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오스님─인연(因緣)이란 무엇인가

인연(因緣)이란 무엇인가?

-원오스님-

옛날 가르침에

“사람에게 인연이 있으면 쉽게 믿고,

법에 인연이 있으면 쉽게 깨달음에 들어 간다“고 하였다.

여기서 인연이란 무엇인가,

오랜 겁 동안 심었던 인(因)이 금일에 감응하는 것이다.

연을 만남은 불조 성현도

피하고자 했으나 피하지 못했다.

더구나 나머지 중생들은

더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동산연조스님께서는

“누구나 목전의 연을 따르게 마련이다”는

훌륭한 훈계을 남겼다.

이것은 바로 순종을 뜻하는 것으로서,

바르게 순종하여 흘러넘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자신으로부터 감응하여 나타나는 것을

업(業)이라 하고, 다른 것으로부터 감응하여

나타나는 것을 연(緣)이라 한다.

깨달은 사람은 한 과보(果報)의

연이 성숙됐다는 것을 알고

멀리 하려거나 얻으려 하지 않고,

기쁨.

슬픔에도 관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도리를 모르는 사람은

좋으면 구차하게 얼른 가지려하고,

싫으면 구차하게 얼른 버리려고 한다.

그러다가 얼른 가지려는 욕심이 이루어지면

금새 뽐내고 과시하다가,

구차하게 얼른 버리려는 욕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탄식과 원망을 그치지 않는다.

보연(報緣)이 한번 정해지면 구차히 피하려 해도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게 되면,

종신토록 좋아하는 것을 가졌다고 해도

더 기뻐하지도 않고,

죽도록 싫어하는 것을 만난다해도

더 노여워하지도 않는다.

경전에 ‘미운 사람을 만나는 고통과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고통’에 대한 말씀이 있다.

여기서 말한 괴로움이란 목전의

연(緣)을 따르려 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받는 것이다.

가령 목전의 연이 당연히 그러리라는 것을 알고

바르게 순종했다면, 괴로움이 침투할 틈이 없다.

이것은 세상의 변치 않는 연(緣)이다.

도인은 출세간의 종지를 탐구하는 사람이므로

본래 보연으로 따질 것은 못된다.

그러나 추리해 보면 보연에 관계되지 않은 것이 없다.

옛날에 하나를 듣고 열을 깨달아

대총지(大總持)를 갖춘 사람이 있었는데,

이것은 오랜 세월 동안 보리도(菩提道)의

연(緣)이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겨자와 바늘이 서로투합(鍼芥相投)하듯

오랫동안 잊었던 것이 갑자기 기억나,

알음알이를 굴리지 않고 즉시에 통달한 것이다.

또는 스승과 제자의 보연이 성숙되어

그 음성을 듣거나 용모만 바라보아도,

방편을 자세히 베풀지 않더라도

단박에 종지를 깨닫기도 한다.

더러는 중신토록 배워도 깨닫지 못하는 자가 있는데,

이것은 숙세의 연이 아직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이 아직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이 성숙되지 않았는데도 억지로 깨닫기를 바란다면,

어린아이들에게 어른의 일을 대신하게 하는 것과 같다.

어찌 이것을 바른 이치라 하겠는가?

보연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힘써 노력하고

부지런히 정진하여 오래도록 물러나지 않는다면,

하루 아침에 힘 센 장사가 남의 도움 없이 팔을 굽히듯이

스스로 깨달을 것이다.

이것도 역시 보연(報緣)이 아니겠는가!

삼중스님─ 안수정등(岸樹井藤)

안수정등(岸樹井藤)

-삼중스님-

현대의 어느 스위스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왔을 것이다.

그러나 어디에서인지는 모른다.

죽을 것이다.

그러나 언제인지는 모른다.

갈 것이다.

그러나 어디인지는 모른다.’ 분명히 이 시인은 불교를 깊이 알고 있거나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부처님께서는 일찌기 ‘너는 어디에서부터 왔으며, 그 몸 받기 이전의 너의 본래의 모습은 무엇이며, 무엇때문에 살며, 그 삶이 언제까지 갈 것이냐’라고 물으셨다.

바로 이 질문을 아침 저녁 바쁘게 밀려가고 밀려다니는 현대인들에게 한 번쯤 던져보고 싶다.

그리고,무엇이 그리 바쁘며 무엇때문에 그리 서두르냐고도 묻고 싶다.

그 대답은 ‘더 잘 살기 위해서죠’일 것이다.

