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의 가난은 가난이 아니었네

거년빈미시빈 去年貧未是貧 작년의 가난은 가난이 아니었네.

금년빈시시빈 今年貧始是貧 금년의 가난이 진짜로 가난일세.

거년무탁추지지 去年無卓錐之地 작년에는 송곳 꽂을 땅이 없더니

금년추야무 今年錐也無 금년에는 송곳마저 없어져 버렸네.

가난 타령을 한 이시는 오도의 경지를 가난에 비유 읊은 시이다. 도를 닦는 공부는 비우고 비워 가는 공부라 한다. 노자의 <도덕경>에도 학문은 날로 더해 가는 것이요, 도는 날로 덜어 가는 것이란 말이 있다(爲學日益 爲道日損). 학문이란 욕망을 더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온갖 허위와 번뇌가 일어나는 반면, 도란 지식을 덜고 욕망을 없애며 마음을 비움으로써, 하는 것이 없는 경지, 곧 무위(無爲)에 이르는 것이라 하였다. 깨달음의 상태를 무의 상태 혹은 공의 상태로 표현해 온 것은 선가(禪家)의 일반적인 묘사였다. 마치 꿈에서 깨어나면 꿈속에 있었던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깨닫고 보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영가(永嘉)스님의 증도가에도, “꿈속에선 육취가 분명하더니 깨닫고 나니 공하고 공해져서 아무것도 없네(夢裏明明有六趣 覺後空空無大千)”라고 하였다. 아공(我空), 법공(法空)이라는 말도 이러한 연유로 생긴 것이다.

작년에 깨닫고 비로소 주객이 모두 없어진 것을 체험하였다. 다시 말해 무를 체험하고 공을 체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속에 깨달았다는 희열감 내지 충만감이 꽉 차 있었는데, 금년에는 그것마저 사라져 버리더라는 말이다. 어떤가? 깨닫고 나서 깨달았다는 기쁨이 남아 있는 상태가 좋은 것인가? 그것마저 없어진 것이 좋은 것인가? 공부가 깊어지면 깨달았다는 것도 없어지는 것이다.

이 시의 작자는 향엄지한(香嚴智閑?~898)스님이다. 전등록에 나오는 이 시는 그의 오도송 격이다. 향엄은 당나라 때 스님으로, 처음 백장(百丈)문하로 출가했으나 후에 위산 영우(靈祐)스님에게 가서 공부를 하다가, 공부가 되지 않아 울면서 떠났다 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 산중에서 풀을 베다가 자갈을 집어 던졌는데 그 돌이 날아가 대밭의 대나무에 맞아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깨달았다 한다. 그때의 오도송이 별도로 전해진다. 돌이 대에 부딪치는 소리에 깨달은 순간을 “한번 부딪치는 소리 듣고 모든 것 다 잊었네(一擊忘所知)”라고 읊조렸던 것이다. 그는 위산의 법을 전해 받은 제자가 되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1월 제38호

