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루 하나로 천가의 밥을 빌면서

일발천가반 一鉢千家飯 바루 하나로 천가의 밥을 빌면서

고신만리유 孤身萬里遊 외로운 몸 만리를 떠도네

청목도인소 靑目睹人少 눈 푸른 이 알아주는 사람 없으니

문로백운두 問路白雲頭 흰 구름에게 갈 길을 물어 볼까나.

운수송(雲水頌)으로 알려진 포대화상(布袋和尙)의 시다. 이 시 한 편이 그의 생애를 말해 주고 있다. 일생을 떠돌이 삶을 살았다는 포대화상의 애환이 엿보이는 내용이다. 구름처럼 물처럼 정처 없이 떠돌며 유랑으로 일생을 보낸 그도, 어쩌면 자신을 알아주는 지기가 없어 무척이나 외로웠는지 모른다. 구름에게 길을 묻는다는 마지막 구가 세상을 초월한 자의 자유보다 그리움의 향수가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포대화상은 생몰연대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는 기이한 언행으로 세상을 살아 숱한 일화를 남긴 전설적인 인물로 부각되어 있다. 중국 오대(五代) 때 양(梁)나라 봉화(奉化)출신으로 몸이 뚱뚱하고 배가 늘어져 이상한 모습을 하고 지팡이에 자루를 걸어 메고 다니면서, 무엇이든지 보면 달라고 하여 그 속에 넣어 담아 사방을 떠돌아 다녔다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면 이상한 말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날씨나 길흉화복에 대한 것을 말해 정확히 맞춰주기도 했다고 한다. 긴 자루를 메고 다닌다 해서 당시 사람들이 그를 포대화상이라 불렀으며, 또 장정자(長汀子)라 부르기도 했다. 미륵보살의 화현(化現)이라고 그를 존경하여 그의 모습을 그려 받드는 풍습도 생겨 후대에까지 전해졌다. 실제 그가 단정히 앉아서 입적할 때에(일설916년), “미륵진미륵(彌勒眞彌勒) / 분신백천억(分身百千億) / 시시시시인(時時示時人) / 시인자불식(時人自不識)”이란 게송을 읊고 입적하였다 고한다.

미륵, 참된 미륵이여!

백천억으로 몸을 나누어

때때로 그때 사람들에게 보여줬건만

그때 사람들 아무도 모르는구나.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3년 12월 제37호

2016년 02월 08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외교부, 김장수 대사 초치 중국 발표에 “면담”
  2. 윤병세 외교, 中 경제보복 경고 들은 바 없어
  3. 외통위,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규탄 결의안 채택
  4. 북한, 국제기구에 ‘발사통보 해제’ 통지
  5. 밤부터 눈이나 비…내일은 맑음
  6. 귀성.귀경 혼잡 절정
  7. 홍용표 통일, 북 뼈아프게 응징하고 대가 치르게할 조치 검토
  8. 정부, 안보리 북 미사일 규탄 성명 환영
  9. 여야 “北 NLL침범 의도적”…군 경계강화 주문
  10. 美전략사령부 “북한 발사 비행체 궤도진입” 확인
  11. 전국 성묘 행렬에 스키장.유원지 인파
  12. 설날 친척들과 내기 윷놀이.고스톱, 처벌받을까?
  13. 北,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축포 행사 예고
  14. 日, 한국 사드 배치 논의 지지
  15. 시진핑, 대만지진 위로, 지원의사 밝혀
  16. 대법, 北에 돌아간 日강제노역자도 위로금 지급해라
  17. 달라진 설 풍속…설날 ‘조계사’로 모이는 사람들
  18. 대구 다가구주택 화재 2명 숨져
  19. 가족에게 가장 듣고 싶은 말 “잘했어” “수고했어”
  20. 고속도로 귀경전쟁 시작…부산->서울 8시간 10분
  21. 유엔 안보리 만장일치로 북한 규탄 의장성명 채택
  22. 의료비가 소득의 40% 이상…85만 가구나
  23. 북 미사일 2단 추진체 인양 가능할까
  24. 北 경비정, 서해 NLL 침범…경고사격 받고 퇴각
  25. 상봉신청 이산가족 절반은 가족 못보고 사망
  26. 경북도청 신청사, 한파 속 관광객 북적
  27. 설 이후 이사철 영향 전세불안 커질 듯
  28. 늦깎이 귀성·이른 귀경…고속도로 양방향 정체 시작
  29. 서울, 작년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 전국평균 5.5배
  30. 대만 지진 사망자 34명…골든타임 내 구조 총력
  31. 전국에 구름 많아…오후부터 눈 또는 비
  32.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논의 탄력받을듯
  33. 中, 김장수 대사 초치…한미 사드 공식협의 항의
  34. 청와대, 오늘도 비상근무체제…북 추가도발 대비태세
  35. 유엔 안보리, 북 미사일 발사 규탄 성명 만장일치 채택
  36. 명절 대목에 먹거리 원산지표시 위반 평소 2배

최종업데이트 : 2016-02-08, 09:56:18 오후

바람불자 산나무

풍동과빈락 風動果頻落 바람 불자 산 나무 열매 자꾸 떨어지고

산고월이침 山高月易沈 산이 높으니 달이 벌써 지려하네.

시중인불견 時中人不見 내 곁에는 아무도 없는데

창외백운심 窓外白雲深 창 밖에 흰 구름만 자욱하구나.

이조 중기 부휴선수(浮休善修1545~1615)선사가 남긴 이 시는 산중의 정취가 조용히 풍겨 나온다. 사람이 자기 시간을 갖고 살기가 어렵다. 매일 누구를 만나서 사교를 하고 어떤 일에 매달려 그 치다꺼리에 부심하다 보면 자기 내면을 들여다 볼 겨를이 없어져 버린다. 또 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결국 끝없이 객관 경계를 쫓아가는 것이다. 때문에 영혼의 거울 앞에 서서 자신을 비추어보지 못한다. 어쩌면 이 시대는 사람이 자기 반조(返照)를 하지 않는 시대인지 모른다.

어찌 보면 세상은 반성하기를 싫어하면서 일방적 고집으로 사는 것 같다. 욕망의 공간을 채우기에 급급하고 정신적 여백을 사양하는 것 같다. 도인들의 삶의 자취를 한 번 보라. 그들은 자기 고독을 소중히 여긴 사람들이다. 그들은 결코 고독해 몸부림치지 않는다. 외로움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외롭기 때문에 그 시간을 사랑하며 잘 견딘다. 혼자만의 세계에는 언제나 자화상을 바로 보는 거울이 있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자기 자화상을 바로 보는 일이 더없이 중요한 일이다. 아무도 없는 홀로의 시간에 자연을 벗하여 세상을 관조하면 초연한 자기의 본래 모습이 만상을 통하여 나타날 것이다.

부용영관(芙蓉靈觀)의 법을 이은 부휴는 임진란 당시 덕유산에 은거하면서 무주 구천동에서 한때 간경(看經)에 여념없이 지낸 적도 있다. 송광사에도 머물다가 나중에 칠불암에 가서 그 곳에서 입적하였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2월 제51호