망을 갔습니다.

그랬더니 달이 ‘아이고, 내 여태 쫓아왔지만 십리 까지는 멀어서 못 쫓아가겠다.’ 하는 달을 봤어요? 십리 아니라 백리를 가도 달은 날 쫓아옵니다.

어디를 가더라도 쫓아옵니다.

그렇듯이 우리가 어디를 가더라도 아미타 부처님이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시겠다는 그 원력으로부터 도피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부처님의 광명이 미친다는 것은 부처님의 지혜광명이 나한테 들어와서 ‘아, 나도 나무아미타불 해야 되겠다.

나도 본래 생명인 부처님생명으로 돌아가야겠다.’ 그런 마음을 일으키게 되면, 누구든지 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아무런 근심걱정도 없게 됩니다.

모든 소원을 다 들어주신 게 나무아미타불인데 그것 말고 다른 무슨 기도를 또 합니까? 다른 기도가 있을 수 없습니다.

아미타 부처님의 마흔여덟 가지 원, 그곳에 부처님이 모든 중생을 위해서 기도하고 계신 원력이 다 들어 있습니다.

모든 공덕이 다 들어 있는 것입니다.

나무아미타불!

월서스님─선한 마음을 잊지 마라

선한 마음을 잊지 마라

-월서스님-

탐욕은 인간을 미혹한 삶으로 이끌어 수행 통해서만 ‘탐욕’ 씻어낼 수 있어

‘욕망을 최고의 반려로 삼는 사람은 오래도록 미혹의 세계를 헤맨다.

이 곳 저 곳으로 떠돌아다니며 미혹한 생을 되풀이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 미혹의 세계를 뛰어 넘을 수도 없다.

이와 같은 사람은 탐욕이 괴로움을 낳는다는 것을 알아 집착을 끊어야만 한다.’인간에게 가장 큰 괴로움은 탐욕으로부터 오는 속박이다.

이것은 사람의 마음을 잡아당기고 휘몰아 이로 인해서 인간을 미혹의 생으로 떠돌게 하는 원인이 된다.

부처님은 “나는 탐욕의 마음보다 더한 속박을 보지 못했다”고 설한 바 있다.

이는 탐욕의 마음이 인간의 마음을 악하게 만들고 미혹의 세계로 이끈다는 것을 염려하신 말씀이다.인간에게는 세 가지의 욕구가 있다.

‘식욕’, ‘성욕’, ‘수면욕’이다.

이 세 가지를 잘 다스리기만 해도 성불을 이룰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세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조차도 다스리지 못하면서도 인간은 또 다른 욕구인 탐하는 마음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이것이 인간을 미혹의 세계로 빠뜨리게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이다.

부처님이 우리에게 끊임없이 가르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를 탐하려고 하고,

소유하려고 하고 붙잡으려고 하는 ‘마음의 집착’을 끊어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집착은 나중에 자신도 모르게 최악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미리 부처님은

예견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이러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최상의 길은 무엇일까.

그것은 영화나 부귀에 홀리지 않고 인생의 뒷면에 흐르는 덧없음에 대한 무상(無常)을 깨닫는 것이다.

무상을 깨닫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덧없음을 깨닫는 데는 많은 고행의 순간을 겪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스스로 어리석음에 빠져 고통 속으로 헤매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순간, 순간을 잘못 살아왔기 때문인데 자기 것이 아닌 것을 소유하려하고, 자기 것이 아닌 것을 붙잡으려 하고, 자기 것인 아닌 것에 집착하는 마음이 자기 자신을 한없는 고통 속에 빠뜨리고 있다는 이 당연한 사실을 스스로 뉘우치지 못한 탓이다.

한국불교의 근대 고승이었던 효봉 스님은 인간이 고통 속에 헤매는 것은 인간이 가진 본래의 마음인 ‘착한 마음’을 버리기 때문이라고 하신 적이 있다.