2016년 03월 21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최기문 전 경찰청장, 영천.청도 무소속 출마 선언
  2. 담양군, 우리가락으로 봄맞이 흥 돋군다
  3. ‘암 예방 수칙 10가지’
  4. 비스트 ‘장현승’ 탈퇴설…소속사 ‘사실무근’ 일축
  5. 장성군 스마트 행정 ‘돋보이네’
  6. 인공지능 로봇 “인류 파멸하고 싶으냐?” 질문에 “그렇다” 충격
  7. 현대건설, 한 세트도 안내주고 여자배구 챔피언 등극
  8. 국민의당 김종현 선관위원장, 공천갈등 책임지고 전격 사퇴 “광주지역 경선 혼란 빚어”
  9. 서울광장에서 2천 5백만 원 뿌린 50대 여성 “가족이 감금하려 한다”
  10. 영광 백수 해안도로 ‘전남 으뜸경관 10선’ 선정
  11. 참여자치21 “더민주·국민의당, 광주시민 우롱하는 행태 멈춰야”
  12. 한미 첫 고위급 제재협의, “대북압박 강화 합의”
  13. 2016광주비엔날레 주제는 ‘제 8기후대’…”예술 통한 미래변화 모색”
  14. 광주 동구, “주말·공휴일도 예외없이 불법주차 단속”
  15. 한미 군 수뇌부, 美 핵항모 방문…’북 도발에 강력 대응’
  16. 서해상서 여객선 표류…해경 전원 구조
  1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6일부터 ‘ACC 봄마당 축제’
  18. 새누리당 울산총선 후보자들, “국회선진화법 개정.. 석대법 통과”
  19. 檢, ‘차명계좌 의혹’ 홍일표 의원 사무실 압수수색
  20. 檢, 실탄 빼돌려 군수업체 취업한 예비역 대령 기소
  21. 대법원, 선거사범 ‘처벌은 엄하게, 재판은 짧게’
  22. 더민주 비대위, 비례대표 명부 수정…김종인, 당무 거부
  23. 새누리, 11차 경선 결과… 현역 신의진·강석훈 등 5명 탈락
  24. 경북지역 학교 수학여행 때 119대원 동승
  25. 포항 원법사 장학금 전달식 가져…
  26. 오바마 대통령, 88년만에 쿠바 방문
  27. 병마에 시달리는 스님들 돕는 건강걷기대회 열린다
  28. 불교환경연대 새출발 “다음달 4대강 100일순례”
  29. 새누리 ‘뇌관’ 유승민 공천 여부는 내일 판가름…
  30. ‘저녁 불꺼진 집만 골라’ 상습 빈집털이범 구속
  31. 경북 특성화고 해외취업 100명 시대 열다
  32. 어른, 아이들이 말하는 평화란?
  33. 충북도교육청, ‘장기결석 학생’ 없다고 큰소리치더니…
  34. 음란편지 직접 전달하면 무죄…성범죄로는 처벌 못 해
  35. ISA, 3개월은 기다려보고 가입해도 늦지않아…이상석 교수 <아침세상 강원>
  36. 전세대출 제도 악용해 31억 챙긴 사기단 입건
  37. ‘4살 딸 암매장’ 시신 수습 또 ‘허탕’…’거짓말’ 여부 조사키로
  38. 車보험 표준약관 변경… “수입차 사고나면 국산 렌터카 타세요”
  39. 北, 동해상으로 또다시 단거리 발사체 5발 발사
  40. 보이스피싱 ‘윗선’부터 잡는다..檢, 기획수사 착수
  41. 북한, 동해상으로 단거리 발사체 수발 발사
  42. 임태희, “공천위, 유승민 무소속 출마 못하게 결론 미뤄”
  43. 이세돌 9단 “알파고와 재대결 원한다”
  44. ‘4살 배기 딸 암매장 사건’ 친모 시신, 친정식구도 인수 꺼려
  45. “원전 컨트롤 타워” ··· 한수원 경주시대 본격 개박
  46. [포토] ‘원영이 49재’ 원영아… 원영아… 어른들이 정말 미안하다…
  47.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원점에서…
  48. 우리나라 가장 깊은 바다, 동해 우산해곡 2천9백85미터
  49. [인사] 국토교통부
  50. [속보]북한, 동해상으로 미사일 발사…軍 추가발사 여부 확인중

불교닷컴

  1. 23일 한전부지 환수 기원법회…“인·허가 절차 중단” 요구
  2. 수경 스님 빠진 ‘불교환경연대’ 조직 재건 나서
  3. 평화가 궁금해? 평화살림콘서트로 와
  4. 나경원 의원의 ‘고소 드립’과 언론의 두 얼굴
  5. 절에서 듣는 인문학 강좌
  6. “동국대냐 보광 스님이냐”
  7. 동국대 12시간 만에 입장문 또 낸 까닭?
  8. 혜민 스님의 망상
  9. 정갑윤 공천…주호영·조윤선 탈락
  10. 멱살 잡으러 갔다가 멱살 잡혀 45년
  11. 또 죽은 정도전, 비만만 아니었어도
  12. 100명에 새 삶 주고 떠난 춘명 스님