여기에서 더 잘 산다는 기준은 더 좋은 것을 소유하고 더 많은 것을 소유하겠다는 극히 형이하학적인 생각일 뿐, 결코 인간답게 인간으로 산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6조 혜능(慧能)대사는 ‘세상에는 내 것이란 없고 본래가 무일물’ 이라고 말했다.

어느 철학자가 인간의 수명을 길게 80년으로 볼 때,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기간이란 고작 26년 정도라고 한 말을 읽은 적이 있다.

태어나서 철없이 자라던 시절, 먹고 잠자는 시간, 탐욕에 잠기거나 부질없는 생각을 품고 있는 시간, 우두커니 시간만을 보내는 시간 등을 빼면 26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수명 80년에서 26년은 전체의 3분의 1이다.

내 생각으로는 과연 우리 인간이 일평생을 하루 3분의 1씩 인간다운 생각을 매일 하면서 인간답게 살 수 있는가에 대해 깊은 회의를 느낀다.

아마 10년도 채 못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10년이라도 정말로 알뜰히 살기 위하여 우리 모두는 자아를 인식하고 마음의 본바탕을 알아 참된 인간에의 길을 가야 할 것이다.

시간은 결코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머지 않아 차가웁고 검은 운명의 손이 우리의 눈빛을 가릴 것이다.

인간이란 과연 무엇이며, 삶이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불경중에 [비유경]에 있는 이야기 하나를 여기에 소개한다.

어떤 나그네가 막막한 사막을 횡단하고 있는데 뒤에서 무서운 맹수가 미친듯이 추격해 오고 있었다.

어디 숨을 곳이란 전혀 없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한 나그네는 쫓기는 것에 지쳐 차라리 죽은 것이 낫다는 자포자기적인 생각과, 그래도 살아야 한다는 욕망사이에서 때로 주저앉기도 하고 때로 달리기도 하다가 오아시스에 이르러 깊은 우물 하나를 발견했다.

그 우물가에는 굵은 칡넝쿨이 샘물 속으로 늘어져 있었다.

‘살았구나’하고 생각한 나그네는 그 칡넝쿨을 타고 우물 속으로 내려갔다가 우물 바닥에 커다란 구렁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을 목격한다.

다시 올라가려는데 머리 위에서는 흰쥐와 검은쥐 두 마리가 교대로 그 칡넝쿨을 갉아먹고 있었고, 돌로 층층이 쌓아올린 우물벽에는 독사 4마리가 눈을 반짝이며 혀를 날름거리고 있었다.

그야말로 진퇴유곡의 상황이다.

이때, 칡넝쿨 줄기에 매달린 벌집으로부터 똑,똑, 똑, 똑, 똑, 5방울의 꿀물이 입으로 떨어져 내렸다.

그 달콤한 쾌감, 그 쾌감에 빠져있는 동안은 무서운 공포심이 사라졌지만 다시 꿀물이 떨어질 때까지에는 말할 수 없는 무서운 공포에 떨어야만 했다.

꿀물이나 받아먹으며 죽어야 할 운명, 바로 그것이었다.

이 비유의 이야기에서 사막이란 바로 사바세계요, 나그네는 우리 중생이며 무서운 맹수는 시간이요, 흰쥐와 검은쥐는 무상하게 바뀌는 낮과 밤이며, 우물 속으로 늘어진 칡넝쿨은 우리의 목숨줄이요, 커다란 구렁이는 우리가 사악하게 지은 업(業)이며, 5방울의 꿀물은 물질욕, 색욕, 명예욕, 식욕, 수면 욕의 다섯가지 욕심, 즉 5욕(慾)이며, 무서운 눈을 반짝이며 독기어린 혀를 날름거리는 4마리의 독사는 우리가 죽어 분해 될 흙(地)과 물(水)과 불(火)과 바람(風)의 4가지 근원 즉 사대(四大)이다.

안수정등(岸樹井藤)이란 바로 우리 인간이 맹수에게 쫓겨 도망하다가, 이를 피해 올라간 나무가지가 깊은 강가에 처진 나무가지에 매달림 같고, 앞에 인용한 이야기의 우물가 칡넝쿨에 매달려 있음과 같다는 뜻이다.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근원은 곧 마음이다.

마음이란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 또한 아니다.

크게는 온누리를 감싸지만 작게는 바늘구멍도 용납치 못한다.

같은 마음으로 지옥과 극락을 동시에 느끼지 않는가? 마음, 그것은 과연 무엇인고? 또한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살 것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