아유일륜월(我有一輪月) 무영역무상(無影亦無相)

약욕견차월(若慾見此月) 선심절막망(善心切莫忘),

즉 “나에게 달이 하나 있으니 모양도 없고 그림자도 없네.

이 달을 보려면 착한 마음 잊지 말라”는 글귀이다.

모양도 없고 그림자도 없는 달이란 무슨 말일까.

모든 인간들이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지고 있는 줄까지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하기 그지없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되묻는 효봉 스님의 고담준령(高談峻嶺)의 말씀이다.

모든 인간들은 근본적으로 ‘달빛 같은 착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것조차 모르니 참으로 ‘어리석다’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부처님이 ‘집착을 끊고 무소욕의 삶을 살아라’하는 것이나 효봉 스님이 ‘착한 마음 잊지 말라’는 것도 은밀하게 보면 일맥상통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이렇듯이 어리석은 중생에 지나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순간, 순간을 노력 하고 정진하지 않고 오직 탐욕에만 눈이 멀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법철스님─15세 청상과부 이야기

15세 청상과부 이야기

-법철스님-

부처님을 모신 사찰에는 반드시 영단(靈壇)이 있기 마련이다.

고해중생이 천명을 다했거나 아니면 비명횡사를 하였거나 불문하고 고인을 추모하며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뜻에서 유족및 친지들이 사찰의 영단에 영혼을 모시는 곳이 영단이다.

영단에는 입적한 승려도 모셔져 있다.

영단에는 고인의 위패와 사진을 모실 수 있다.

나는 영단에서 잘알고 지내는 승려가 한 장의 사진으로 화하여 영단에 모셔져 있는 것을 볼 때마다 제행무상의 슬픔에 젖기도 하지만 초조한 마음이 된다.

죽기전에 부처님의 법교법을 널리 포교하고 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다.

나도 조만간 한 장의 사진으로 변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대개 위패와 사진은 고인의 49제를 지내고 난 후 유족및 친지들의 뜻에 의해 영단에 모셔지는데 해마다 기일이 되면 제사를 지내는게 상례이다.

사찰에 영단에 영혼을 모시면 조석으로 승려들이 예불독경과 함께 부처님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축원을 받게 된다.

또한 매년 불교의 명절 때가 되면 승려들이 합동으로 염불독경하며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를 받게 하게 되니 영혼인들 얼마나 복된 일인가.

해마다 모든 영혼들을 합동으로 극락왕생을 위한 제(祭)를 지내는 날이 음력 7월 ‘백중날’이다.

이날은 영혼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날이므로 불교신도들은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부처님전에 나아가 기원을 드리고, 영단에 모신 인연있는 영혼들을 준비해간 공양물을 차려놓으며 촛불을 밝히우고 향을 사루며 지성껏 왕생극락을 위해 기원한다.

이 날은 법당안에서 애도하는 호곡(號哭)소리도 들려온다.

그런데 영단에는 아무도 찾지 않는 위패나 사진이 있기 마련이다.

유족이 기독교로 개종하였거나 아니면 유족이 없는 영혼이다.

영단에는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빛바랜 고인의 사진처럼 슬픈것은 없을 것 같다.

나는 강진 무위사 영단의 구석에 아무도 찾지 않는 빛 바랜 사진 한 장을 발견하였다.

슬프게 웃는 백발의 노보살님의 얼굴이었다.

윤곽으로 보아 젊은 시절에는 미인었을 얼굴이었다.

나는 사찰에 오래 다니는 다른 노보살님에게 사진속의 인물에 대해 진지히 물어보았다.

노보살은 사진을 향해 합장하여 세 번 큰절을 올리더니 촉촉히 젖어오는 눈가를 주름진 손으로 훔치며 말했다.

“박보살님은 휼륭한 불도인이지요.” “어떻게 사셨는데요?” “그 이야기는 또 해야겠구먼.

나도 박보살한테 들었지요.

내가 죽고나면 누가 그 이야기를 할꼬?” “이야기를 들어보고 제가 세상에 알려드리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