불교신문

  1. 조계종 사회노동위, 비정규직노동단체와 업무협약
  2. 불교환경연대, 7월 새 출발…4대강 100일 순례 나선다
  3. “전국 비수도권 사립대 중 3위로 끌어올릴 것”
  4. “치우침 없는 공정한 판결로 질서 유지 최선”
  5. “어디든지 달려가 법륜 굴리겠다”
  6. 경전 속 변상도 이제 컴퓨터로 본다
  7. 마사이 마을의 희망, 핸드펌프
  8. 새까만 손잡이 나무
  9. 어느 70대 노부부의 슬픈 죽음
  10. 불비상
  11. 1000살 할머니 당산
  12. 올해도 풍성한 축제 마당에 수희동참을
  13. 불성있는 인격체 VS 마음없는 고성능 기계
  14. 문화재 관리 40년 역사 한눈에
    국립중앙博, 보존과학 특별전
  15. “서울시는 개발 인·허가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
  16. 통도사성보박물관 전각반 작품전시회.
  17. 인면수심의 괴물
  18. 출가절 특집 붓다의 혼을 불어넣다 불모 外
  19. 청각장애 부모의 애틋한 내리사랑
  20. 새봄 이끄는 우리 소리의 향연
  21. 도움받지 못한 마을사람 없었던 ‘관음보살 화신’
  22. 청정한 자연과 풍속을 소중히 가꾸는
    국민총행복지수(GNH) 세계 1위 부탄
  23. 신도들과 화합하고 소통하고 나누고…
    교구장은 지역민 껴안는 ‘턱없는 그릇’
  24. “이제 너에게 위없는 진리를 말할 것이니 잘 들어라”
  25. <10> 선근공덕은 수행의 자량
  26. <10> 다비
  27. 〈191〉큰 자비, 작은 자비
  28. <8> 설산수도상
  29. 국립박물관 소장 관음좌상 ‘쌍둥이’ 발견
  30. “격변기 사회상과 상량의례 귀중한 자료”
  31. 불교평론 ‘경전 번역과 유통’ 집중해부
  32. 부처님 가르침을 정확히 이해하는 방법
  33. 1년을 미뤄둔 ‘따뜻한’ 법정스님 이야기
  34. 초기불교 의례문 정리
  35. [ 신간에세이] 역사에서 배운다
  36. 부처님이 설국열차를 탄다면?
  37. “귀신인 줄 알았는데 마른 억새였다”
  38. 불교를 맛깔나게 풀어낸 작가…권력을 말하다
  39. 계룡산 동학사 역사 문화 안내서
  40. 이운희 중림종합사회복지관장 결혼
  41. 조계종 사회노동위, “이주 노동자도 사람이다”
  42. 일제침략 기지에서 교회로…‘목포의 설움’ 대변
  43. 동국대 이사에 자광 승원 일관스님
  44. 부산불교연합신도회 새 회장 박대성씨
  45. ㉚ 치문에 얽힌 이야기
  46. 수덕사 복지법인 ‘수덕’ 본격 시동
  47. ‘이성계 백일기도 도량’
    상환암 원통보전 낙성
  48. 전통과 첨단IT기술의 융합…불교 미래를 본다
  49. 10만평 못 채워 경내지까지 매각 ‘굴욕’
  50. 지구촌공생회 국내 구호도 활발

불교저널

  1. “총장 즉각 사퇴하고 이사회 개편하라”
  2. ‘사대강 100일 수행길’로 불교환경연대 새 출발
  3. 동국대, 한만수 교수 해임 중징계
  4. “참사람 인재양성으로 교육 내실화 꾀한다”
  5. “인종차별이 민주주의 위협 요소”
  6. 1만여 명 참여 한전부지 환수 기원법회

불교포커스

  1. 불교환경연대 7월 새출발…첫걸음은 ‘4대강 생명살림 100일 순례’
  2. “언론탄압 주제 100인대중공사 진행해야”
  3. “대북 제재 효과 실효성 의문…남북 핫라인 유지해야”
  4. 동국대 “교원 징계 정당…법적 시비 가릴 것”
  5. 부처님오신날 봉축 모금 캠페인
  6. 전국 사찰서 ‘총본산 성역화’ 동시법회
  7. 조계종 ‘불자대상’ 추천하세요
  8. 전국비구니회 회칙 개정될까…24일 정기총회
  9. 동국대 교수협 “해임 강행, 보복징계 폭로한 셈”
  10. 주교회의, 생태환경위 신설
  11. 조계종의 언론탄압과 갈릴레이의 탄식
  12. “너는 어느쪽이냐”…검열 나선 조계종

현대불교

  1. 자비나눔 실천단, 다문화요리체험 행복교실 운영
  2. “비수도권 최고 사립대로 육성할 터”
  3. 불교환경연대 ‘재도약’ 선언… 4대강 순례길 오른다
  4. 사회노동위, 비정규 노동자 ‘마음치유’ 나서다
  5. 적게 먹는 것이 불살생
  6. 계파별 법맥 계보 정리… 정통성 강조
  7. 실생활 도움 AI 多… 미래 로봇윤리 연구 필요
  8. “손에 잡히는 평화 공유할 터”
  9. “한국사회, 이주노동자 ‘일회용’으로 쓰다버려”
  10. ‘사념처 명상 이론과 실습’ 매월 특강
  11. 다문화어린이 합창ㆍ댄스대회 6월 8일 개최
  12. 김제 금산중 원평장터에서 3.1 운동 만세 재현
  13. 불교스카우트 지도자 온오프라인 연수
  14. 종단 정체성 확립·교육기관 통폐합 화두로
  15. 조계종 전국비구니회 3월 24일 정기총회
  16. 부산 最古 목조물 ‘운수사 대웅전’ 보물 지정식
  17. “대승불교의 참된 뜻 실천 위해 노력할 것”
  18. “우리 아이들 스님과 인연 맺어요”
  19. 산청 내원사, 4월 9일 국보 승격 기념 법회
  20. “내 집처럼 편하게 사찰서 쉬다가세요”
  21. “부처 핸섬!” Put your hands up!
  22. “조직 강화해 부산불교의 역량 될 것”

최종업데이트 : 2016-03-21, 11:40:54 오후

[불교용어사전]공(空)

공사상(空思想)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만물에 고정불변 하는 실체가 없다는 불교의 근본교리이다.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사물들은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생멸하는 존재이며, 고정불변 하는 자 성(自性)이 없다. 사물은 단지 원인과 결과로 얽힌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무아(無我)이 며, 무아이기 때문에 공인 것이다. 이때의 공은 고락(苦樂)과 유무(有無)의 양극단을 떠난 중도(中 道)이며, 이것이 부처님이 깨달은 내용이다. 공의 사상은 인간의 그릇된 입장을 파사(破邪)하여 현 정(顯正)하는데 있는 것이므로 어떤 사람이 현상계에 집착하면 그것이 공이라는 것을 가르치며, 또 열반에 집착 하면 열반 또한 공이라고 가르친다. 이는 사람들이 집착하는 가지가지 대상이 본질 적으로 공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에서 설한 18공의 경우도 이와 같은 것 이다. 우선 사물을 감각하고 지각하는 인간의 육근(六根)이 공하다(內空). 다음으로는 육근의 대상 이 되는 육경(六境)이 공하다(外空). 이렇게 물질적인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관념적인 것에 이르기 까지 온갖 집착의 대상이 공함을 밝히고, 마침내는 그 공도 공임(空空)을 설한다. 이는 모든 사물 이 공하다는 관념에 집착하여 허무주의적인 경향에 빠져 버리는 공병(空病)을 치유하기 위한 방편 설이다. 더 나아가서 부정하는 실체로서의 공조차도 부정하는데, 이는 또 다른 공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설은 대립적인 상대 의식이 공하다는 것일 뿐아니라, 상대를 넘어선 절대 또 한 공한 것임을 가르치는 것이다. 공은 가설적인 이름을 붙여 공이라고 한 것일 따름이며, 공 자체 는 진리가 아니다. 즉 공은 진리를 밝히는 한 가지 방법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공은 객관적 세계 를 부정하는 절대무(絶對無)를 가리키는 말도 아니다. 특히 <반야심경>에서는 물질적인 현상과 공이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서로 떠날 수 없는 상관관계로써 이루어져 있음을 “색즉시공 공즉시 색”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사물의 본질이 공으로 파악된다는 것을 말할 뿐만 아니라, 공 은 그 파악되는 사물을 떠나서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가 공이라고 관하는 것을 공관(空觀)이라 한다. 공은 허무가 아니고 공을 관하는 것은 진실한 가치의 발견이므로, 진공(眞 空) 그대로가 묘유(妙有)라는 것이다. 이것을 진공묘유라고 한다. 이에 반하여 공을 허무적인 것으 로 이해하는 것을 악취공(惡取空)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